최근 전세계적으로 생산단계의 일부를 해외에서 수행하여 국내 기업에 조달하는 오프쇼어링은 급속도록 증가해 왔다. 그러나 한국기업의 오프쇼어링 행태에 대해서는 축적된 데이터가 없기 때문에 연구가 매우 제한적이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직접 설문을 바탕으로 구축된 한국 제조기업들의 2006년 오프쇼어링 데이터를 분석하여 기업의 특성과 오프쇼어링의 도입 확률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이론의 가설과는 달리 한국 기업의 생산성은 오프쇼어링 의사결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오히려 자본집약도, R&D 집약도, ICT 수준, 해외투자를 통한 해외시장과의 연계성 등 기업의 다른 특성이 오프쇼어링에 더 중요한 요인임이 입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기업이 국제 생산네트워크에 편입하기 위한 해외투자 활성화, ICT 수준 향상을 위한 세제 혜택 등 관련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Using firm-level data on offshoring of Korean manufacturers, the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firm heterogeneity and the probability of adopting offshoring. The results of the paper suggest that firm productivity may not be an important determinant for Korean firms' offshoring decision. Firm's global sourcing decision may rather depend on other characteristics such as factor intensity, R&D intensity, ICT level, and affiliation with foreign markets, when industry specificity is controlled f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