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licy Analyses APEC Study Series
발간물
Working Papers
2011~16년 사이 유로화 및 일본 엔화가 미국 달러화 대비 25% 이상 절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유럽과 일본의 수출은 증가하지 않았다. 이와 같이 환율 변동에도 불구하고 수입가격, 수출량 등의 거시변수가 왜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는지는 국제경제학 분야의 오랜 질문이었다. 본 연구는 수출에 대한 환율탄력성이 낮은 이유를 기업의 국제적 생산연계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통계청의 기업활동조사를 바탕으로 기업의 수출이 환율에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국내소유기업과 해외소유기업, 그리고 해외지사를 보유하지 않은 기업과 보유한 기업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기업의 총수출은 환율에 유의하게 반응하는 반면, 해외소유기업 및 해외지사를 보유한 기업의 수출은 환율에 반응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해외 관련 기업에 대한 수출을 제외한 수출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총수출에서 해외 관련 기업에 대한 수출을 제외한 수출이 환율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기업 특성별로 살펴본 결과, 여전히 국내소유기업과 해외지사를 보유하지 않은 기업의 수출은 환율 변화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반응한 반면, 해외소유기업과 해외지사를 보유한 기업의 수출은 환율 변화에 유의하게 반응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총수출에 대한 탄력성에 비하여 더 크게 추정되었다. 한편 수입 중간재 비중 및 글로벌 가치사슬 참여 정도 등 기업의 국제적 생산연계 정도를 고려한 결과, 국제적 생산연계가 높은 기업의 환율탄력성이 유의하게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Exchange rates have been changed unusually large these days. From 2011 to 2016, the Euro and the Japanese Yen have depreciated against the US Dollar by more than 25 percent. According to a theory, since competitively valued exchange rate helps to boost export growth, we should have observed a sub-stantial increase in export in the EU and Japan. However, the effectiveness of the exchange rates on exports appears to be weak across countries. This anomaly is one of the central puzzles in international macroeconomics: why large movements in the exchange rate have modest effects on the aggregate variables such as import prices, consumer prices, and quantity of exports.
In this paper, we examines the role of global production linkages on ex-change rate elasticities by using Korean firm-level data. At firm-level, foreign-owned firms or firms with foreign subsidiaries participated in the Global Value Chains (GVC) play an important role in weakening the effect of ex-change rate movements on firm exports.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exchange rate elasticity of total export is about -0.64, which implies that 10% appreciation of Korean Won would make a drop in total export by 6.4%. However, the exchange rate elasticities of firms are not the homogeneous across firms. We find that the exchange rate elasticities of firm exports are significant and negative for domestic-owned firms and firms without foreign subsidiary whereas those are insignificant for foreign-owned firms and firms with foreign subsidiaries.
After controlling exports to foreign affiliates, we still find that the estimated exchange rate elasticities of exports ar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but become negative and relatively larger for firms with global production linkages. More-over, firms with higher GVC integration measure or more imported inter-mediate inputs have the significantly lower exchange rate elasticities of firm exports. It suggests that developments of global production linkages via firm ownership, within-industry or within-firm in the last decade play an essential role in alleviating the effect of exchange rate movements on the firm exports.
Keywords: Exchange Rate Elasticity, Firm Export, Production Linkage, Global Value Chains
JEL Classification: F14, F15, F23, F31
판매정보
분량/크기 | 32 |
---|---|
판매가격 | 3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