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발간물

목록으로
전략지역심층연구 한국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의 인도시장 진출방안 연구 기업경영, 해외직접투자

저자 정학범, 김범수, 정원혁, 강재호, 정기수, 홍성원, 최민규, 김영근 발간번호 16-02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6.12.30

원문보기(다운로드:6,387)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본 연구는 한국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의 현황과 인도시장을 분석하여 한국 중소기업과 스타트업 기업의 인도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방안 및 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본 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인도경제정책, 무역현황, 판매채널 현황을 조사하여 한국 중소기업과 스타트업 기업들의 생태계 환경을 분석하였으며, 현지 조사를 통하여 실질적이고 현실적인 연구가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인도는 2014년 모디 정부가 들어서면서 시작된 경제 발전을 위한 대대적인 개혁정책을 통하여 인도의 고도성장에 대한 초석을 마련하였다. 모디 정부의 정책은 세일즈 외교와 보호정책으로 요약할 수 있으며, 세일즈 외교는 경제 분야에 국가 역량을 집중하였고, 보호정책은 인도 수출 경쟁력을 강화하여 무역수지 개선에 크게 기여하였다. 또한 인도정부는 지속적인 산업 인프라 확충, 제조업 육성, 지식산업 개발 등 무역정책을 지속적으로 개선해나가고 있다. 이와 더불어 초기부터 ‘스타트업 인디아’를 천명하며 규제의 간소화, 자금지원 및 인센티브, 산학 연계 및 인큐베이터 시스템을 통한 스타트업 육성과 기술개발 및 교육, 금융지원, 제도적 지원 등 중소기업 육성을 위한 다양한 정책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인도는 CEPA(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Association)를 통하여 한국과의 교역을 지속적으로 확대해나가고 있으며, 양국간의 진출과 투자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무역정책들에 대한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한국전용 공단을 조성하여 한국 중소기업과 스타트업 기업들의 인도시장 진출의 발판을 마련하였고, 한?인도 양국 정상의 공동선언문 발표를 통한 MOU 체결은 기업들의 비즈니스 환경을 개선하였으며, 그 결과 향후 양국간의 교역 범위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인도시장 진출을 준비하는 기업은 감사제도 명문화,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명문화, M&A(Mergers & Acquisitions) 간소화 등 인도 기업법 전반에 걸쳐 진행된 법률 제정 및 개정사항을 확인하고, 인도의 산업 구조 및 산업환경 변화에 대비하여야 하며, 그 외에도 종교적 특성에 대한 준비를 하여야 한다. 인도 현지 연구를 통하여 한국 기업들의 인도시장 진출을 위한 성공 모형을 도출하였다.
  연구 방법은 보다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조사 연구를 위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설문조사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기존의 델리(Deli)와 뭄바이(Mumbai)를 중심으로 진행된 연구와는 달리, 세계에서 가장 빠른 성장성과 인도 본연의 특성을 잘 보여줄 수 있는 콜카타(Kolkata)와 국내 대기업이 많이 진출해 있어 중소기업과 스타트업 기업의 접근성이 용이한 첸나이(Chennai)를 중심으로 2주간에 걸쳐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설문조사의 주요 결과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인도의 구매자들은 S사, L사와 같은 한국 대기업 제품의 브랜드를 선호하지만 그 브랜드가 한국 브랜드라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였으며, 한국에 대한 인지도도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한편 인도 구매자들의 결정요인을 브랜드, 가격, 내구성, 원산지, 성능/기능 6가지로 분류하여 리커트 척도 방식으로 조사한 결과, 성능/기능, 브랜드, 내구성, 가격, 디자인 요인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원산지에 대한 고려는 다른 요인에 비해 상당히 낮게 조사되었다. 또한 인도 소비자의 유통 채널 이용 빈도에 대한 조사 결과, 일반 소매점 이용이 가장 높은 수치였고, 대형 할인마트, 편의점, 인터넷 쇼핑 순으로 조사되어 인도는 전통적 구매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국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의 인도시장 진출을 위한 연구 및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은 정책 시사점을 주고 있다.
  첫째, 인도 진출에 대한 장기적 접근이 필요하다. 거대한 인도 전체 시장을 조사하는 데는 무리가 따르며, 한정된 자원을 바탕으로 진입전략을 세워야 하는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은 선택과 집중을 통하여 최소 3년 이상의 장기적인 전략을 통하여 브랜드 가치를 상승시켜야 한다.
  둘째, 현지 유통파트너 확보가 필요하다. 인도 소비자의 81%는 여전히 재래식 유통망을 통해 구매하고 있으며, 중간 판매상 경로를 거쳐야 제품을 납품할 수 있는 상황을 고려할 때 적절한 유통파트너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인도를 위한 맞춤 현지화 전략이 필요하다. 인도의 지역적 특성, 인구의 특성, 종교적 특성 등을 고려하여 같은 제품일지라도 인도 맞춤형 제품을 생산하고, 인도의 가족 문화를 활용한 현지화에 맞는 마케팅 전략을 활용한다. 또한 인도시장 진출의 가장 큰 문제로 꼽히는 인도정부와의 문제 해결을 위해 사전에 정부 관계자와 친밀관계를 형성하여 추진해나가야 한다.
  한국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의 인도시장 진출방안 연구는 여러 한계점과 문제점이 공존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최초라는 점에 그 의의가 있으며, 한국과 인도 간 실제적인 경제 교류 활성화를 위한 기본 정책 자료와 향후 정책 수립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India has received the spotlight from the world as ‘Next China’, because of 2nd largest population in the world and many various policies from the government to support India’s development. India has had an average of 8.35% economic growth rate since 2005.
  As new government established by prime minister of India ‘Narendra Modi’ in 2014, there has been many changes in India. Modi has tried to make India as world manufacturing base, urbanize and modernize Indian cities. Modi government has also made programmes to educate Indians for start-ups and small-medium companies and support them with government organizations. For foreign policy in India is mitigating regulations and laws on FDI(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reinforcing economic cooperations with many other countries.
  Korea has established diplomatic relations with India since 1973. In effect,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India started from Korean War. India had detached their medical force, they also were presidency for ‘Neutral repatriation committee’ after Korean War. After establishing diplomatic relations, the two countries have shown their efforts to reinforce their relationship by culture, politics and economy. Especially on economy, two countries have signed for CEPA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 to enhance total amount of trade between two countries has grown rapidly. Total amount of trade was about 2.3 billion dollars on 2000 but in 2015 it has increased to 16.3 billion dollars by 600%, which means many Korean companies are trying to enter to India market. Nonetheless only major companies and very few small-medium companies have settled down at India market. According to statistics of export, trading rate of small-medium companies in india has possession of 17.8% of total export rate in india in 2015. Statistics of newly founded Korean small-medium companies in India from 2012 to 2015, most companies were based on manufacturing which was about 47.7% and rest of other fields were very small amount. For start-ups and small-medium companies, India was very unfamiliar country to enter. However many companies are still trying to enter to India market.
  This paper introduces a survey which was revised from 500 people from Kolkata and Chennai, cases about Korean companies in India and some interviews from local company and Korean start-ups in India. The reasons to choose Kolkata and Chennai were; Kolkata is most fast growing city in India and also market is being modernized very fast. Chennai already has Korean companies so that start-ups and small-medium companies would be easier to access. As a result of the survey, India people tend to prefer price, brand and performance of the product rather than country of origin. And they tend to use small shops the most.
  7 cases are about major companies and start-ups/small-medium companies from Korea. Some companies successfully entered India market by ‘localization’, ‘gaining trust from their clients’and ‘understanding of India market’. But some companies were still struggling because of lack of brand awareness or portfolio strategy.
  Chapter 5 introduces about business strategy for start-ups and small-medium companies which wants to enter to India market. First, approach India market as long-term perspective. India is very conservative market so it is important to build up trust from Indian customers and companies. Second, it is important to network with local distribution companies. Because India has large territory but transportation system is not modernized, it is needed to use of local distribution channel to spread companies products. Third, localization is very important. India has various culture and their own special consumer behavior. By localizing marketing and products they will be easier to approach to Indian customers.
  Not only efforts from companies, but also efforts from Korean government are needed. Korean government should establish research organizations for getting the newest and crucial information about india. By doing so, start-ups and small-medium companies solve the financial issues for searching information about India. Also, Korean government should organize 2 types of ‘task force’ for entering India. One should be established in Korea to support start-ups and small-medium companies from the beginning of export and the other should be set-up in India to network Korean companies and local companies.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내용 


제2장 인도 경제시장 분석

1. 인도의 경제현황
    가. 인도경제 개요
    나. 모디 정부와 모디노믹스
2. 인도의 무역정책
    가. 무역정책
    나. 무역협정 체결 및 경과
3. 한?인도 무역 교류 현황
    가. 무역 동향
    나. 인도의 對한국 무역정책
4. 인도의 진입환경 분석
    가. 인도 법률적 환경
    나. 인도 산업 환경
    다. 인도 유통 환경
    라. 인도 문화적 환경


제3장 인도 스타트업, 중소기업 환경 분석

1. 인도 스타트업, 중소기업 현황
    가. 인도 스타트업, 중소기업 개요
    나. 인도 스타트업, 기업 현황
    다.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의 취급 제품과 서비스
2. 인도 스타트업, 중소기업 정책
    가. 인도 스타트업, 중소기업 제도
    나. 인도 스타트업, 중소기업 지원정책
3. 한국기업 인도 진출 현황
    가. 스타트업, 중소기업 현황 분석
    나. 중소기업의 업태와 업종
4. 시사점


제4장 인도 진출 관련 실증분석 및 사례 연구

1. 개요
2. 연구내용과 방법론
    가. 인도 소비자에 대한 정의와 선행연구 검토
    나. 연구내용과 방법론
3. 인도시장 및 진출환경 실사
    가. 설문 대상자의 특성
    나. 인도 소비자 제품 구매 결정요인
    다. 한국제품 구매경험
    라. 인도 소비자 유통채널 이용 빈도
    마. 인도 현지전문가 의견
4. 인도 진출기업 분석
    가. L제과 성공사례 분석
    나. M엔지니어링 성공사례 분석
    다. D사 실패사례 분석
    라. B사 성공사례 분석
    마. V사 사례 분석(스타트업)
    바. E사 사례 분석
    사. I사 사례 분석
    아. 인도 현지기업 인터뷰
5. 시사점


제5장 결론

1. 개요
2. 스타트업 및 중소기업 인도 진출 성공모형
    가. 인도 진출에 대한 장기적 접근
    나. 현지 유통파트너 확보 필요
    다. 인도 맞춤 현지화 전략
    라. 단계별 진입전략과 FDI
3. 인도 수출기업에 대한 정부정책 방향
    가. 인도시장 연구조사 프로그램 및 연구기관
    나. 인도 진출지원 TF(Task force) 구성
    다. 인도정부와의 협력관계 강화


참고문헌


부록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230
판매가격 10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보고서 시진핑 시기 중국의 해외직접투자 전략 변화와 시사점 2023-12-30 연구보고서 해외직접투자가 기업의 지식재산권 확보와 성과에 미치는 영향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 전략 경쟁 시대 글로벌 기업의 대응과 중국진출 한국기업에 대한 시사점 2022-12-30 ODA 정책연구 공공기관 ESG 현황과 경영전략: 해외사례를 중심으로 2022-11-21 연구자료 대러시아 제재가 중동부유럽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2022-12-30 연구자료 국내외 ESG 평가사별 점수 비교: 국내 기업을 중심으로 2022-12-30 연구보고서 디지털세가 다국적기업의 해외 투자에 미치는 영향 2021-12-30 연구자료 주요 선진국의 외국인직접투자 정책변화와 시사점 2022-07-29 세계지역전략연구 신남방 국가의 중소기업과 현지 한국 중소기업간 상생 협력 방안 2021-12-30 연구보고서 미ㆍ중 갈등시대 일본의 통상 대응 전략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동아프리카 스타트업 시장분석 및 한국기업의 진출방안 2021-06-21 전략지역심층연구 중국의 대유럽 투자와 유럽의 정책대응 2020-12-30 연구보고서 주요 중소ㆍ중견 기업의 대중국 전략 분석 2020-07-29 연구보고서 한국의 FTA 15년 성과와 정책 시사점 2019-12-30 Working paper Global Financial Imbalance: Firm-level Evidence from Korea 2020-05-15 Working paper How Does Protectionist Trade Policy Interact with FDI? 2019-12-30 전략지역심층연구 중소기업의 중동부유럽 진출을 위한 거시환경 분석: 경제, 제도, 비즈니스 환경을 중심으로 2019-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한국의 아세안투자 특성과 시사점: 해외 자회사 활동과 모기업 자료를 연계한 분석 2019-12-30 연구보고서 중동 주요국의 중소기업 육성정책과 한·중동 협력 확대방안 2018-12-28 연구보고서 리쇼어링의 결정요인과 정책 효과성 연구 2018-12-28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