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중국종합연구

발간물

목록으로
중국종합연구 중국 인터넷기업 해외진출에 따른 한중 협력방안 연구 경제협력, 기업경영

저자 김성옥, 윤석훤 발간번호 13-57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3.12.30

원문보기(다운로드:1,610)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1. 연구배경 및 목적
2013년 3월에 개최된 양회(兩會)에서 중국의 유명 인터넷기업 텐센트(Tencent)의 마화텅 회장은 ‘인터넷 발전전략 실시, 경제사회 혁신 발전 가속화에 관한 건의(关于实施互联网发展战略,加快经济社会创新发展的建议)’, ‘인터넷기업 해외진출(走出去)의 국가 전략으로 제고에 관한 건의(关于将互联网企业“走出去”提升为国家战略的建议)’ 및 ‘양호한 자주혁신환경 조성, 과학기술혁신기업 발전 촉진에 관한 건의(关于营造良好自主创新环境,促进科技创新企业发展的建议)’세 개의 안을 제시했다. 그 중에서도 인터넷기업의 해외진출을 국가전략으로 삼아야 한다는 주장은 국가가 재세, 기술혁신, 지식재산권, 인재, 시장환경 배양, 중점영역과 주요환경개혁 등 방면에서 인터넷기업과 인터넷기업의 신상품 개발, 보급을 지원하고, 인터넷기업 혁신을 격려해야 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담고 있다.
텐센트 뿐 아니라 다수의 중국 인터넷기업은 현재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으며, 대규모의 이용자층을 기반으로 내수시장에서의 지위를 확고히 한 후, 해외진출을 가속화하고 있다. 약 4억여 명의 인터넷인구를 바탕으로 성장한 중국의 인터넷기업들은 세계10대 인터넷기업 중 텐센트, 바이두, 넷이즈 3개의 중국 기업이 속해 있고, IT기업으로 범위를 넓혀 보아도 전체 25위 기업 안에 텐센트(14위)와 바이두(22위)가 포함된다. 그만큼, 중국의 인터넷기업들은 세계 시장에서 일정 지위를 확보해 나가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해외진출을 도모하고 있다.
중국 국내의 상황으로 보면, 약 200여개의 앱마켓과 다양한 플랫폼이 거대한 규모의 이용자층을 만족시키기 위해 끊임없이 양질의 콘텐츠를 발굴하려 애쓰고 있으나, 반면 국내에서는 정부의 강한 규제를 받고 있어서 해외시장을 개척해야 할 필요성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각 인터넷기업들이 종합 플랫폼 기업으로 성장하면서 더 많은 이용자와 참여자를 규합해야 할 필요성에 맞닥뜨렸고, 이 과정에서 중국 인터넷기업들의 해외진출은 필연적인 과정으로 나타나게 된다.
인접국인 한국으로서는 어떻게 중국 인터넷기업의 해외진출을 바라보고 이에 대응하며 중국기업과의 협력방안을 구축해야 하는가는 반드시 고민해보아야 할 문제이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국 인터넷기업들의 해외진출 동기와 방법 및 한국 진출 현황과 특징을 파악하고, 중국 인터넷기업의 진출 과정에서 우리와 협력할 수 있는 부분을 탐색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양국의 주요 인터넷기업의 협력 방안과 정부 차원에서의 협력 방안을 도출하여 양국의 인터넷산업이 공동으로 발전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한다.

2. 주요 연구내용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인터넷 대표기업인 SNS의 텐센트, 검색 포털의 바이두, 온라인게임의 퍼펙트월드, 샨다, 전자상거래 알리바바 등, 중국 주요 인터넷기업의 선별 및 사례분석을 통하여 중국 인터넷기업의 해외진출 현황과 진출방법, 그리고 한국진출 현황과 진출방법을 고찰하고, 중국 인터넷기업들의 해외진출에서 현 단계 한국이 가지고 있는 위상을 분석한 후, 이에 따른 협력방안을 도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총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제1장인 서론에서는 기업들의 해외 진출 전략(entry strategy)과 그 동기를 기존문헌 연구를 통해 살펴보고 있다. 선행연구들을 통해 기업의 해외진출 동기와 해외시장 진출전방법을 기반으로 한 연구의 틀을 제시한다.
제2장에서는 중국의 인터넷 시장과 기업의 현황 및 발전과정을 살핌으로써 중국 인터넷 관련 산업의 전체적 분위기를 파악하고, 주요 인터넷기업에 대해 개괄한다. 2013년 6월 기준으로 중국 인터넷이용자 수는 약 6억 명에 달하며, 그 중에서도 모바일 사용자는 전체 이용자수의 78.5%를 차지한다. 이렇게, 중국의 인터넷산업은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모바일 인터넷 및 관련 서비스의 발전이 급속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런 광활한 내수층을 기반으로 성장한 중국 인터넷기업들은 해외상장을 통한 자산확충과 모바일 플랫폼 전환을 통해 경쟁력을 제고하고 있으며, 특히 기업들의 모바일 플랫폼 전환은 중국 인터넷기업의 해외확장과 글로벌 협력을 필요로 하는 배경이 된다. 본 장에서는 해외진출과 협력의 배경으로서 중국 인터넷산업 및 기업 현황을 살펴본다.
제3장에서는 중국 인터넷기업의 해외진출 현황과 실제 메커니즘을 분석한다. 특히 이들의 진출형태를 자본, 기술, 플랫폼, 콘텐츠로 구분해 개별형태 및 업종별 콘텐츠 및 플랫폼에 따른 진출전략을 유형화한다. 중국 인터넷기업은 2000년대 후반부터 활발한 해외진출을 시도하고 있으며, 적극적인 해외상장, 그리고 해외상장을 통해 획득한 거대한 규모의 자본을 통한 해외기업 인수합병이 중국기업 해외진출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이다. 중국 기업은 해외상장을 통해 자산을 증식하고, 해외기업 인수합병을 통해 기술력을 확보하며, 해외 현지법인 설립을 통해 적극적인 현지화와 시장개척을 감행한다. 본 장에서는 중국 인터넷기업의 해외진출 현황 및 플랫폼과 콘텐츠 별 진출경로를 고찰하며, 이를 통해 중국 인터넷기업 해외진출의 메커니즘과 특성을 도출한다.
제4장에서는 중국 인터넷기업의 한국 진출 요인, 목적, 현황, 특징을 파악할 것이다. 최근 한국으로의 진출을 모색하고 있는 중국 인터넷기업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한․중간 합작이 빈번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의 한국진출 목적과 업종별 협력 형태, 한국 진출의 특성을 살펴보도록 한다.
제5장에서는 중국 인터넷기업의 해외진출 과정에서 한국 기업이 가지고 있는 특성과 위상을 정립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현 상황에 적합한 한중 협력방안을 모색한다.

3. 연구결과 및 결론
중국 인터넷기업의 해외진출과 한국진출에 대한 현황과 사례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중국의 인터넷기업들은 광활한 내수와 보호주의적 정부 규제, 그리고 자체적인 혁신에 기반하여 큰 성장을 이룰 수 있었고, 그 성장을 바탕으로 해외시장으로의 진출을 가속화하기 시작하였다. 텐센트, 바이두, 시나, 알리바바, 샨다 등 대부분의 기업들이 해외상장을 감행하였고, 중국 인터넷산업에 대한 기대감을 기반으로 막대한 자산을 획득할 수 있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해외진출을 가속화하면서 글로벌 영향력을 키워나가고 있다. 그 과정에서 중국 인터넷기업의 해외진출은 콘텐츠와 플랫폼의 특성에 따라 달라지며, 고유한 혁신패턴과 진출패턴을 보인다. 텐센트는 위챗의 영어버전 개발 등을 통해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글로벌화의 수위를 높여가고 있으며, 온라인게임은 지사설립과 현지투자 등을 통해서 기술경쟁력을 높여가고 있다. 바이두 등의 검색포털 기업은 검색포털이 가지고 있는 시장 점성으로 인해 해외진출이 용이하지 않았으며,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의 확대를 통해 해외 이용자들과의 접점을 만들고자 한다.
한국에 진출한 인터넷기업은 대부분 온라인게임 업체이다. 이들이 한국에 들어온 이유는, 초기에는 한국의 선진적인 콘텐츠를 확보하여 중국과 기타 해외시장에 퍼블리싱하여 시장을 개척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따라서 초기에는 단순히 한국의 콘텐츠를 확보하기 위한 라이센스 형태의 진입이 많았다.
두 번째 단계는 지사설립과 M&A를 통한 기술 확보이다. 중국 게임업체들은 미국, 유럽, 일본 등지에서 이미 지사를 설립하고, 현지인력 활용과 현지 R&D를 통해 놀라운 기술축적 역량을 보여주었다. 한국에서도 마찬가지로, 텐센트, 샨다, 쿤룬 등 대부분의 진입업체들이 각자 한국 지사를 설립하고 현지 인력을 채용하고, 긴밀한 협력관계를 구성하였다. 또한 M&A를 통해 현지 기업을 지사화, 자회사화 하는 경우도 많았다(샨다, 퍼펙트월드). 이는 단순한 라이센스 확보를 넘어서서, 한국의 콘텐츠 기술력과 개발 및 운영 능력을 배양하기 위함으로 판단된다.
세 번째 단계는 기술제휴를 위한 전략적 제휴, 간접투자의 단계이다. 초기에는 인수합병과 지사설립 등 적극적인 방법으로 한국 시장을 두드리던 중국 인터넷기업들은, 이제는 다시 간접투자와 부분 협력 등의 점진적 방식을 통해 다수의 콘텐츠를 확보하며 투자 효율성을 높이고 있는데, 이는 중국 인터넷기업의 해외진출 형태에서 한국이 가지고 있는 위상을 대변하는 것이기도 하다. 기타 지역으로의 해외진출 시, 중국 인터넷기업은 현지 기업에 대한 대대적인 인수합병을 통한 스프링보드(springboard)형 성장의 패턴을 보이고 있는 반면, 한국에서는 이보다 한층 느슨한 협력형태인 전략적 제휴, 그 중에서도 비지분투자 형식의 간접투자를 진행함으로써 기업 간 결속보다는 콘텐츠의 확보에 집중하고 있는 것이다.
콘텐츠 경쟁력은 한국이 가지고 있는 비교우위이며, 전략적 제휴를 통한 중국의 플랫폼-한국의 콘텐츠, 중국의 투자-한국 개발업체의 기술 간 협력은 한중 인터넷기업 간의 보편적인 협력 형태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동시에, 중국 국내에서 대형 인터넷기업들의 플랫폼 전쟁이 격화되면서, 한국으로서는 온라인게임 중심의 협력 영역의 저변을 확대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겨났다. 중국 인터넷기업이 자체 플랫폼을 구축하고 다양한 서비스를 통합하기 시작하면서, 한국으로서는 협력 공간 확대의 가능성이 생기고 있는 것이다.
현재 우리에게 중국 인터넷기업과의 협력방안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안정적인 협력관계를 가져나가는 것은 필요한 일이며, 이는 한국 내 플랫폼 독점화, 투자 지원 및 진출 지원 부족으로 인해 사업기회를 모색하기 힘든 중소 개발자들과 한국의 시장포화로 인해 고민하고 있는 업체들에게 자본 유입과 시장 확대의 기회를 동시에 가질 수 있는 경로가 되어줄 수 있을 것이다.
국문요약

제1장 서 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선행연구
가. 해외시장 진출방식에 관한 연구
나. 해외진출 동기에 따른 유형화
다. 기업 간 협력 형태
라. 인터넷기업 해외진출에 관한 연구
마. 인터넷기업 협력에 관한 연구
3. 연구범위 및 연구방법
가. 연구범위
나. 연구방법

제2장 중국 인터넷기업 현황
1. 중국 인터넷산업 현황
2. 중국 인터넷 주요 업종별 현황
가. SNS
나. 검색 및 포털
다. 전자상거래
라. 온라인 게임
마. 기타 모바일 부가서비스
3. 중국 인터넷기업의 발전 현황
가. 인터넷기업 상장 현황
나. 주요 인터넷기업 개관

제3장 중국 인터넷기업의 해외진출 현황 및 메커니즘
1. 중국 인터넷기업의 해외진출 현황
가. 해외 서비스시장 진출 현황
나. 해외 자본시장 진출 현황
다. 인수합병(M&A)을 통한 진출
2. 중국 인터넷기업의 해외진출 전략
가. 중국 인터넷기업의 해외시장 진출 사례 분석
나. 분야별 콘텐츠 및 플랫폼 특성
3. 중국 인터넷기업의 글로벌화 메커니즘

제4장 중국 인터넷기업의 한국진출 현황 및 특성
1. 중국 인터넷기업의 한국진출 현황
가. 중국의 대한국 투자 현황
나. 중국 인터넷기업의 한국 진출 현황
2. 중국 인터넷기업의 한국 진출 사례
가. 텐센트
나. 퍼펙트월드
다. 샨다게임즈
라. 쿤룬
마. 알리바바
바. 인민망
3. 중국 인터넷기업의 한국 진출 경로 및 특성
가. 중국 인터넷기업의 한국 진출 경로
나. 중국 인터넷기업의 한국 진출 특성

제5장 시사점 및 한중 협력방안 모색
1. 결론 및 전망
가. 요약 및 결론
나. 한중 인터넷기업의 협력 전망
2. 한중 협력에 대한 시사점
가. 중국 인터넷기업 해외진출에 따른 시사점
나. 중국 인터넷기업 한국진출에 따른 시사점
다. 한중 협력에 대한 시사점
3. 한중 협력방안 모색
가. 기업간 협력방안
나. 한중 협력을 위한 정책 방안
4. 본 연구의 한계점

참고문헌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249
판매가격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세계지역전략연구 Exploring Urban Perception on Climate Change in Developing Countries 2024-08-29 단행본 2023 KIEP 정책연구 브리핑 2024-06-28 연구보고서 대러 경제 제재가 러시아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한-러 경제협력 안정화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글로벌 경제안보 환경변화와 한국의 대응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인도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몽골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몽골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전략 추진을 위한 한-태평양도서국 중장기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 기술경쟁 시대 중국의 강소기업 육성전략과 시사점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경쟁에 따른 아세안 역내 공급망 재편과 한국의 대응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남아공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자료 동티모르의 아세안 가입 지원 및 개발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멕시코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멕시코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호주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호주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시대 한ㆍ인도 경제협력의 방향과 과제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 서비스 산업 구조 분석과 한-인도 산업 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일본의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관리와 한·일 간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연구보고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EU의 '개방형 전략적 자율성' 확대에 미친 영향: 에너지 전환, 인적 교류, 안보 통합을 중심으로 2023-12-30 연구보고서 중동부유럽으로의 EU 확대 평가와 향후 전망 2023-12-29 중국종합연구 한중 탄소중립 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2023-12-29 중국종합연구 2023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3-12-29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