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Working paper 외환위기 이후 한국해외현지법인의 구조조정실태와 애로사항: 인도네시아 기업경영

저자 김완중 발간번호 98-08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1998.12.30

원문보기(다운로드:627)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外換危機 이후 인도네시아 경제가 크게 침체되고 정치불안마저 겹쳐 투자환경이 악화되면서 인도네시아에 대한 外國人投資가 크게 감소하고 있다. 같은 맥락에서 인도네시아에 대한 한국기업의 투자도 급격히 줄고 있을 뿐만 아니라 기진출 기업 중 철수하는 기업도 나타나고 있다. 인도네시아 진출기업들은 외환위기 이후 현지의 全般的인 事業環境 중 원부자재 조달, 자본조달, 정치적 안정 측면이 악화된 것으로 평가했는데 특히 현지법인의 자본조달상의 어려움과 현지의 政治不安에 대해 큰 우려를 나타냈다.

한편 현지 인력조달, 인건비 측면에 있어서는 외환위기 이후에 오히려 개선되어 현지법인의 輸出競爭力에 플러스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또한 인도네시아에 진출한 대부분의 한국계 기업들은 수출 지향적인 기업인 관계로 외환위기의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즉 루피아貨 가치하락에 따른 수출가격 경쟁력 제고라는 긍정적인 효과를 보고 있다.業種別로는 완구부문, 의류부문, 자원개발부문의 경영성과가 양호하고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섬유부문과 전기전자부문 그리고 자동차부문에 있어서는 경영성과가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경영성과 악화의 주 요인은 현지의 정치불안에 따른 바이어 이탈이라는 인도네시아 내부적 요인과 제품에 대한 세계적 수요 감소라는 외부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自動車部門(국민차)의 경우는 외환위기 이후 내수가 크게 위축되어 큰 어려움에 빠져있으며, 기존에 국민차에 제공되었던 각종 세제상 특혜가 사라지고, 수하르토 퇴진이후 정부의 자금지원 마저 중단된 상태이다. 인도네시아 진출 한국계 기업들은 한국이 외환위기에 빠지면서 資金調達에 큰 어려움을 겪는 등 이중고를 겪고 있다.

그러나 인도네시아에 진출했던 기업 중 철수한 경우는 인도네시아 현지 사정보다는 한국 본사의 構造調整 등에 기인한 측면이 많다. 인도네시아 진출 기업 중 현재 사업을 계속하고 있는 기업들의 경우 인도네시아의 투자여건 변화에 따른 철수계획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오히려 경쟁력 제고로 수출이 크게 증가한 일부기업의 경우 현지 생산규모를 확대할 수 있다는 자신을 보이기도 했다. 한편 인도네시아 진출 기업 중 내수판매 비율이 높았던 일부 家電製品 생산 기업의 경우에 외환위기이후 현지 생산라인과 현지인력을 대폭 줄이는 構造調整을 실시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그외 대부분 기업의 경우 대폭적인 생산라인 축소와 인력감축과 같은 양적 측면에서의 구조조정을 하기보다는 현재의 생산 규모를 유지하면서 生産性 向上과 같은 질적인 측면에서의 구조조정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루피아貨 가치하락으로 수출경쟁력이 제고되자 그 동안 내수판매를 해왔던 몇몇 기업은 상품의 판매를 내수에서 수출로 전환하고 있으며, 상당수의 기업들이 외환위기를 계기로 원부자재의 現地調達 비율 제고에 많은 관심을 나타냈다. 한편 거의 모든 인도네시아 진출 한국계 기업들이 자금조달에 있어서의 애로사항을 해소하기 위한 政府次元에서의 지원을 호소했다. 인도네시아의 정정불안 등 어려운 여건 하에서도 인도네시아 진출 현지법인들은 수출여건이 개선되어 호기를 맡고 있으나 주요 資金供給源인 현지의 한국계 금융기관의 자금회수 및 신규대출 억제로 기회를 놓치고 있다며 안타까워했다. 인도네시아는 한국의 주요 수출 대상국이고 그 수출 중 상당부문은 현지 진출 현지법인들의 원부자재 조달과 관련되어 있는바, 인도네시아 진출 기업의 수출확대는 한국의 輸出擴大에 직간접적으로 연결된다고 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현지법인들은 한국의 수출증대를 위해서도 인도네시아 현지법인들에 대한 금융상 애로사항 해소방안을 한국정부에 간절히 요청하고 있다.
Currency Crisis and Difficulties for Overseas Affiliates:A Case Study on the Restructuring of Korean Affiliates in Indonesia
Wan-Joong Kim

Indonesia's currency crises and political uncertainty have caused a decrease of FDI in Indonesia. Likewise Korean overseas direct investment in Indonesia has contracted(see Figure 1). While Korean firms in Indonesia regarded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uncertainty as providing a negative environment for investment following the currency crisis of Indonesia, a cheap labor supply provides incentives to continue to do business in Indonesia(see Figure 2). Korean firms, therefore, could minimize the negative effects of the currency crisis in that they were largely export-oriented firms.

Figure 1. Korean Overseas direct Investment in Indonesia

Figure 2. Results of Survey concerning Indonesian InvestmentEnvironment following the Outbreak of the Financial Crisis
Korean firms participating in toy, clothing, and mining production in Indonesia have maintained a good business performance despite the currency crisis. However, the business performance of firms within the textiles, electronics and electricity, and automobiles industries have suffered during the same period. One of the reasons for the poor business performance of the latter group is the reduced number of overseas buyers of products from Indonesia as they fear political uncertainty. The decrease of global demand for such goods has also hurt such exports. In particular, Kia Motors' affiliate in Indonesia is currently experiencing difficulties due to the decrease of local demand for cars, revocation of tax favors from Indonesian government, and a halt of capital supply. As a result, prospects for the 'National Car Project' which Kia tried to enter as a joint venture with Tomy (former Indonesian president Suharto's third son) has become very uncertain.
In addition, the currency crises in Korea has caused great difficulties for firms established in Indonesia in raising needed capital. Thus, the withdrawal of Korean firms from Indonesia is more often due to the home country's economic conditions rather than host country's current situation. According to the author's survey, Korean firms that remain in Indonesia do not intend to withdraw from the country. Instead, some firms have plans to expand their production capacity in Indonesia as a result of improvements in export price competitiveness(see Figure 3).

Figure 3. Results of Survey concerning Coping Strategy of Korean Firms in Indonesia: Production Levels

Figure 4. Results of Survey concerning Coping Strategy of Korean Firms in Indonesia: Methods of Production, Marketing, Raising Capital, ets

Some of Korean firms which had relied on local demand have restructured themselves by reducing production capacity and number of local laborers. Many firms' restructuring process has been concentrated primarily on quality, such as increasing productivity, rather than focusing on quantity, such as decreasing the amount of labor and capacity. Other firms have changed their strategy to increasing target exports and the ratio of local procurement of raw materials(see Figure 4).

All Korean firms that were surveyed in Indonesia requested financial help from the Korean government to alleviate the difficulties of acquiring capital through banks. They have insisted that despite the political uncertainty which Indonesia is presently undergoing, there existed a good opportunity for increasing exports. However, these Korean firms are unable to capitalize on such opportunities as many of the Korean bank branches in Indonesia which Korean firms have been relied on for credit, have succumbed to the Indonesia crisis.

Korean firms in Indonesia have imported from Korea a large portion of raw material necessary for manufacturing. Therefore, exports of Korean firms established in Indonesia are closely connected to exports of Korean firms at home to Indonesia. Thus, Korean firms have requested the Korean government to provide desperately needed trade financing.
요약

Ⅰ. 序論

Ⅱ. 外換危機 이후 인도네시아의 投資環境 變化와 外國人投資 動向

1. 外換危機 이후 인도네시아의 經濟與件 變化와 展望
가. 最近 經濟與件
나. 危機克服 課題와 展望
2. 外換危機 前後 인도네시아의 外國人投資 政策 變化
가. 外換危機 以前의 外國人投資 政策
나. 外換危機 以後 인도네시아의 外國人投資 政策 變化
3. 外換危機 이후 인도네시아에 대한 外國人投資 動向
가. 인도네시아에 대한 外國人投資 動向
나. 인도네시아에 대한 韓國企業의 投資動向

Ⅲ. 인도네시아 進出 韓國企業의 外換危機 이후 事業環境變化에 대한評價와 部門別 運營實態 및 構造調整

1. 現地의 全般的인 事業環境 및 撤收 등 構造調整 決定要所에 대한韓國企業의 評價
가. 現地의 全般的인 事業環境 變化에 대한 韓國企業의 評價
나. 韓國企業의 構造調整 決定要素에 대한 評價: 企業內部的 要因
다. 韓國企業의 構造調整 決定要素에 대한 評價: 企業外部的 要因
라. 韓國企業의 撤收與否 및 構造調整 方向
2. 韓國企業의 部門別 運營實態와 構造調整
가. 玩具部門
나. 纖維 및 衣類部門: 봉제 중심
다. 신발부문
라. 飮食料部門
마. 資源開發部門
바. 電氣電子部門
사. 自動車部門
아. 其他部門

Ⅳ. 要約 및 示唆點

參考文獻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138
판매가격 7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보고서 미·중 전략 경쟁 시대 글로벌 기업의 대응과 중국진출 한국기업에 대한 시사점 2022-12-30 ODA 정책연구 공공기관 ESG 현황과 경영전략: 해외사례를 중심으로 2022-11-21 연구자료 국내외 ESG 평가사별 점수 비교: 국내 기업을 중심으로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신남방 국가의 중소기업과 현지 한국 중소기업간 상생 협력 방안 2021-12-30 연구보고서 주요 중소ㆍ중견 기업의 대중국 전략 분석 2020-07-29 Working paper Global Financial Imbalance: Firm-level Evidence from Korea 2020-05-15 Working paper Exchange Rates and Firm Exports: The Role of Foreign Ownership and Subsidiaries 2018-08-31 연구보고서 남미공동시장(MERCOSUR)의 경제환경 변화와 한ㆍMERCOSUR 기업간 협력 활성화 방안 2017-11-30 Working paper Determinants and Consequence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Evidence from the Revision of the Company Act in India 2017-04-28 전략지역심층연구 한국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의 인도시장 진출방안 연구 2016-12-30 연구보고서 뉴노멀 시대 중소기업의 대외경쟁력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연구: 한국과 대만을 중심으로 2016-08-30 연구보고서 중국 신흥도시의 소비시장 특성과 기업의 진출전략 2014-12-30 중국종합연구 중국 인터넷기업 해외진출에 따른 한중 협력방안 연구 2013-12-30 연구자료 중국 진출 한국 기업의 유턴 유형화 및 유턴정책 개선방안 2013-06-19 연구자료 중국 상하이(上海) 시 고급소비재 시장 진출기업 경쟁전략 분석 및 시사점 2012-12-31 연구보고서 한국 해외투자의 경제적 효과 분석: 생산성, 무역, 고용을 중심으로 2010-12-30 연구자료 인도 권역별 진출환경 평가: 남부 2010-12-30 Working paper Trade Openness and Vertical Integration: Evidence from Korean Firm-Level Data 2009-12-30 단행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년사 2010-01-15 Working paper Firm Heterogeneity in the Choice of Offshoring: Evidence from Korean Manufacturing Firms 2009-06-1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