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세계지역전략연구 한-베트남 농업분야 중장기 협력전략 수립 연구 경쟁정책, 경제협력

저자 허장, 전형진, 김상현, 이효정, 이병훈, 이대섭, 이수환, 최정만 발간번호 세계지역전략연구 19-10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9.12.30

원문보기(다운로드:3,905)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2017년 정부가 발표한 신남방정책은 베트남과의 교역규모를 2020년까지 1,000억 달러로 확대하겠다고 제시하였다. 한-베트남 교역규모는 2018년 682억 6,500만 달러로 2009년에 비해 7.2배 증가하였다. 한-베트남 농축산물 교역액은 2018년 19.3억 달러로 2010년 이후 연평균 20.6%씩 증가하였다. 2018년 對 베트남산 농축산물 수입액은 우리나라 전체 농축산물 수입의 3.5%, 대 베트남 농축산물 수출액은 전체의 6.7%에 이른다. 한-베트남 개발협력 규모는 2017년 1억 9,545만 달러이고, 우리나라로부터의 무상원조 수원규모는 전 세계 1위이다.
   이렇게 협력관계가 급속하게 확대되는 현실에 맞추어 농업분야에서 체계적인 중장기 개발협력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동남아시아에서 베트남이 차지하는 사회적, 경제적 위상은 매우 높다. 베트남 농업의 잠재력도 매우 크고 인근 동남아 국가와 농업생산구조도 유사하여 이 지역에서의 농업발전의 선도적 모델이 될 수 있다. 또한 베트남이 성공적으로 추진한 개혁·개방(‘도이머이’) 정책과 경험이 2018년 이후 급속하게 추진되고 있는 남북한 교류협력과 경제협력에도 많은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는 농업분야에서 우리나라와 베트남 간의 경제 및 개발협력 현황을 분석하고 베트남의 체제개혁 과정 및 현재의 주요한 농업 관련 정책과 전략들을 살펴봄으로써, 양국간 농산물 교역과 농업 ODA의 확대·개선을 위한 과제와 방향을 도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추진되었다.
   연구를 위해 각종 문헌과 보고서 이외에 Kati, FAOSTAT, Global Trade Atlas, UN Comtrade, OECD.Stat, 그리고 국무조정실의 ODA KOREA 등 DB를 활용하였다. 하노이, 호치민 시, 람동성과 달랏시의 공공기관, 민간업체를 방문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하노이에서 개최된 국제회의(2019. 7. 24)에 중간 연구결과의 일부를 발표, 의견을 청취한 뒤 연구에 활용하였다.
   베트남은 2000년대 초중반부터 연평균 7%대의 고도성장을 달성한 동남아시아의 대표적인 신흥 경제국이다. 전체 GDP 가운데 농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7년 14.8%이다. 주요 농산물은 벼, 옥수수, 카사바, 채소류, 열대과일, 차, 커피, 고무, 후추, 캐슈넛 등이 있다. 주요 수출 품목은 목재와 목재 제품, 수산물, 과일·야채, 커피, 캐슈넛, 쌀, 고무, 차, 후추, 카사바와 카사바 제품 등이 있다. 수출 대상국은 중국, 미국, 동남아, 일본, 한국 등이다.
   베트남 통일 이후 대내외 요인(서방의 경제제재 등과 중국과의 전쟁 등) 때문에 경제상황이 악화일로를 걸으면서 1986년 도이머이, 즉 개혁·개방정책을 도입하였다. 농업분야에서의 주요 개혁조치로는 농업경영책임제, 농산물유통 자유화, 농민들의 농지사용권 권리 행사를 보장하는 농지이용법 제정(1993년) 등이 있다. 그 효과로 1988년 이후 베트남의 농업 생산이 안정적으로 증가하였다.
   최근의 중요한 베트남 국가발전 전략은 「사회경제개발전략(SEDS)」으로, 2020년까지 1인당 GDP 3,200달러 달성을 전략 목표로 하였다. 「농업 재구조화」정책, 「농업생산발전 마스터플랜」, 「농업재건 프로그램」등 농업분야 전략들에서는 2030년까지는 농림수산업 GDP의 연평균 성장률이 3∼3.2%, 생산액 증가율 4∼4.3%, 농지 1ha당 생산액 1억∼1억 2,000만 VND 등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신농촌개발을 위한 국가목표프로그램(NTP-NRD)은 우리나라의 새마을운동을 벤치마킹한 것으로, 2020년까지 10년 동안 전국의 9,001개 면을 실천단위로 추진되고 있다.
   한-베트남 FTA가 발효된 이후에는 관세율 인하 등으로 베트남산 농축산물 수입액이 연평균 26.6%씩 증가하고 있다. 베트남은 우리나라 농축산물 수출액이 전 세계에서 4번째로 많아 2018년에 4억 6,000만 달러의 농축산물을 수출하였고 연평균 증가율은 7.3%에 달한다.
   베트남 식품과 식품유통 부문은 세계에서도 유망한 시장 중 하나로 평가된다. 1억 명에 가까운 풍부한 인구 및 총 인구의 절반 이상에 해당하는 25~54세 미만의 청장년 인구 층과 경제성장으로 인한 가계소득 상승 등은 베트남 식품시장의 성장잠재력을 강력히 뒷받침하고 있다. 한국 브랜드와 한류에 대한 높은 신뢰는 베트남 식품시장에서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을 위한 좋은 기회요인이나 가격, 노후 물류시스템 부족 등은 저해요소로 꼽힌다.
   주력수출품목과 수출성장품목을 선정하여 현시비교우위지수(RCA), 시장별 비교우위지수(MCA), 국별 비교우위지수(CAC), 시장점유율지수(MSI) 등 다양한 지수로 수출경쟁력을 분석하였다.
   농식품 부문 글로벌 가치사슬(GVC) 현황을 보면 우리나라는 가공무역 형태의 최종재 농식품 수출과 중간재 농식품 수출 모두 빠르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한-베트남 FTA 및 한-아세안 FTA를 활용한 농식품 분야 GVC의 생산단계별 연계가 중요하다. 우리나라 수출 농식품이 중간재로 타국의 수출품에 투입되는 경우 글로벌한 부가가치사슬이 형성되는 과정을 인스턴트커피를 사례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원료 농식품의 對 베트남 수출이 증대하고, 제조기술 제공으로 인한 부가가치 증가, 전후방 연관 산업 성장 등 직간접적인 효과도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으로는 SPS, TBT, 통관 등에서의 각종 비관세장벽이 양국간의 교역 확대의 걸림돌이 되기도 한다.
   2010년부터 2017년까지 국제사회에서 베트남에 지원한 ODA 총액은 364억 3,215만 달러다. 이 중 농림수산 분야에 지원된 ODA 규모는 2017년 기준 4억 4,170만 달러로 전년도 대비 99.7% 증가하였다. 농림수산 분야가 차지하는 비중도 2016년 4.2%에서 2017년 12.8%로 3배 이상 증가하였다. 베트남에 ODA 지원을 가장 많이 한 국가는 일본, 독일, 한국, 미국, 호주 순이었다. 우리나라가 2010년부터 2017년까지 베트남에 지원한 ODA 규모는 총 21억 9,354만 달러이다. 무상원조의 경우, 동기간 8%에서 17%로 상승하였지만 2017년 유상원조의 비중이 83%로 나타나 유상원조의 비중이 높았다.
   농림수산 분야에 대한 지원은 2010년 100만 달러에서 2017년 425만 달러로 4배 이상 증가하였다. 농업부문의 지원 건수는 교육·훈련, 농업개발, 농촌개발, 축산, 농업정책 및 행정관리 순으로 많았다. 2019년도 베트남 지원 예산은 1,703억 원이다.
   KOICA는 성 단위 지역을 대상으로 새마을운동 방식의 농촌개발에 초점을 맞추는 반면에 농식품부는 채소와 쌀 등 농작물의 생산역량 강화, 유통시설 지원, 민간업체와의 계약재배 추진 등 가치사슬 개발을 지원하는 세부사업에 초점을 맞추어 협력사업을 진행한다는 특징이 있다. 베트남에 대한 농업분야 ODA 사례로는 농식품부의 ‘가공용 감자 종서 생산시설 및 기술지원 사업’과 KOICA의 ‘베트남 농촌 새마을운동 시범사업’을 들 수 있다.
   ‘무역을 위한 원조(AfT)’를 통한 개발협력 추세를 보면, 베트남에 대해서는 일본이 전체 지원액의 50%를 차지하고 우리나라는 2017년 기준 약 1억 달러를 지원하였다. 향후에는 가공식품 산업, 운송부문 중 저장 부문 등에 대한 지원이 중요하다는 것이 각종 문헌에서의 의견이다.
   한국의 민간업체는 다양한 형태로 베트남에 진출하고 있다. 한국은 2015년 9월 최대 투자국이 되었고, 누계 투자 6,883건으로 건수 기준에서도 對 베트남 최대 투자국이다. 농업분야의 경우 해외농업 진출기업 신고 자료를 통해 보면, 베트남의 경우 옥수수, 카사바, 바나나, 딸기 등이 생산, 유통되고 일부는 국내로 반입된 적이 있다. 식품가공 분야에서는 가축 및 양어장 사료 생산관련 업체가 진출해 있다. 그러나 농촌 지역의 열악한 인프라로 인해 투자 유치가 쉽지 않다.
   향후 농업 분야에서의 중장기 전략은 양국간의 개발협력이 경제협력과 밀접하게 연계하여 추진하도록 하고, 베트남의 향후 개발전략과 연계하여 이를 뒷받침하는 경제 및 개발협력 전략이어야 한다. 이러한 기본방향 아래 세 가지의 협력모델이 가능하다. 우선, 가치사슬 내 취약·잠재력 부분을 파악하여 이에 중점적으로 지원함으로써 양 협력분야가 연계될 수 있다. 특정 작목을 대상으로 특정 지역에 한정하여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는 원료농산물 공급농가와 민간기업 간의 연계이다. 해외 진출 기업에게 기술전수 및 해당 농산물에 대한 계약재배 형태의 구매 역할을 부과하고 관개시설 및 연계 도로 건설 등의 사업과 건조·저장 시설 등 관련 인프라는 ODA 사업으로 지원하여 수혜자의 안정적 소득 확보와 진출 기업의 중장기 원료 농산물 구매처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셋째, 물류·운송체계의 투자와 기술·인적자원 지원을 통한 연계이다. 유통, 해외수출 등에 필요한 물류나 운송체계 구축은 ODA 사업을 통해 지원하여 개도국 요구에도 부응하고 해외농업 분야에 진출한 민간 기업의 물류비용 절감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측면 지원하는 방안이다.
   이와 같은 협력모델과 함께 세 가지의 세부 협력추진 과제를 제시하였다. 첫째는 스마트 영농체계 구축의 지원이다. 베트남 정부는 하이텍 농기업 육성정책을 통해 스마트팜을 포함하여 IT를 활용한 고품질 고생산성 농기업으로 부가가치를 높이고자 노력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베트남을 농업자재, 장비 생산단지로 활용하려는 노력들이 늘어나고 있다. 정부도 스마트팜 플랜트 수출을 위한 ‘수출연구사업단’을 운영하는 등 해외 진출을 지원하는 상황이다.
   둘째, 생산 및 물류기지의 구축이다. 비효율적인 농식품 물류 인프라를 개선하고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을 확대하기 위해서 물류 인프라 지원이 조속히 요구된다. 베트남의 지리적 특성에 따라 북부지역과 남부지역으로 구분하여 경제지대(가령, 사이공하이텍단지)를 중심으로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는 교역확대를 위한 검역시스템 수립 및 역량강화이다. 이를 통해 농산물의 생산과 저장, 유통, 판매, 수출의 가치사슬 과정을 연계함으로써 지속가능한 부가가치 창출, 글로벌 가치사슬로의 연계 확대 등의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가 비교적 단기간에 선진국 수준으로 발전시킨 농림축산물 검역 시스템, 스리랑카를 대상으로 시행하고 있는 검역체계 개선 ODA사업, 그리고 농식품부의 개도국 동식물검역 역량강화 사업 등을 벤치마킹할 수 있을 것이다. 세부적으로는 검역관 등 담당자 등에 대한 교육 훈련 및 제도가 필요하고 검역에 필요한 조직, 인력, 설비와 검사장비의 보강이 필수적이다. 아울러 검역 전산화 및 정보화 체계가 구축되어야 하는데 베트남의 ICT 기술수준을 고려할 때 검역전산화 및 정보화 체계의 구축이 용이할 것으로 보인다.
 

   The so-called ‘New Southward Policy’, announced in 2017 by Korean government, declared its aspiration that the trade between Korea and Vietnam would expand to be as much as 100 billion USD by 2020. Current level of trade between two countries is 68,265 million USD which is 7.2 times as that in 2009. In agricultural sector, the trade has shown annual increase of 20.6% since 2010 by reaching 1.93 billion USD in 2018. In the same year, the share of Vietnamese agricultural products is 3.5% of total agricultural imports, and 6.7% of total agricultural exports by Korea. The budget of development cooperation with Vietnam disbursed in 2017 was 195.45 million USD, and the amount of grant aid to Vietnam is the largest in the world.
   It is required to establish mid- to long-term development cooperation strategy in agricultural sector in order to keep in pace with the ever-expanding relationship between two countries. Vietnam takes very high strategic positions in Southeast Asian region, socially and economically. Potential of Vietnamese agriculture is also high, and, as its agricultural production structure is very similar with other Southeast Asian countries, Vietnam’s agricultural development will imply a lot for them. Also, Vietnam’s reformation and opening policies and experiences (Doi Moi) can provide heavy implications for exchange and economical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s in the future.
   This study has the purposes to give basic informations to derive challenges and future directions for expanding and improving agricultural trade and ODA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between Korea and Vietnam, through the analyses of current status of economic and development cooperations and reviews of Vietnam’s structural reform process and contemporary key agriculture-related policies and strategies.
   Literature and reports as well as databases from Kati, FAOSTAT, Global Trade Atlas, UN Comtrade, OECD.Stat, and ODA KOREA were used for the study. Research team visited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located in cities of Hanoi, Ho Chi Minh and Da Lat for data collection. A part of research results were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held in July 24th, 2019 for comments.
   Vietnam has achieved annual economic growth rates as high as 7% since 2000s. Agricultural sector takes 14.8% in GDP in 2017. Key products are rice, maize, cassava, vegetables, troical fruits, tea, coffee, rubber, pepper, and cashew nuts. Exporting products are timber and timber products, aquatic products, fruits and vegetables, cashew nuts, rice, rubber, tea, pepper, cassava and cassava products, and so on, which are targeted to China, US, Southeast countries, Japan, and Korea.
   Vietnam adopted Doi Moi in 1986 when its economic conditions had deteriorated due to economic sanctions from Western countries and conflicts with China. Major reform measures in agricultural sector were, for instance, self-responsible agricultural management, liberalization of agricultural product marketing, enactment of agricultural land utilization for guaranteeing the execution of farmers’ land rights, and so on. Agricultural production started to increase stably since 1988, partly due to the measures.
   Recent important national development strategy is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Strategy, which aims to achieve 3,200 USD for per capita GDP by 2020. Other strategic documents, including Agricultural Restructuring Towards Raising Added Values and Sustainable Development, Master Plan for Agricultural Production Development, and Agriculture Restructuring Program, also declare the targets to achieve by 2030: annual GDP growth rate of agricultural sector to be 3~3.2%, growth rate of production amount 4~4.3%, production amount per 1 hectare of agricultural land 100~120 VND, and so on. National Targeted Program on New Rural Development for 2010∼2020 (NTP-NRD) applies tactics of Korean Saemaul Undong toward 9,001 communes around the country for 10 years by 2020.
   After Korea-Vietnam Free Trade Agreement (FTA) came into effect, the amount of imports of Vietnamese agricultural products are increasing 26.6% annually. Korea exported in 2018 460 million USD, which is the fourth largest in the world.
   Food and food distribution sectors are one of the most promising markets in the world. Young-aged people as well as near 100 million total population, and their income increases are potentially powerful factors for further growth. Highly favorable trusts toward Korean brands and Korean wave (Hallyu) are opportunities, on the one hand, while high prices and too old distribution and logistics system are threats.
   The study analyzes export competitiveness by utilizing four indicators after selecting main exporting products and export potential products—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Market Comparative Advantage, Comparative Advantage by Countries, and Market Share Index.
   Global value chain (GVC) analyses show that both the export of final products and export of intermediary goods in agro-food sectors have rapidly increased. It is important, therefore, to link the sectors in their production phases through using Korea-Vietnam FTA and Korea-ASEAN FTA. The study investigates the process in which the global chains of value addition are formed when exported agro-food products are input as intermediary goods into other country’s exported products by looking at the case of instant coffee. As results, it is expected that more raw agricultural products are exported, values are added by acquiring manufacture technologies, and forward and backward linkage industries are growing. However, it is witnessed that a various non-tariff barriers hinder increased trade between two countries.
   Between 2010 and 2017, international society offered 36,432 billion USD as ODA. Among them, agricultural ODA was 441.7 million USD which is 99.7% increase compared with the previous year. Agricultural sector’s share tripled from 4.2% in 2016 to 12.8% in 2017. Japan, Germany, Korea, US, and Australia are the countries which provided more ODA than other ones. Korea’s ODA to Vietnam between 2010 and 2017 reaches 2,193.54 million USD. Grant aid’s share swelled from 8% to 17% during the same time period, however, loan is 83% in 2017 taking lion’s share.
   Aid for agricultural sector including forestry and fishery sectors quadrupled from 1 million USD in 2010 to 4.25 million USD in 2017. The assistances were concentrated on education and training, agricultural development, rural development, livestock, agricultural policy and administration. In 2019, the ODA amount to Vietnam is 170 billion KRW.
   The grant aids from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KOICA) have been focused on rural development based on Saemaul Undong methods for province levels, whereas Korean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on value chain development such as production capacity enhancement in vegetable and rice growing sectors, logistic facilities, and contract farming with private companies. Cases such as ‘Seed potato production facilities and technologies’ project by MAFRA, and ‘Rural Saemaul Undong model’ project by KOICA are excellent examples to understand differences between two organizations.
   When analyzing assistance using the perspective of aid for trade (AfT), Japan takes about half of total development cooperation, whereas Korea assisted about 100 million USD in 2017. It is maintained that future aids should be more invested into processed foods and storage projects for more AfT.
   Korean private companies occupy the position of the largest investors since September 2015, showing 6,883 accumulated cases which is also the most in the world. In agricultural sector, maize, cassava, banana and strawberry are major products produced and marketed by Korean companies in Vietnam, and some of them have been exported to Korea. Although some processing companies are operating in Vietnam for producing such as animal feeds, poor infrastructure in rural areas make it hard to attract more investment.
   Mid- to long-term agricultural strategy in the future needs to link development cooperation with economic cooperation, and to support Vietnam’s development strategies. Three cooperation models are provided here. First, it is crucial to identify the weak and/or potential parts along the value chain of specific product, and to concentrate assistances on them. Second is the linkage between raw material supplying farmers and private processors. The companies would contract with farmers and purchase agricultural produces after harvest as well as providing producing technologies and inputs, whereas infrastructure such as irrigation facilities and access roads, including drying and storing facilities, are provided through the ODA projects. It will guarantee sustainable income for the contracted farmers, and stable supply of raw materials for processing. Third is the linkage through the investment in logistics and transportation system and supports for technology and human resources. Distribution, marketing, and export are all requiring heavy investment in infrastructure which will contribute to the cost saving for private companies operating business in Vietnam.
   This study also provided three areas for future cooperation between two countries. First is the establishment of smart agriculture system. Vietnamese government already started to support smart farms and high quality, high productive enterprises through hi-tech agricultural policy. A few Korean companies have exerted their efforts to utilize Vietnam as the site to produce high technology agricultural inputs and equipments. Korean government has recently initiated so-called ‘Export Research Task Forch’ for exporting smart farm-related industries.
   Second is the establishment of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r logistic bases at key places in Vietnam. It needs to support logistic infrastructure for improving inefficiency and expanding export of Korean agro-food products. Considering territorial feature of Vietnam, the study recommends to build two bases at north and south economic complexes, for example, Saigon Hi-Tech Complex.
   Third, it is required to establish quarantine system and capacity building of the related officers. Through the establishment, it is expected that value added is continuously created and global value chains are extended by linking processes of production, storage, distribution, marketing and export. Korean quarantine system will be an excellent model as it had been well-developed in a relatively short time. Also, the ODA project about quarantine system improvement for Sri Lanka, and capacity building project for officers from developing countries can be very good cases for benchmarking.
 

국문요약


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선행연구의 검토

3. 연구내용과 방법


2장 베트남 경제, 농업현황 및 사회경제발전 정책

1. 경제와 농업의 현황

2. 경제체제 개혁개방과 농업개혁

3. 국가경제발전 정책


3장 한-베트남 경제협력 현황

1. FTA 체결 현황 및 교역 동향

2. 농산물 수출 시장 분석

3. 농식품 글로벌 가치사슬 분석

4. 농업분야 경제협력의 주요 현안

5. 우리나라 민간부문의 진출과 경제협력 정책


4장 한-베트남 개발협력 현황

1. 농업개발협력을 위한 여건

2. 베트남 농업분야 ODA 수원 현황

3. ‘무역을 위한 원조의 성과


5장 한-베트남 농업분야 중장기 협력전략

1. 협력의 성과와 과제

2. 협력전략의 기본방향

3. 협력 모델

4. 세부 협력추진 과제


6장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부 록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274
판매가격 10,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세계지역전략연구 Exploring Urban Perception on Climate Change in Developing Countries 2024-08-29 연구보고서 글로벌 디지털플랫폼의 데이터 집중화에 따른 경제적 영향 분석 2023-12-30 단행본 2023 KIEP 정책연구 브리핑 2024-06-28 연구보고서 시진핑 시기 중국의 해외직접투자 전략 변화와 시사점 2023-12-30 연구보고서 대러 경제 제재가 러시아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한-러 경제협력 안정화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글로벌 경제안보 환경변화와 한국의 대응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인도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몽골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몽골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전략 추진을 위한 한-태평양도서국 중장기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 기술경쟁 시대 중국의 강소기업 육성전략과 시사점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경쟁에 따른 아세안 역내 공급망 재편과 한국의 대응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남아공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자료 동티모르의 아세안 가입 지원 및 개발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멕시코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멕시코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호주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호주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시대 한ㆍ인도 경제협력의 방향과 과제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 서비스 산업 구조 분석과 한-인도 산업 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일본의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관리와 한·일 간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연구보고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EU의 '개방형 전략적 자율성' 확대에 미친 영향: 에너지 전환, 인적 교류, 안보 통합을 중심으로 2023-12-30 연구보고서 중동부유럽으로의 EU 확대 평가와 향후 전망 2023-12-29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