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무역기술장벽(TBT)의 국제적 논의 동향과 경제적 효과 분석 무역장벽, 무역정책

저자 장용준, 김민정, 최보영, 현혜정 발간번호 중장기통상전략연구 19-05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9.12.30

원문보기(다운로드:4,619)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2000년대 이후 비관세조치 증가로 인한 보호무역주의의 확산은 전 세계적인 무역정책 기조의 중요한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비관세조치의 다양한 구성요소 중에서도 무역기술장벽(TBT: Technical Barriers to Trade)은 그 비중이 가장 크고 정책적 중요도가 높은 이슈로서 많은 주목을 받아 왔다. 그러나 기존연구에서는 TBT의 국제법적ㆍ경제적ㆍ정책적 분석을 포괄하는 종합적인 분석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이에 본 연구는 2010년 이후 최근에 구축된 TBT 자료를 활용하여 국제적 논의 동향, 무역분쟁 및 현안 사례와 기체결 FTA TBT 협정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고, 새롭게 개발된 정량적 방법론을 활용함으로써 해외 TBT의 우리나라 수출에 대한 효과와 FTA TBT 협정의 무역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최근의 국제적인 TBT 논의 동향을 살펴보면, WTO는 WTO TBT 협정의 이행과 적용에 관해 투명성 확보 절차를 강화하는 등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방안들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개도국 대상 기술 및 인증 인프라 지원과 특별우대조치를 강화하려는 방안이 마련되고 있으며, TBT 현안 해결과 WTO 제소 판정의 기준으로서 국제표준의 활용, 에너지효율 인증의 무역현안과 해결방안에 대한 국제적 논의가 확대되고 있다. OECD는 TBT 현안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결하는 방안인 ‘국제규제협력’을 구체적으로 논의하고 있다.
   TBT에 대한 국제적 논의 동향뿐 아니라, 국제법적 관점에서도 WTO TBT 분쟁과 특정무역현안의 현황과 특징, 지역무역협정 내 TBT 조항의 주요 내용과 특징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지역무역협정 중 FTA TBT 협상은 WTO TBT 협정의 규범과 절차를 기본 틀로 하여 TBT 현안 해소를 위한 투명성과 협력 강화 및 절차의 구체화를 기본 방향으로 하여 추진되었다. 특히 미국이 주도하였던 TPP(현 CPTPP)와 USMCA의 TBT 조항은 시험인증서비스 분야의 개방을 유도하고 정보통신 분야에서의 기술이전을 방지하는 등, WTO와 기존 FTA의 TBT 조항보다 진일보한 제도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어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한국은 WTO 출범 이후 식품ㆍ농수산물과 전기ㆍ전자 및 에너지효율 등의 분야에서 주로 미국, EU, 일본 등 선진국으로부터 다수의 특정무역현안을 제기받았고, 최근에는 FTA를 통해 TBT를 해소하는 전략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논의에 대한 한국의 참여와 정책적 노력을 뒷받침하기 위한 그간의 학술연구에서는 TBT가 무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교한 분석이 비교적 미흡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1996∼2014년 사이 한국의 129개 교역대상국에서 575개 품목에 대해 부과한 TBT가 한국의 수출에 가져온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역대상국의 기술규제조치는 평균적으로 한국의 품목별 수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효과는 금융위기 이전보다 이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고 있어, 최근의 보호무역주의 기조가 TBT의 수출제한효과를 견인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교역대상국이 한국보다 소득수준이 높으면 부정적인 효과, 대상국의 소득수준이 낮으면 오히려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는데, 이는 공급 측면에서 높은 기술수준을 요구하는 선진국의 규제요건이 한국 수출기업의 순응비용을 증대시키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수요 측면에서 한국 수출품의 품질수준이 높은 경우에는 교역대상국의 기술규제가 소비자에게 제품에 대한 정보의 비대칭 문제를 완화시키고 신뢰도를 높여 수요를 증대시킴으로써 수출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음을 또한 밝혔다.
   TBT의 수출 효과와 함께, 본 연구는 세계무역연구소의 FTA 협정 구성요소 자료(DESTA)를 활용하여 1990∼2016년 사이 FTA TBT 조항의 특성이 95개국의 교역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FTA 체결국이 협정 내에 TBT 조항을 포함할 경우 양국 간 무역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효과는 TBT 조항의 수준과 내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FTA TBT 조항 내용이 WTO TBT 협정을 재확인하는 데에만 그칠 경우, 혹은 체결국 간 TBT 협력 증진, 무역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준 합의, 분쟁해결위원회 명시 등의 조항 내용은 양국 간 교역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던 반면, 국제기준 준수 권고나 기술조화의 명시는 양국 간 무역을 증진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선진국 간의 FTA에서는 TBT 조항이 무역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선진국과 개도국 간의 FTA에서는 국제기준 사용 권고나 기술조화 내용이 포함될 경우 체결국 간 무역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07년 이후 TBT 조항 내 기술조화 내용의 언급은 무역 활성화에 더 크게 기여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룬 TBT에 관한 국제적 논의 동향과 FTA TBT 조항 분석 및 실증분석 결과들은 정책적 시사점 도출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해외 TBT 현안 해결을 위한 정보제공 등 투명성 증대, 품질향상을 통한 장벽 극복과 시장경쟁력 확보 방안은 무역 확대를 위한 중요한 전략이 될 수 있다. 또한 FTA TBT 조항의 여러 구성요소 중 기술조화가 무역에 미치는 효과가 크므로 향후 무역협상에서는 기술조화 이슈를 적극적으로 반영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현재의 우리나라 TBT 대응조직을 국내 대응조직과 국외 대응조직으로 나누어 국가별ㆍ산업별 유연한 정책 수립, 4차 산업혁명 대비 대응책 마련 등 장기적인 발전 방향과 함께 점진적으로 개편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issue of technical barriers to trade (TBT) as the trend of trade policy has shifted to NTM-oriented protectionism, especially in developed countries since the late 2000s. Since Jang et al. (2011), Korea’s first comprehensive study on TBT, many TBT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Korea. However, there was no comprehensive study covering international legal, administrative, political and economic analysis, including a proposal of organizational structure of the government bodies dealing with TBTs. In this regard, this study examines international discussion trends, trade disputes and current issues, and the main contents of the FTA TBT Agreement, using newly released TBT data since 2010, and conducted empirical analysis through newly developed quantitative methodology.
   In Chapter 2, we illustrate the current discussion on TBT at the international level, focusing on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WTO and OECD. Discussions on TBTs are mainly led by developed countries such as the US or EU. General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practical and specific ways to implement and apply the WTO TBT agreement has been proposed. The WTO pushes ahead the application of Regulatory Impact Assessment and Good Regulatory Practice, standardization of the notification form, establishment of electronic notification system, enhancement of transparency by establishing inquiry points at each country and providing 90 days of notification period. Second, the WTO seeks to provide technical assistance to developing countries and to enhance SDT(Special and Differential Treatment) encouraging the participation of developed countries. Third, there are more active discussions on how to apply international standards to solve TBT concerns. However, disagreement on the scope and definition on international standards between the US and EU remains and establishment of international standards is still relatively slow compared to the rapid development of existing industries and the advent of the new industries. Fourth, due to the aforementioned difficulties of reaching an agreement on standards, post-accreditation system based on market surveillance will become prevalent through voluntary standards and SDoC(Supplier Declaration of Conformity). Fifth, OECD attempts to tackle TBT concerns based on a comprehensive guideline for cooperation between stakeholders. This guideline, International Regulatory Cooperation(IRC), is classified by 11 forms. Among the 11 forms, the most frequently used mechanism is Mutual Recognition Agreements(MRAs). Quantitative studies also show that MRAs significantly eliminate trade barriers and facilitate trade confirming the effectiveness of MRAs.
   Chapter 3 examines the main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TBT provisions in regional trade agree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law, focusing on the WTO TBT dispute, the current status and features of specific trade concerns(STCs), and the CPTPP and USMCA. Since the main goal of technical regulations and standards introduced by each country is to achieve legitimate policy purposes such as providing safety, health, environment, and consumer information, there is a fundamental difficulty solving the TBT issues through legal review procedures by the panel and appellate body provided by the WTO Dispute Settlement System. As a result, even though the WTO dispute settlement process has been initiated on TBT issues, most cases are resolved by mutual consultation. In this context, the STC process of the WTO TBT Committee is a practical and important system for solving TBT issues. In Korea, more than 70% of cases of STC are raised together with many other countries. 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STC process, the response capacity in terms of multilateral cooperation should be strengthened.
   The FTA TBT negotiations were generally aimed to strengthen transparency and cooperation to eliminate TBT, based on the rules and procedures of the WTO TBT Agreement. Korea has removed TBT by recognizing the equivalence of technical regulations or by introducing SDoC in the automotive, electrical and electronic sectors in the Korea-US FTA and Korea-EU FTA negotiations while labeling provisions has been introduced in Korea-China FTA. The TBT provisions of the US-led TPP(now CPTPP) and USMCA include the institutional elements that are not included as WTO or existing FTA’s TBT provisions. In particular, it has led to the opening of testing and certification services sector by making official the use of international accreditation systems related to conformity assessment and prohibiting the requirement that conformity assessment bodies to be within the territory of importing countries. In addition, the two agreements show that the strategy of eliminating specific technical barriers based on the sectoral approach has been actively used. In particular, the USMCA-related Annex contains new rules with the advent of the digital economy, including the prevention of technology transfers in the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s sector. This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negotiation of digital trade rules as a TBT system.
   In Chapter 4, we conduct an empirical study to assess the effect of TBTs on Korea’s exports based on disaggregated export data at HS4 along with new TBT data and export quality index during 1996~2014. The TBT data is the newly released「wiiw NTM」which minimizes the problem of sample selection because a significant share of TBT notifications do not report relevant HS codes. We examine the trade effects of TBT based on the gravity model, and use PPML to avoid the problem of sample selection due to zero trad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echnical regulations adversely affect Korea’s exports on average while this effect becomes larger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This suggests that the negative effects may be led by the protectionist sentiment. Also, we find that TBTs by countries with higher income than Korea decreased Korea’s exports while TBTs by lower income countries actually led to more exports. The adverse effects of TBT are possibly because TBT by higher income countries require higher compliance cost. Lastly, including an additional explanatory variable, export quality index in our specification, we find that TBT actually increases Korea’s exports possibly because it mitigates the problem of asymmetric information between consumers and producers.
   Chapter 5 empirically studies how the characteristics of TBT provisions in FTAs affect international trade during 1990~2016. The empirical model is based on a gravity equation that controls for multilateral resistance terms by including exporter-year, importer-year dummies. To estimate the model, we use trade data and DESTA data that compile TBT provisions from multiple FTAs. We find that TBT provisions do increase trade between countries while the extent of the increase differs by how TBT provisions are included in FTAs. Empirical results show that FTAs that reaffirm the WTO TBT agreement has limited effects on trade while FTAs with TBT provisions that encourage the use of international standards or harmonization of TBT significantly increases trade. Examining this effect between groups of countries classified by income, we find that TBT provisions that encourage the use of international standards or harmonization of TBT have especially larger effects between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We further show that the effect of TBT provisions that encourage the use of international standards decreased more recently during 2012~2016, while the effect of harmonization increased since 2007.  
   Summing up all results in previous chapters, we provide policy implications in Chapter 6. Korea currently has the official TBT organization which consists of two parts, the TBT Central Secretariat and the TBT Consortium: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KATS) manages the former, while private associations and public certificate institutions constitute the latter. We propose future plans and strategic approaches for TBT such as strengthening capacity in international organization, using the FTA TBT provisions, flexibly corresponding to foreign technical regulations at country-and/or sector-level, and improving domestic technical regulations and certificate systems according to international standards. In the long term, the official TBT organization in Korea also needs structural reform to be adequate for plans and strategies that we proposed.

국문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TBT의 국제적 논의 동향
1. WTO 논의 동향
2. OECD 논의 동향
3. 학술연구 동향
4. 소결


제3장 WTO TBT 분쟁 및 STC와 FTA TBT 규범 동향
1. WTO TBT 분쟁
2. WTO TBT 특정무역현안
3. CPTPP 및 USMCA 내 TBT 규범의 발전 동향
4. 소결


제4장 해외 TBT에 따른 우리나라의 수출 효과 분석
1. 전 세계 TBT 추이와 특징
2. TBT 측정방법과 데이터
3. 이론적 배경과 실증분석모형
4. 실증분석 결과
5. 소결


제5장 TBT 무역자유화 협정의 수출 효과 분석
1. DESTA 자료 설명
2. 실증분석모형 및 데이터
3. 실증분석 결과
4. 소결


제6장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1. 전체 연구결과 요약
2. 우리나라 TBT 대응조직의 현황과 특징
3.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212
판매가격 10,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보고서 수출규제의 경제적 함의와 글로벌 공급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23-12-30 연구보고서 디지털 통상규범의 경제적 효과 추정에 관한 연구 2023-12-29 연구보고서 미국의 대중 반도체 수출통제 확대의 경제적 영향과 대응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몽골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몽골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남아공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멕시코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멕시코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호주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호주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유럽 주요국의 경제안보 분야 대중국 전략과 시사점 2023-12-29 연구보고서 중남미 국가의 서비스 시장 개방이 GVC 참여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2023-12-29 연구자료 산업보조금의 글로벌 확산 현황과 시사점 2023-12-29 연구보고서 아세안 경제통합의 진행상황 평가와 한국의 대응 방향: TBT와 SPS를 중심으로 2023-12-29 연구자료 WTO 서비스 국내규제 규범의 분석과 시사점 2023-11-24 연구자료 국제사회의 성평등 무역규범 도입 현황과 한국의 정책과제 2023-05-06 연구자료 최근 Mega FTA SPS 규범의 국제논의 동향 및 시사점 2023-05-1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일본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일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포용적 무역을 위한 국내보완대책의 성과와 시사점 2022-12-30 연구자료 무역과 노동의 연계에 관한 글로벌 규범 현황과 시사점 2022-12-30 연구자료 무역 자유화와 소비자 후생효과: 품질 다양성을 중심으로 2023-05-25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중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중 협력 방안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미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미 협력 방안 2022-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