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Working paper The Effect of Restructuring on Labor Reallocation and Productivity Growth: An Estimation for Korea 경제개발, 생산성

저자 최혜린, 정성춘, 김수빈 발간번호 17-04 자료언어 English 발간일 2017.09.15

원문보기(다운로드:3,367)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본 보고서는 2006년부터 2014년 한국 기업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국 경제의 총 생산성 변화와 각 산업의 생산성 변화를 기술적 진보 등에 의한 내부적 요인과 자원의 효율적 배분에 따른 외부적 요인으로 분해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 경제의 총 생산성은 증가하였으나 대부분은 내부적 요인에 기인한 것으로 고용은 생산성이 낮은 서비스업으로 이동하면서 오히려 생산성을 약화시켰다. 또한 각 산업의 생산성 변화를 내부적 요인과 고용 재배치에 따른 외부적 요인으로 분석한 결과, 둘 다 생산성 증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제조업의 경우에는 각각의 기여도가 약 55%, 45%인 반면, 서비스업의 경우에는 66%, 33%로 외부적 요소의 기여도가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났다. 따라서 한국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서비스업으로의 고용 이동을 제한하기보다는 서비스업의 생산성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며, 특히 효율적인 고용의 재배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재배치 비용 및 제약을 완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핵심용어: 생산성, 고용 재배치, 서비스업 

Productivity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economic growth. Total productivity grows through technological progress or reallocation of resources. This paper analyses their contribution to economic growth for total economy and by sectors. The main finding is that economy-wide increases but this is mainly due to internal technological improvements. On the one hand, inter-sector reallocation of labor negatively contributes to economic growth as employment moves to service sectors with low productivity. Further, when looking at the sectoral-level productivity growth, both internal and external restructuring make positive contributions to aggregate economic growth. However, internal technological progress and reallocation of employment appear to similarly contribute to the sectoral-level economic growth in the manufacturing sector, whereas internal restructuring makes a larger contribution to economic growth in the service sector. This suggests that there is more room for reallocation of resources to contribute to the productivity growth in service sectors. Therefore, the productivity growth of the service sector would foster economy-wide productivity and it can be achieved by the mitigation of misallocation of resources in service sectors.

Keywords: Productivity, Employment, Labor reallocation
JEL Classification: E01, E20, E22, E23, E24 

Executive Summary


1. Introduction


2. Inter-Sector Labor Movement and Productivity Growth


3. Within-Sector Labor Movement and Productivity Growth


4. Conclusion and Discussions


References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46
판매가격 3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보고서 인도의 주별 인구구조 변화가 노동시장과 산업별 고용구조에 미치는 영향 2022-12-30 ODA 정책연구 사회경제적 불평등 측정 방법 분석과 시사점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기후 변화가 아프리카 농업 및 분쟁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인도의 對아프리카 협력 현황 및 정책적 시사점 2022-05-27 연구보고서 아프리카 보건의료 분야 특성 분석 및 한국의 개발협력 방안 2021-12-30 연구보고서 한국의 지역별 개발협력 추진전략: 아시아 지역 ODA 지원 방안 2021-12-30 중국종합연구 중국 스마트시티 추진현황 및 진출전략 연구: 슝안신구 및 톈진에코시티 사례를 중심으로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중남미 디지털 전환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2021-12-30 연구보고서 한-중앙아 수교 30주년: 경제협력 평가와 4대 협력 과제 2021-12-27 ODA 정책연구 ODA 시행기관의 성과관리체계 개선방안 연구 2021-08-31 세계지역전략연구 아세안 지역 한류콘텐츠 활성화 방안 2021-06-23 세계지역전략연구 토지제도 특성이 농업 생산에 미치는 영향 비교: 에티오피아와 말라위를 중심으로 2021-05-25 연구보고서 동남아 CLMV 국가의 체제전환 평가와 북한에 대한 함의: 체제전환 지수 개발과 적용 2020-12-30 단행본 러시아 디지털 금융의 현황과 전망 2020-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한국의 르완다 농업분야 ODA 종합평가 및 개선방안 2020-07-28 연구자료 일본의 개방형 혁신전략: 산학협력을 중심으로 2020-07-22 단행본 2019 발간자료목록 2020-07-13 연구보고서 주요국의 노동소득분배율 결정요인 비교 분석 2019-12-30 연구보고서 신흥국 산업인력 수요전망 방법론 연구: 직업교육 ODA 사업의 효율화 방안을 중심으로 2019-12-30 ODA 정책연구 개발협력과 기후변화 대응의 통합적 접근방안: 페루 사례를 중심으로 2019-12-28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