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세계지역전략연구

발간물

목록으로
세계지역전략연구 토지제도 특성이 농업 생산에 미치는 영향 비교: 에티오피아와 말라위를 중심으로 경제개발, 생산성

저자 강문수, 정민지, 문수현, 박규태 발간번호 20-11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21.05.25

원문보기(다운로드:2,497)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농업에 종사하는 인구가 전체 인구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 토지는 단순한 재산의 개념을 넘는, 생존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자산이다. 그러나 식민지 경험에 따른 성문법과 관습법의 혼재, 지역 지도자의 토지 분배 권한, 급격한 인구 증가 등 다양한 요소로 인해 농촌 지역에서의 토지 소유는 농업 생산성, 노동 및 농자재 투자 등 농가 행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편 국제 사회의 원조 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농업 분야 ODA 지원에 대한 원조 효과성에 대한 논의도 지속되고 있다. 특히 마푸토(Maputo) 선언과 말라보(Malabo) 선언을 통해 지속가능한 농지 이용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OECD/DAC 공여국들은 농업 자원 부문에 대한 원조를 지속적으로 늘려왔다. 그러나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 토지제도 및 소유권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면서도 국제 사회의 농업 분야 ODA 원조 효과성 평가에 있어 토지 소유가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부의 농업 지원 효과가 토지소유권의 상이성에 따라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지 에티오피아와 말라위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농업 분야 ODA 사업 효과성에 있어 토지소유권 인식의 중요성에 대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에티오피아와 말라위 2개국의 토지제도 비교 및 토지소유권이 농업 생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에티오피아와 말라위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 대표적인 농업 국가이며 농민이 전체 인구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각국 정부의 비료 및 종자 지원 등 농민 대상 지원이 활발하다. 특히 에티오피아와 말라위 양국은 옥수수 농가를 대상으로 한 비료 지원 사업을 성공적으로 정착시킨 대표적인 국가들이며 비료 지원을 받은 농가도 전체 농가의 20%를 상회한다. 그러므로 2개국의 농업 지원 정책이 토지소유권에 의해 효과가 달라질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기에 적절하다. 

    둘째, 국제 사회의 농업 분야 원조 규모 또한 큰 편이다. 대(對)에티오피아·말라위 농업 분야 원조 규모가 큰 국가는 대표적으로 미국, 영국 등이 있으며 특히 농지 자원에 대한 원조 규모가 공여금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에티오피아는 한국의 중점협력국이며 농촌 개발에 대한 우리나라의 원조 규모도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에티오피아와 말라위 정부의 농업 지원 정책 효과성을 중심으로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원조 공여국의 농업 분야에 대한 지원 규모 역시 크기 때문에 농업 분야 ODA 지원 정책에 대한 시사점도 함께 제공하기 용이하다. 

   셋째, 말라위가 아프리카 내 영국 식민지를 겪었던 아프리카 영어권 국가들과 비슷하게 영국식 토지제도가 정착되어 있는 국가라면 에티오피아는 토지 국유화 및 국가 중심의 재분배 정책을 실시한 국가이기 때문에 양국간 토지제도의 상이성과 농업 생산의 영향에 대한 설명을 할 수 있다. 특히 말라위가 영국식 성문법과 기존의 관습법이 혼재되어 있는 토지제도를 가지고 있다면 에티오피아는 가족 간 상속만 허용하고 그 외의 매매를 통한 토지 이전을 금지하고 있기 때문에 토지 취득 경로나 매매 권한에 따른 농가의 행위가 차이를 보일 수 있다. 

   각 장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제2장에서는 에티오피아와 말라위의 농업 정책과 토지제도에 대해 살펴보았다. 에티오피아와 말라위 양국은 옥수수 재배 농가를 대상으로 한 농자재 지원 정책을 펼쳐 왔으며 비료 지원 사업이 지속적으로 이어져 왔다. 그러나 에티오피아가 신용 대출의 형태로 비료를 지원한 반면 말라위는 쿠폰 형태의 현물 지원 정책을 펼쳤다. 

    뒤를 이어 에티오피아와 말라위 각국의 토지제도가 수립된 배경, 역사 및 농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각국의 토지제도가 수립된 배경에 대해 중점적으로 서술하고 있는데, 에티오피아의 토지 국유화 및 재분배 정책, 말라위 정부의 관습법상 토지 분배 정책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에티오피아는 토지 국유화 및 정부 주도적 재분배 정책으로 1인당 토지 보유 면적이 급격하게 감소했으며 토지 보유에 대한 불안정성으로 농가의 소극적인 투자가 지속되면서 농업 생산성이 감소하였다. 말라위는 관습법에 의해 토지가 재분배되고 있어 지역 지도자의 권력이 절대적이며 지역 내 이주민의 경우 토지를 구매 혹은 이전받지 못해 빈곤층으로 떨어지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에티오피아와 말라위 정부 모두 여성에 차별적인 토지 정책을 시행하면서 토지 상속, 증여, 매매 등 소유권 이전에 있어 여성이 상대적으로 불리한 위치에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여성의 토지소유권이 보장되지 않아 경제활동에 있어서도 제약 조건으로 작용하고 있다.

   제3장에서는 에티오피아와 말라위의 농업 분야 ODA 수원 현황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농업 분야 ODA의 경우 각국에 가장 많은 지원을 하는 공여국은 미국과 영국이다. 에티오피아가 중점협력국인 한국의 경우 에티오피아에 농업 및 지역 개발 ODA 규모가 크지만 중점협력국이 아닌 대(對)말라위 ODA 사업 규모는 매우 미미하다. 우리나라는 다른 공여국과 달리 아프리카 중점협력국을 대상으로 한 지역 개발 ODA 원조 규모가 큰 편이며 농업 생산에 대해서는 미국, 영국, 일본 등의 공여국이 기여하는 비중이 높다고 볼 수 있다.

   제4장에서는 토지소유권이 정부 비료·종자 지원을 받은 농가의 농업 활동 및 생산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세계은행 LSMS-ISA 패널 자료를 이용한 분석에서 토지 취득 경로와 토지에 대한 매매 권한 보유 여부 등 2가지 변수를 토지소유권 변수로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정부의 지원을 받았더라도 토지소유권이 다른 집단 간 노동 투입과 농업 생산성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토지 취득 경로보다는 토지에 대한 매매 권한 보유 여부가 농가의 의사결정 및 생산성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는 Besley(1995)가 주장한 토지소유권에 있어 매매 권한의 중요성을 역설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제도적으로 여성이 차별적인 위치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토지의 소유권 자체가 정부 지원을 받은 농가 간 생산성이나 노동 공급 결정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다만 정부 지원을 받지 않은 농가의 경우, 여성 세대주와 남성 세대주 간 차이가 소유권 체계에 의해 발생하고 있어 추후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끝으로 제5장에서는 제4장의 결과를 토대로 농업 분야 ODA 사업의 효과성 분석에 있어 토지소유권 체계와 토지제도의 중요성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ODA 사업 자체에 대한 평가 지표를 기준으로 설문 조사를 하는 경향에서 벗어나 수원국 수혜자들의 토지소유권, 여성의 의사결정권 등에 대한 추가적인 설문 조사를 시행하는 것이 개발원조 효과성 측정에 있어 평균적인 효과가 가지는 맹점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토지소유권과 제도를 비롯한 개발도상국 특유의 제도 특성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보다 효과적인 평가가 이뤄질 수 있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있다.

   The importance of land in the sub-Saharan Africa is necessary for survival beyond the concept as a simply real estate. However, due to factors such as land institution from colonial experience, instability in political systems, and rapid population growth in rural areas, land ownership in rural area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agricultural production such as productivity, labor and input investment. Ethiopia and Malawi are commonly known as agricultural countries, and the global donor’s contribution to the agricultural sector is also large. However, land in Ethiopia is controlled by the state and Malawi has a land system that was mixed with British colonial law and traditional common law.
   Meanwhile, as the size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aid continues to increase, discussions continue on the effectiveness of ODA support in the agricultural sector. However, despite the importance of land tenure system in the sub-Saharan Africa, there is still a lack of discussion on how land ownership can affect the effectiveness of the agricultural ODA.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on how the effectiveness of agricultural support can be heterogeneous by the difference of land ownership. In particular, to discuss the effectiveness of the ODA in the agricultural sector, we focus on how land ownership and tenure security affect the effectiveness of government support, focusing on agricultural support projects.
   Chapter 2 looked at the agricultural policies of Ethiopia and Malawi and the status of aid received from OECD/DAC countries. Both the Ethiopian and Malawi governments operate supporting policies for farmers. Ethiopia is more focused on supporting vulnerable groups for social development, whereas Malawi is more focused on supporting fertilizers and seeds through agricultural policies. However, Ethiopia also has a support policy for maize farmers by providing fertilizer support projects. In the case of ODA in agriculture,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are the key donors to each country. However for the case of South Korea, the proportion of ODA for agricultural sector is high for the agricultural and rural development in Ethiopia, while the size of the ODA against Malawi is very small. 
   Chapter 3 describes the background of the establishment of land tenure system in Ethiopia and Malawi, and their impact on agricultural production and gender issues. Section 1 focuses on the background of each country’s land tenure. The government of Ethiopia nationalized rural lands and redistributed to every people. Ethiopia’s nationalization of land and government-led redistribution policies have led to a sharp decrease in land holdings per capita, and agricultural productivity has declined due to continued reluctant investment by farmers due to instability in land ownership. Malawi, where most of the land is redistributed under common law, local leaders (or chiefs) decides whom to distribute. Accordingly, migrants from other regions often cannot purchase or transfer the land and falls in the poverty. In addition, both the Ethiopian and Malawian governments established land policies that were disadvantageous to women. Both governments put women at a relative disadvantage in the land ownership, such as inheritance, gift, and sale of land. In addition, women’s land tenure security is relatively weak, which also works as a constraint on economic activities.
   Chapter 4 analyzes the effects of land ownership on farm activities and productivity of farms supported by the government. We use the World Bank LSMS-ISA panel data and generaged two different land ownership variables: land acquisition type and land transfer rights. According to the analysis, even with the government support, there is a difference in labor input investment and agricultural productivity between groups with different land ownership. In particular, land transfer rights rather than the land acquisition type has more impact on farmers’ decision-making and productivity, which was discussed by Besley (1995). In addition, even though women are in a discriminatory position, ownership of the land itself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productivity or labor supply decisions among government-supported farms. However, in the case of farms that have not received government support, further research is expected in the future as the difference between female and male household owners is correlated with the tenure security.
   Finally, Chapter 5 provides policy implications for the importance of the land tenure security in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ODA projects in the agricultural sector using the results of Chapter 4. In particular, conducting additional surveys on land ownership, women’s decision-making rights, of project beneficiaries in recipient countries might be needed by conducting surveys to avoid the fall mistaken policies by using the average effectiveness. It can be also emphasized that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developing countries’ systems such as land tenure system and decision-making process.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 범위와 구성
3. 선행 연구 검토
4. 연구의 차별성

제2장 농업 정책 및 토지제도
1. 에티오피아
2. 말라위

제3장 농업 원조 수원 현황
1. 개요
2. 에티오피아 농업 ODA 수원 현황
3. 말라위 농업 ODA 수원 현황
4. 시사점

제4장 토지소유권에 따른 농업 생산
1. 토지 소유 및 이용 특성
2. 분석 모형과 자료
3. 분석 결과
4. 소결

제5장 정책적 시사점 및 결론
1. 토지제도에 관한 시사점
2. 농업 분야 사업 효과성 분석을 위한 설문 설계 개선
3. 연구의 한계

부록
부록 1. 국별 통계적 특성과 실증분석 결과
부록 2. 토지소유권 차이에 따른 농지 면적과 생산성 간의 역 관계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198
판매가격 7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보고서 인도의 주별 인구구조 변화가 노동시장과 산업별 고용구조에 미치는 영향 2022-12-30 ODA 정책연구 사회경제적 불평등 측정 방법 분석과 시사점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기후 변화가 아프리카 농업 및 분쟁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인도의 對아프리카 협력 현황 및 정책적 시사점 2022-05-27 연구보고서 아프리카 보건의료 분야 특성 분석 및 한국의 개발협력 방안 2021-12-30 연구보고서 한국의 지역별 개발협력 추진전략: 아시아 지역 ODA 지원 방안 2021-12-30 중국종합연구 중국 스마트시티 추진현황 및 진출전략 연구: 슝안신구 및 톈진에코시티 사례를 중심으로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중남미 디지털 전환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2021-12-30 연구보고서 한-중앙아 수교 30주년: 경제협력 평가와 4대 협력 과제 2021-12-27 ODA 정책연구 ODA 시행기관의 성과관리체계 개선방안 연구 2021-08-31 세계지역전략연구 아세안 지역 한류콘텐츠 활성화 방안 2021-06-23 연구보고서 동남아 CLMV 국가의 체제전환 평가와 북한에 대한 함의: 체제전환 지수 개발과 적용 2020-12-30 단행본 러시아 디지털 금융의 현황과 전망 2020-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한국의 르완다 농업분야 ODA 종합평가 및 개선방안 2020-07-28 연구자료 일본의 개방형 혁신전략: 산학협력을 중심으로 2020-07-22 단행본 2019 발간자료목록 2020-07-13 연구보고서 주요국의 노동소득분배율 결정요인 비교 분석 2019-12-30 연구보고서 신흥국 산업인력 수요전망 방법론 연구: 직업교육 ODA 사업의 효율화 방안을 중심으로 2019-12-30 ODA 정책연구 개발협력과 기후변화 대응의 통합적 접근방안: 페루 사례를 중심으로 2019-12-28 연구보고서 원청-하청 간 거래관행이 혁신에 미치는 영향: 독일ㆍ미국의 자동차산업을 중심으로 2019-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