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Working paper ASEM Investment Promotion Action Plan(IPAP) Revisited: Establishing the Groundwork for Regional Investment Initiative 경제개방, 경제협력

저자 이종화 발간번호 98-06 자료언어 English 발간일 1998.10.30

원문보기(다운로드:486)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본 논문은 ASEM 투자증진실행계획의 연장으로서 ASEM역내 투자규범정립 문제를 다루고 있다.

아시아-유럽 지역간 직접투자의 장애요인은 대개의 경우 아시아국가들의 제도적 규제, 직접투자관련 법규의 해석 및 적용의 불명확성에 기인하는 경우가 많다. 한편, 최근 아시아 금융위기에도 불구하고, 이들 지역은 투자대상지역으로 여전히 매력을 갖고 있으며, 특히 서유럽계 다국적 기업들은 이들 지역으로의 직접투자에 대해 가장 적극적인 전망을 하고 있다. ASEM 투자증진실행계획은 양 지역의 이같은 현실을 충분히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며, 바로 이점에서 同 계획이 ASEM지역내 투자규범으로 발전할 가능성을 탐구하고 있다. 이에는 다음 네 가지 시나리오를 상정해볼 수 있을 것이다.

첫째 ASEM역내 회원국간 양자간 투자협정의 확대를 통해 EU-MERCOSUR 지역협력협정처럼 법적 구속력없이 FDI촉진을 겨냥한 법적 환경을 정비하는 방법, 둘째 APEC형 비구속적 투자협정, 셋째 NAFTA형 구속적 투자협정으로의 발전 그리고 마지막으로 MAI협상 타결시 ASEM차원에서 이를 채택하는 방법이 그것이다. 아시아 및 유럽국가들 간 현재는 이견이 있을 수 있는 양측 입장을 적절히 반영하여 조화를 이루기 위해 상기한 모든 가능성에 대해 신중한 검토가 있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seeks to investigate FDI rule in ASEM, a logical extension of ASEM-IPAP, based on the arguments stemming from the factors hindering FDI flows between the two regions and the impacts of the recent Asian financial turmoil. The barriers to Asia-EU inter-regional FDI are often related to regulatory regimes in Asian countries. However, Asia's future prospects as a destination for profitable FDI remain solid despite the recent financial and economic crisis. Furthermore, it is the EU based multinational firms that express highly favorable attitudes for the Asian countries most affected by the financial crisis.

The ASEM-IPAP has to take into account this new reality and the expectations from both sides. In light of that, the evolution of ASEM-IPAP was viewed through the prism of existing international FDI rules. There will be four directions for the medium- to long-term evolution of ASEM-IPAP: promote the development of a legal environment which is conductive to investment without any legal mandatory rules like EU-MERCOSUR Interregional Framework Cooperation; shape a non-binding regional investment initiative such as the one in place in APEC; frame a binding regional investment agreement similar to NAFTA; and accede to the MAI once the treaty is concluded. Each needs to be assessed carefully to respond to expectations of ASEM members, which may be quite divergent at the moment. But as the process moves on, there is certainly positive, common agreements which could be further developed and enhanced and ultimately result in positive benefits for all ASEM members.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ASEM Investment Promotion Action Plan

Ⅲ. Asia-EU Inter-regional FDI Trends

Ⅳ. Obstacles to Asia-EU Inter-regional Investment

Ⅴ. Impact of Asian Financial Crisis on EU FDI in Asian

Ⅵ. ASEM-IPAP: The Way Ahead

Ⅶ. Concluding Remarks

References

Appendix Tables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48
판매가격 5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아세안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아세안 협력 방안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중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중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자료 방글라데시 기후변화 영향 분석 및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인도의 신·재생에너지 시장 및 정책 분석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경쟁 하 중남미의 GVC 참여와 RVC 구축 연구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한-인도네시아 포괄적 미래 협력 방안 연구 2022-12-30 연구자료 대러시아 제재가 중동부유럽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EU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EU 협력 방안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중남미 내 포퓰리즘 확산의 사회·경제적 영향과 시사점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미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미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자료 한-호주 공급망 협력 방향: 핵심광물과 수소를 중심으로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한-MENA 녹색전환 협력 방안 2022-12-30 중국종합연구 2022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아프리카 문화콘텐츠 산업의 발전과 한국에 주는 함의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전략경쟁 시대 지정학적 리스크와 경제안보 2022-10-30 연구보고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주요국의 통화·재정정책 방향과 시사점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카타르의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 구축 전략과 협력 시사점 2022-10-31 연구보고서 디지털 부문 혁신과 신북방 주요국의 구조 전환: 신북방 중진국과의 IT 협력을 중심으로 2021-12-30 연구보고서 한ㆍEU FTA 10주년 성과 평가 및 시사점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신남방 국가의 중소기업과 현지 한국 중소기업간 상생 협력 방안 2021-12-30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