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ODA 정책연구 탄자니아 국가협력전략(CPS) 수립을 위한 개발협력방안 연구 경제개발, 경제협력

저자 김세원, 김종섭, 박복영, 이은석 발간번호 15-03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5.12.30

원문보기(다운로드:10,018)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탄자니아는 우리나라의 제2기 중점협력국으로 신규 선정되었다. 이에 따라 우리 정부는 2016년부터 적용될 대(對)탄자니아 국가협력전략(CPS) 수립을 준비하고 있다. 탄자니아는 우리나라의 중요한 개발협력대상국일 뿐 아니라 동부 아프리카 지역에서 경제적·전략적 중요성이 매우 높은 나라이다.
아프리카 국가 중에서도 정치·사회적으로 비교적 안정되어 있으며, 최근 빠른 경제성장과 자원개발의 가속화로 발전 잠재력과 대외협력 확대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여전히 아프리카 내에서도 최빈국 중 하나로서, 취약한 산업기반과 인적 역량, 단순한 경제구조와 심각한 빈곤 문제 등 개발을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은 상황이다. 효과적인 개발 원조를 위해서는 이와 같은 개발환경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제2기 중점협력국에 대한 CPS 수립을 앞두고 중점협력국으로 새로 편입된 탄자니아를 대상으로 CPS 수립 시 고려해야 할 대상국의 기초환경과 분야별 개발 수요 및 현황을 조사하고 우리나라 협력전략의 대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특히 중점협력이 요구되는 대상 분야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과 분야별 협력전략 및 지원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정부 차원의 CPS 작성에 기여하고자 했다.
대(對)탄자니아 지원의 개발목표 설정과 중점지원분야 선정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 네 가지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했다. 첫째, 수원국의 필요를 파악하기 위한 부문별 현황, 둘째, 수원국 정책과의 원조 일치를 위한 수원국 정책 방향, 셋째, 공여국간 조화를 위한 타 공여국의 지원 방향, 넷째, 우리나라 지원의 비교우위와 연속성 유지를 위한 지원 현황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제2장에서 각 부문별 현황에 중점을 두어 탄자니아 개발환경 및 개발수요에 대한 분석을 시도했고, 제3장에서는 탄자니아의 중장기 국가개발계획과 빈곤감축계획을 살펴보고 개발전략 이행체계와 거버넌스, 제약 요인 등을 분석했다. 이어 제4장에서 국제사회의 대(對)탄자니아 지원 현황과 협력전략을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중점분야 선정 및 지원전략 수립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했다. 제5장에서는 우리나라의 지원 현황과 CPS 수립 개선방안을 토대로 대(對)탄자니아 지원의 목표와 전략을 제시하고 중점지원분야와 지원방안을 도출했다.
탄자니아는 1인당 국민소득이 700달러 내외에 머무르고 있는 최빈국으로, 인구의 75%가 생존형 농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인구의 약 25%가 절대빈곤에 시달리고 있다. 절대빈곤과 낮은 소득수준으로 인해 거의 모든 영역에서 개발수요가 높다고 볼 수 있다. 농업은 비중이 매우 큼에도 불구하고 관개시설 등의 기반시설이 열악하고 생산성이 매우 낮다. 교육 분야에서는 2000년대 이후 취학률이 크게 상승하였으나, 탈락률은 여전히 높고 교육의 질 역시 매우 열악한 수준이다. 보건은 개선 속도가 빠르고 아프리카 평균 수준과 비교할 때 다소 나은 상황이지만, 열악한 위생환경과 안전한 식수의 부족은 여전히 큰 문제로 남아 있다. 도로, 철도, 항공, 항만 등 교통 인프라와 전력사정은 매우 열악한 상태로 경제발전을 저해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지적된다. 거버넌스는 개선되고 있지만 개발을 주도해야 할 정부의 정책 집행능력은 취약한 것으로 평가되며, 부패와 투명성 결여는 여전히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탄자니아의 중장기 정책과제는 빈곤의 추방 및 인적개발, 산업구조의 개선 및 인프라 확충, 경제제도 및 기업환경 개선 세 가지로 요약된다. 장기 개발전략인 ‘탄자니아 개발비전 2025(Tanzania Development Vision 2025)’에서 이를 달성하기 위한 기본 방향이 제시되고, 중기계획인 5개년경제개발계획(FYDP) 및 빈곤감축 전략(MKUKUTA)에서 구체적인 정책이 뒷받침된다.
FYDP가 제시하는 6대 우선개발부문은 인프라, 농업, 산업, 인적자본 개발 및 사회서비스, 보건, 관광·무역 및 금융서비스로, 분야별로 상세한 재정계획과 목표치가 설정되어 있다. MKUKUTA는 소득빈곤 감축을 위한 성장전략, 삶의 질 및 사회적 복지의 향상, 좋은 거버넌스 및 책임성 등 서로 연결된 세개의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구체적인 전략과 개입 정책을 제시하고 있다.
이상의 탄자니아 개발 정책을 살펴볼 때 탄자니아가 역점을 두고 있는 시급한 부문은 도로, 철도, 물 등을 포함하는 인프라 건설과 식량문제 해결을 위한 농업 부문 개발, 효과적인 정책 집행을 뒷받침할 수 있는 기구 개혁 및 공공행정 강화, 반부패 전략 등 좋은 거버넌스의 확립으로 종합할 수 있다.
탄자니아는 전략적 중요성과 양호한 정치·사회적 환경이라는 이점으로 인해 대부분의 주요 공여국과 국제기구가 선호하는 수원국이다. 2013년 탄자니아의 총 수원 규모는 약 34억 미달러로,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국가 중 에티오피아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규모이다. 지난 10년간 수원 규모는 두 배에 이를 정도로 증가했으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에도 불구하고 계속 확대되는 추세이다. 분야별로는 보건과 식수, 공공행정 등 사회 인프라 부문이 전체 원조의 절반 정도를 차지하는 가운데, 2010년 이후 교통과 에너지, 농업 등 경제 인프라 부문이 급증하고 있다. 지원 형태별로는 프로젝트형 원조가 여전히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나, 예산지원의 형태도 전체 원조의 4분의 1 정도로 다른 수원국에 비해 비중이 상당히 높은 편이다. 또한 주요 분야별로 다양한 바스켓기금이 운용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공여국이 하나 이상의 바스켓기금에 참여하고 있다. 공여국간 원조 조화의 측면에서도 탄자니아는 모범적 사례라고 할 수 있다. 공여국들은 공여국협의체를 구성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탄자니아 공동지원전략(JAST)’에 기반하여 지원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2010년 이후 탄자니아에 대한 지원을 빠르게 확대하고 있다. 2011~13년 집행액 기준으로 대탄자니아 지원액은 여섯 번째로 많으며,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중 최대 규모이다. 유상원조는 교통과 에너지, 보건분야에 집중되어 있는데, 최근 그 규모가 급증하여 탄자니아가 동부 아프리카에서 EDCF 사업의 중심이 되고 있다. 무상원조는 농촌개발, 보건의료, 교육, 공공행정을 중심으로 추진되어왔다. 무상원조 규모는 중점협력국에서 제외된 2010년 이후 다소 정체된 면이 있지만, KOICA가 신규 사업을 추진하는 대신 다자협력이나 NGO 사업 지원을 확대해 개발협력의 기반이 강화되고 있다. KOFIH나 민간단체들도 탄자니아에서의 활동을 점차 확대하고 있다.
앞서 분석한 수원국의 개발수요, 수원국의 개발정책, 타 공여국의 지원 방향, 우리의 기존 지원 내용 및 비교우위 등 네 가지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중점협력분야를 도출해보면, 향후 우리나라의 대(對)탄자니아 지원은 첫째, 공공행정 역량 강화, 둘째, 농업생산성 향상, 셋째, 교통 및 전력 인프라 개선, 넷째, 제조업 산업역량 향상에 집중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첫째, 공공행정 역량 강화 분야의 경우, 정책 수립 및 집행 역량이 부족한 탄자니아 정부의 주 관심 분야일 뿐 아니라 주요 공여국의 핵심 지원목표 중 하나이다. 우리나라도 관세행정 현대화 사업이나 주민증 데이터센터 건립사업 등 이 분야에 관련된 지원을 해왔다. 우리의 비교우위를 살리기 위해 ICT를 활용한 행정 인프라 구축과 한국의 경험을 활용한 정책 수립 및 집행역량 강화를 위한 사업이 적절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농업 분야는 생산성 향상을 위한 농업기술 및 농자재 보급, 농산물의 상업화를 위한 농민교육, 유통망 구축, 저장시설 건립 등의 사업이 적절할 것으로 보인다. UN MDG - 2015 추진과정 중 농촌의 교육 및 보건 분야에서 비교적 큰 성과를 거두었기 때문에 농촌 지역의 지속적이고 자생적인 성장을 위해 우리나라는 농촌생산성 향상 및 농가소득 향상에 집중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일부 농촌 지역을 선정하여 프로그램형 농촌개발사업을 추진하되, 농업생산 증대에 초점을 맞추고 필요에 따라 교육, 보건 등 사회개발을 병행하는 접근이 바람직할 것이다.
셋째, 인프라 구축은 탄자니아 정부의 개발계획에서 최우선 목표이며 경제성장의 기반이 되는 분야로, 탄자니아가 동아프리카 해운물류 중심지의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교통 인프라를 확충하고, 산업화에 필요한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확보하는 데 지원을 집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로 유상원조의 형태이지만 인프라 개선과 관리역량 강화를 위한 무상원조나 다자은행과의 공동사업 추진 및 민관협력(PPP)도 고려할 수 있다.
넷째, 산업역량 강화는 지속가능개발목표(UN SDGs - 2030)에서도 강조되듯이 경제성장 역량의 핵심으로서, 탄자니아 정부도 제조업 발전을 통한 산업화가 경제성장의 중추가 된다는 인식하에 이를 차기 5개년개발계획의 중요 목표로 설정했다. 우리나라는 정부 주도로 제조업을 육성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으며, 탄자니아 정부 역시 많은 관심을 가지고 지원을 기대하고 있다. 산업역량 강화 분야는 제도적 환경 구축, 인력 양성, 인프라 제공 등 다양한 접근이 필요하다. 산업기술 지원, 직업훈련 및 숙련인력 양성 지원, 산업육성정책 수립 및 집행을 위한 행정역량 강화 등 다양한 방법이 가능할 것이다. 유무상 프로젝트와 KSP를 활용할 수 있으며, 시장친화적 거버넌스와 제도 구축 관련 예산지원이나 바스켓기금 참여방식의 지원도 고려해볼 수 있다.
탄자니아에서 개발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사업의 목표 달성을 위협할 수 있는 몇 가지 리스크 요인이 있다. 대표적으로 수원국 파트너 기관 및 정부의 재정적 취약에 따른 수원국 측 재정부담의 미이행, 문서상의 기록과 사실 간의 괴리에 따른 부실한 현황 파악, 파트너 기관 및 정부의 집행능력 부족과 사회주의적 인식의 유산, 현지사정에 능통한 PM 기관의 부족 등을 지적할 수 있다. 이런 리스크를 사전에 인지하고 대응계획(contingency plan)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원조효과를 제고하기 위해서 다른 공여국과 협력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탄자니아에는 공여국의 공동지원계획, 공여국간 협의체 및 분야별 실무그룹, 수원국 정부와의 연례정책협의 등 공여국간 조화를 위한 다양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우리나라도 공여국 다자회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의제를 주도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할 것이다. 탄자니아는 우리 공여기관들이 한편으로는 선진 공여국과 공동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이를 통해 개발사업 수행역량을 키울 수 있는 중요한 학습의 장으로 삼을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예산지원이나 바스켓기금 참여 등 우리가 거의 경험해보지 못한 지원 형태에 대해서, 비교적 제도가 잘 갖추어진 탄자니아에서 이를 시범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수립될 범정부 차원의 통합 CPS는 탄자니아에서 활동하는 우리나라 기관들에 협력의 원칙과 전략 방향을 제시하고 조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대(對)탄자니아 원조효과성을 증진함과 동시에 개발협력을 활용하여 탄자니아와 다양한 형태의 폭넓은 경제협력을 추진하는 기회로 삼아야 할 것이다. 본 연구가 향후 정부 차원의 CPS 수립 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탄자니아 내 우리나라 기관들이 개발활동을 전개하는 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anzania has been newly selected as a Korea's priority partner country for development cooperation and the Korean government is currently developing a Country Partnership Strategy (CPS) which will be effective starting from 2016. Tanzania is not only one of the Korea's pivotal development cooperation partners but also is a country of high economic and strategic importance in East Africa. The country shows relatively stable political and social conditions in comparison to other African countries; and its fast growing economy and abundant resources raise the potential for development and economic cooperation. Nonetheless, the country still remains as one of the least developed countries in the world. Tanzania faces multiple development challenges such as its weak industrial base, lack of human resources, simple economic structure, and poverty. To achieve effective development aid delivery, therefore, requires a comprehensive study on the complicated development context in Tanzania.
This study aims to provide an in-depth analysis on the development context in Tanzania, propose potential priority areas for Korea-Tanzania development cooperation, and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CPS for Tanzania with policy suggestions on cooperation strategies based on the analyses. In order to set the objectives and priority areas for development cooperation with Tanzania, this study has considered the following four criteria: i) the development environment in Tanzania by sector to meet its development needs; ii) Tanzania's policy directions to align with its development policies; iii) the cooperation strategies of other donors for aid harmonization and iv) assessment of the Korea's comparative advantage along with the continuity of its current assistance to Tanzania.
Against this backdrop, the study consists of the following structure. Chapter 2 discusses the development environment and needs in Tanzania to identify development prospects and challenges by sector. Chapter 3 examines Tanzania's mid- and long-term national development plans and poverty reduction strategy to analyze its development strategy implementation system, governance, and obstacles. Chapter 4 presents the overview of development assistance by international community in Tanzania and case studies of major donors to draw implications for harmonized assistance strategies of Korea. Finally Chapter 5 proposes objectives and strategies for Korea-Tanzania development cooperation and makes suggestions on the potential priority areas and assistance plans, based on the analyses of earlier chapters as well as in accordance with the Korea's current assistance status to Tanzania and its improvement plan for CPS formulation.
The GDP per capita of Tanzania remains around USD 700. 75 percent of its population is engaged in subsistence agriculture and 25 percent lives in absolute poverty. Development needs in all sectors are considered to be high. Agriculture accounts for the majority of the country's economy, but its infrastructure such as irrigation system is found to be poor; and its productivity is extremely low. In education, the country's enrollment rate has increased significantly since 2000s yet the drop-out rate remains high and the quality of education needs serious improvement. Although health sector has shown relatively good performance compared to other African countries, sanitation and hygiene in Tanzania are still poor and a lack of safe drinking water poses remaining challenges. In addition,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such as roads, railways, air transport, ports is in extremely poor conditions, hindering the country's economic development. Lastly, while the government of Tanzania has shown some improvements in governance, it is found to lack capacity to lead the country's development process and the problems of corruption and transparency still remain as big obstacles.
Tanzania's mid- and long-term development challenges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pillars: i) eradication of poverty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ii) improvement of industrial structure and expansion of infrastructure; and iii) improvement of economic system and business environment. A long-term Tanzania Development Vision 2025 introduces overall policy directions whereas the mid-term Five Years Development Plan (FYDP) and the National Strategy for Growth and Reduction of Poverty (MKUKUTA) support these visions by providing specific policies. The six core priorities proposed in the FYDP include i) infrastructure, ii) agriculture, iii) industry, iv) human capital development and social services, v) health, and vi) tourism, trade and financial services.
Each core priority includes a set of specific financial plans and operational objectives. Furthermore, MKUKUTA is organized around the three interdependent clusters, namely i) growth for reduction of income poverty; ii)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and social well-being; and iii) governance and accountability. Specific strategies and policy interventions are mentioned for each cluster. After reviewing its development policie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focal areas that the Tanzanian government is promoting with special emphasis are: infrastructure development (e.g., road, railway, water), agriculture for food self-sufficiency, and good governance including institutional reforms, strengthening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anti-corruption strategy.
Tanzania is one of the donor darlings due to its strategic importance and political and social stability. In 2013, the net ODA to Tanzania was USD 3.4 billion. Tanzania is in fact the second largest recipient of ODA in Sub-Saharan Africa, following Ethiopia. Over the last decade, foreign aid has doubled in size and is gradually increasing despit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While social infrastructure and services sector, including health, water supply and government, captures more than a half of the total ODA to Tanzania, a rapid increase in economic infrastructure and services sector, including transportation, energy and agriculture, has been observed since 2010. In terms of type of aid, project type intervention still occupies a considerable portion of the total aid. In addition, budget support takes up about a quarter of the total aid which is of relatively great importance compared to those of other recipient countries. Moreover, a number of basket funds is being operated at the sectoral level. Most of the donors participate in more than one basket funds. In terms of harmonization among donors, Tanzania presents an exemplary case. For example, donors have established the Development Partners Group (DPG) and provide support based on the Joint Assistance Strategy for Tanzania (JAST).
Likewise,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expanding its support to Tanzania since 2010. In fact, Korea is the sixth largest donor in Tanzania according to the disbursement from the year 2011 to 2013. This is the largest aid provided by the Korean government to a country in Sub-Saharan Africa. Concessional loans are primarily provided to transportation, energy and health sectors. The size of the concessional loans has increased rapidly in recent years, placing Tanzania at the center of the EDCF's operation in East Africa. On the other hand, grants are mainly given to agricultural development, health and medical services, education, and public administration. The size of the grants has been somewhat stagnated since the Tanzania's elimination from the priority partner countries in 2010. Nevertheless, the Korean government has strengthened its development cooperation base with Tanzania by expanding support to multilateral cooperation and/or NGO projects in place of implementing new KOICA projects. In addition, other public agencies such as the Korea Foundation for International Healthcare (KOFIH) and NGOs are gradually increasing their development activities in Tanzania.
Based on the analyses on Tanzania's development needs, development policies, other donors' assistance strategies, and the Korea's comparative advantage along with its assistance experiences to Tanzania, it is recommended that the future strategy for Korea-Tanzania development cooperation focus on the following four areas: i) strengthening public administration capacity; ii) increasing agricultural productivity; iii) improving transportation and electric power infrastructure; and iv) improving industrial capacity in manufacturing.
First, strengthening public administration capacity is the area of the Tanzanian government's keen interests as well as one of the core development objectives of other major donors in the country. The Korean government has also provided continuous support in this sector through the Modernization of Tanzania's Customs Administration Project and National ID System Data Center Project. The study suggests programs for establishing administrative infrastructure using ICT and capacity building based on Korea's development experience in a way of fully utilizing Korea's comparative advantage.
Second, in agriculture sector the study recommends the Korean government to focus on increasing productivity by supplying agricultural skills and materials, providing farmer trainings for commercializa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establishing a distribution network and storage facilities to increase productivity. As Tanzania has achieved substantial improvements in education and health sectors in rural areas as a result of pursuing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UN MDG-2015), it is desirable to put the emphasis on continuous and self-sustainable growth in rural areas by increasing agricultural productivity as well as rural households income.
It is feasible to implement agricultural development programs with focus on increasing productivity while incorporating social service elements such as education and health when necessary.
Third, improving infrastructure is the top priority of the Tanzanian government as it serves as the foundation for economic growth and industrialization. The study recommends the Korean government to concentrate on expanding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and stable electric power for industrialization so that Tanzania can realize its potential as the hub of shipping and logistics in East Africa. Korea's assistance in this sector is primarily in the form of concessional loans; yet, other types of support such as grant programs for management capacity building, joint projects with multilateral development banks and public-private partnership can be considered to enhance effectiveness.
Finally, improving industrial capacity is at the center of economic growth as highlighted i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UN SDGs-2030). The government of Tanzania likewise has set industrialization as one of the key objectives in the next FYDP acknowledging that industrialization through manufacturing development forms the backbone of the economic growth. As Korea has an experience in implementing government-led strategy to advance its manufacturing industry, the Tanzanian government expects a great deal of support from Korea in this area. In order to improve industrial capacity, a multifaceted approach is necessary. For instance, the Korean government may offer a combination of support through building institutional environment and human resources, supplying infrastructure, industrial technology, vocational training and training for skilled workforce, and strengthening administrative capacity to establish and implement industrial promotion policy. The Korean government may provide support through both grants and loans, Knowledge Sharing Program (KSP), budget support for establishing market-friendly governance and system, and participate in basket funds.
A number of risk factors should also be recognized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development cooperation strategy. From the partner government side, there are risks of failure in fulfillment of financial commitment due to its weakness in public finance, a gap between the data on public documents and reality, the lack of implementing capacity of public agencies and the vestige of socialism, and so on. In addition, insufficient number of Project Management (PM) agencies who are well aware of the local conditions is a big challenge for Korean development agencies. It is essential, therefore, to consider such risks in advance and establish a contingency plan.
Futhermore, it is important to cooperate with other donors to enhance aid effectiveness. There are various aid harmonization channels institutionalized in Tanzania such as the JAST, the DPG and sectoral working groups, and annual consultative group meetings with the partner government. It is critical for the Korean government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se meetings and lead the agendas. Tanzania may serve as a platform to pursue joint projects with other donors with more experiences. In doing so, the Korean development agencies can take advantage of this learning opportunity to build their own capacity in development cooperation. Participating in basket funds or providing budget support, which are rather new forms of assistance for Korea, can be also considered in Tanzania where the relevant systems are relatively well established.
The future government-wide CPS can direct and coordinate the development activities of Korean agencies operating in Tanzania by providing principles and strategic guidelines on Korea-Tanzania development cooperation. Establishing the CPS based on rich information and detailed analyses is the key to enhance aid effectiveness and can further provide a foundation for diverse forms of economic cooperation with Tanzania.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such preliminary study for establishing the future CPS as well a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the Korean development agencies in Tanzania for their development activities.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과 목적
2. 연구 방법과 구성


제2장 탄자니아의 현황 및 개발수요

1. 개발환경 분석
가. 정치·사회적 여건
나. 주요 산업 현황
다. 경제체제와 정책의 변화
라. 최근 경제 동향
2. 부문별 개발수요
가. 교통 인프라
나. 전력
다. 농업 및 농촌
라. 교육 및 보건
마. 거버넌스


제3장 탄자니아의 국가개발계획 및 수원환경

1. 중장기 정책과제
가. 빈곤의 추방 및 인적개발
나. 산업구조의 개선 및 인프라 확충
다. 경제제도 및 기업환경 개선
2. 국가개발계획과 빈곤감축 전략
가. 장기 개발전략: Vision 2025
나. 5개년경제개발계획
다. BRN 프로그램: 추진전략(Action Strategy)
라. 빈곤감축 전략
3. 수원정책 및 제도적 환경
가. 원조관리 정책
나. 이해관계자 및 역할 분담
다. 개발파트너와의 협력
라. 정부 재정관리
마. 경제정책 의사결정체계


제4장 국제사회의 탄자니아 지원 현황

1. 국제사회 지원 현황
가. 지원 규모 및 추이
나. 분야별 원조 현황
다. 지원 형태
라. 공여국의 협력체계
2. 주요 공여국의 개발협력 전략
가. 미국
나. 영국
다. 일본
3. 주요 다자기구의 개발협력 전략
가. 아프리카개발은행(AfDB)
나. 세계은행(World Bank)
다. UN 기구
라. 유럽연합(EU)


제5장 우리나라의 개발협력 전략

1. 우리나라의 지원 현황
가. 지원 규모 및 주요 분야
나. EDCF 지원 현황
다. KOICA의 지원 현황
라. 기타 공공기관 및 민간단체의 지원 현황
2. 국가협력전략(CPS) 수립 현황과 개선방안
3. 지원전략
가. 지원전략 수립 시 고려사항
나. 중점협력분야
다. 개발협력목표 및 성과 평가틀
4. 이행계획
가. 중기 재정계획
나. 주요 사업영역과 지원수단
다. 리스크 관리방안


제6장 결론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278
판매가격 10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중국종합연구 한중 탄소중립 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2023-12-29 중국종합연구 2023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3-12-29 중국종합연구 탄소중립 시대 중국 동북지역 한중 지역개발 협력방안 : 중국 지린성을 중심으로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한-인도 해운·항만산업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아세안 주요국의 난민지원정책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2023-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중동·북아프리카 식량위기에 대한 역내 인식과 대응 및 협력방안 2023-12-27 단행본 만화로 보는 세계경제 2023 2023-12-23 세계지역전략연구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주요국의 탈탄소 정책과 청정에너지부문 협력 방안 2023-11-29 연구자료 동지중해 천연가스 개발 현황과 한국의 협력 방안 2023-10-20 연구보고서 경제안보 이슈의 부상과 대외협력 방향 2022-12-30 연구보고서 인도의 주별 인구구조 변화가 노동시장과 산업별 고용구조에 미치는 영향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주요국의 대남아시아 경제협력전략과 정책 시사점: 중국, 일본, 인도를 중심으로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전략 경쟁 시대 글로벌 기업의 대응과 중국진출 한국기업에 대한 시사점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일본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일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한국-동남아 가치사슬 안정화를 위한 메콩지역 협력 방안 연구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아세안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아세안 협력 방안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중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중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자료 방글라데시 기후변화 영향 분석 및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인도의 신·재생에너지 시장 및 정책 분석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경쟁 하 중남미의 GVC 참여와 RVC 구축 연구 2022-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