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점진적 통일과정에서의 동북아 경제협력과 남북한 경제통합 방안 경제통합, 북한경제

저자 강문성, 김형주, 박순찬, 이만종, 이영훈, 이종화, 이홍식, 편주현 발간번호 14-06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4.12.30

원문보기(다운로드:4,150)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남북한 분단 이후 남북한 경제적 격차가 매우 큰 상황에서 남북한 경제체제를 통합하는 것은 경제 분야는 물론 정치, 사회, 문화 분야에서 다양한 문제를 유발하고 그 과정에서 극심한 혼란을 야기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남북한 경제통합의 추진 방향 및 구체적인 방안을 보다 세부 분야별로 분석하고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바람직한 경제통합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본 연구는 경제통합의 주요 부문인 무역 및 투자, 화폐통합, 인적자원 활용 등 부문별 통합제도 연구와 동북아 분업구조 및 경제협력에 대한 영향을 바탕으로 점진적인 통일 과정에서의 남북한 경제통합 추진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제2장에서 남북한 경제통합 없이 정치적 무역장벽이 존재하는 현재 상황은 파레토 비효율적임을 증명하고 남북한 합의에 의해 제도적 경제통합을 달성할 수 있다면 파레토 효율적인 상황으로 옮겨갈 수 있음을 이론 모형을 통해 살펴보았다. 또한 독일의 재통일, 중국-홍콩, 중국-대만, 베트남, 예멘, EU 등의 다양한 경제통합 사례분석을 통해 통일 혹은 통합은 다양한 형태로 일어날 수 있다는 점과 통일 또는 통합의 형식을 어떻게 취하느냐에 따라 그 대응방식도 달라진다는 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통합의 속도, 정경분리 방식, 법과 제도의 정비, 민간 부문의 참여, 점진적인 화폐통합, 정치적 의사결정의 메커니즘 구축 등 남북한 경제통합이 추진되어야 할 기본방향을 제시하였다.
제3장에서는 남북 경제통합의 전제인 정경분리 가정을 통한 남북한의 평화적 관계 유지는 남북한 무역과 투자의 유의한 증가를 가져올 것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남북한 경제통합을 통한 무역과 투자의 확대 패턴은 남북한 경제 체제 및 산업 구조의 상이성, 또한 남북한 기업 사이 경쟁력 차이 등 여러 가지 요소들에 의해 다른 양상으로 전개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런 차이를 고려하여 남북한 경제통합이 이루어질 경우 무역과 투자의 확대를 효과적으로 이루기 위한 남한 입장에서의 전략을 제시하였다. 무엇보다 경제적인 거래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정치적인 평화가 남북한 사이에 전제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에 따라 가격체계 정착, 분쟁조정기구 마련, 경제특구 운영 등 남북한의 무역 및 투자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이고 실제적인 틀이 마련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제4장에서는 남북한 화폐통합의 방안으로 실물가치에 연동된 통합회계단위로서 OKU를 도입하고 이를 통해 단계적이고 점진적인 통화통합을 추진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독일의 경험에 비추어 남북한 화폐통합도 단계적이고 점진적인 방식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그 과정에서 새로운 통합회계단위를 도입하여 운영함으로써 단일화폐의 도입 시기, 화폐간 전환비율 등의 문제를 시장기능에 의해 해결되도록 함과 아울러 경제통합과정에서 남북한 거래에서 발생할 수 있는 남북한 원화간 교환비율의 불확실성을 최소화하여 실물부문의 거래확대를 유도하고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남북한 경제통합과정에서 실물부문이 연착륙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제5장에서는 체제이행 국가에서 나타나는 인적자원 변화, 즉 체제이행 방식이나 속도에 따라 소득, 생산성, 기업의 활용 등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했다. 북한 인적자원은 중국이나 동남아 인력과 달리 언어 소통이 자유롭고, 임금 대비 생산성도 높은 편이기 때문에 그 잠재력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가 많다. 그러나 폐쇄적인 북한 사회 특성상, 시장경제 체제에 대한 이해와 경험이 극히 부족한 데다 경쟁 사회의 높은 근무 강도나 산업 기술 격차를 극복하기도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 등 한계 역시 존재한다. 따라서 북한 인적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남북한 경제통합의 긍정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일정과 뚜렷한 목표 아래 점진적으로 통합의 진행, 북한 인적자원에 대해 적용할 최저 임금 수준과 임금 상승 조건 등의 합의, 동아시아 지역의 이해 당사자를 포함하는 글로벌 협력 확대 방안의 검토, 단계별 경제통합 프로그램을 실현할 특구 지정 등이 전제되어야 한다.
제6장에서는 남북한 경제통합이 동북아 분업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우선 남북한 경제통합으로 북한의 대중국 수입액의 절반이 한국으로 전환되는 상황을 가정하였다. 분석결과 중국의 생산유발효과는 감소하고 한국과 여타국의 생산유발효과는 증가하여 전 세계 총 생산유발효과는 3.3억 달러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북한이 동북아 국가보다 강점을 가지는 산업을 중심으로 남북한의 경제통합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전략, 남북한 경제통합에 필요한 재원을 확충하여 아시아로 투자되는 자금이 경제통합을 위해 사용되어 남북한 경제통합에 따라 여타국이 피해를 받지 않는 전략을 고려하여야 한다.
제7장에서는 남북한 경제통합이 동북아 경제통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면, 남북한 경제통합은 한국과 북한 모두에게 경제적으로 적지 않은 이익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북한의 실질 GDP는 연간 약 5.9%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남북한 경제통합이 중국과 일본을 비롯한 주변 국가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미미한 수준에 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북한이 남북한 경제통합과 동북아 경제통합에 참여하지 않는 경우를 분석한 시나리오의 결과를 보면 북한의 실질 GDP와 후생은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한중일 3국은 경제통합을 통해 무역창출효과와 회원국 사이의 생산네트워크가 심화되는 이익을 얻는 반면에 북한이 동북아 경제통합에 참여하지 않음으로써 이러한 혜택을 누리지 못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남북한 경제통합과 동시에 북한이 동북아 경제통합에 참여하는 시나리오의 결과를 보면 북한은 물론 한국, 중국과 일본 모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8장에서는 남북한 경제통합의 세부 분야별 이슈와 동북아 분업구조 및 지역주의에 대한 영향 분석을 바탕으로 점진적으로 남북한 경제통합을 달성하기 위한 제도적 추진방안으로서 남북한 포괄적 경제통합협정(CEIA: COmprehensive EcoNomic IntEgration Agreement 또는 ONE Korea)을 제안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남북한 경제통합 10개년 계획’을 분야별로 구체적으로 기획하여 추진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 협정은 남북한이 서로를 국가로 인정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국가간 협정이 아니며, 남북한 경제통합을 점진적으로 추진하고 궁극적으로 경제통합을 달성하기 위해 1991년 합의된 ‘남북 기본합의서’를 바탕으로 미래지향적, 경제통합 지향적 방향으로 계승 발전시키는 보다 구체적인 제도적 방안이다. 궁극적인 목표인 ‘완전한’ 경제통합에 이르기 전까지 준비하는 과정을 남북한 당국이 합의하여 협정의 형태로 제도화한다는 측면에서 그 의의가 있다. 따라서 이 협정을 바탕으로 ‘남북한 경제통합 10개년 계획’을 수립하여 적극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남북한 경제통합 10개년 계획은 ‘통합 초기단계’, ‘통합 가속단계’, ‘완전통합 준비단계’등 크게 3개의 기간으로 나눌 수 있다. 이와 같이 남북한 포괄적 경제통합협정과 남북한 경제통합 10개년 계획을 통해 보다 점진적으로 남북한 경제통합이 진행된다면, 남북한 경제통합으로 발생 가능한 혼란과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남북한 경제통합이 급진적인 통일과정을 통해 진행되더라도 경제시스템의 모든 분야를 급진적으로 통합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일부 부분의 경우 점진적으로 진행될 수밖에 없을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본 보고서에서 제시된 점진적 경제통합과정 및 정책대안은 경제통합이 급진적으로 진행되더라도 활용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기대된다.
Due to a huge economic gap that opened up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fter nearly seven decades of division in the Korean peninsula, it is expected that economic integ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would naturally give rise to a number of issues in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areas. Therefore, to analyze those issues and the path of economic integ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with regard to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is research aims to propose strategies for gradual economic integ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by analyzing the major issues in economic integration, such as trade and investment, currency integration, and utilization of human resources; and assess their impact on the regional production networks and the economic cooperation process in Northeast Asia.
In Chapter 2, we theoretically prove that the current situ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where many political barriers to trade exist, is Pareto-inefficient; and that it can achieve a Pareto-efficient situation by attaining institutional economic integration enabled by mutual agreement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Based on the theoretical analysis and case studies on Germany, China and Hong Kong, China and Taiwan, Vietnam, Yemen, and the European Union, we proposed basic directions that economic integ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needs to follow: gradual approach to economic integration, separation of economic cooperation and integration from military and security issues, construction of an institutional framework for the economic integration, role of the private sector, gradual integration of currencies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establishment of a mechanism of political ties and stable decision-making process.
In Chapter 3, we prove that peaceful inter-Korean relations will boost trade and investment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However, the pattern of expansion of trade and investment through economic integration is dependent upon differences in economic systems and industrial structures; and on competitiveness of companies of South and North Korea. Also, maintaining peac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s a prerequisite for them to improve efficiency of economic transactions. After that, it is necessary to build an institutional and practical framework in support of a market-oriented system, creation of dispute settlement procedures, and operation of special economic zones in order to facilitate trade and investment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n Chapter 4, we proposed a concrete plan to gradually integrate currencies of South and North Korea, by introducing the OKU (One Korea Indexed Unit of Account) linked with real values. Based on previous cases in Germany and the EU, it is necessary for South and North Korea to gradually integrate two currencies and hence introduce a new unit of account, such as the OKU, so that problems such as the timing of introducing a single currency and the ratio of converting two currencies, can be solved in market-oriented fashion. Therefore, we can minimize the uncertainty of the conversion ratio that may come from the process of integrating two economies, and ultimately lead the real economies to a soft landing following the process of economic integration.
In Chapter 5, this study analyzes how human resources in transition countries have responded to the direction and pace of economic transition, focusing on income, productivity, firms’ utilization, and so on. Human resources in North Korea would be positively evaluated due to a lower linguistic barrier and higher productivity compared to China and Vietnam. Therefore, we expect North Korea to be fairly well- endowed with human resources in terms of productivity and vitality of its population. However, it also has limitations, such as difficulty in understanding a market-oriented system and overcoming work intensity and technological gaps after the economic integr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following preconditions to effective utilization of human resources in North Korea and maximization of benefits from the economic integration: make visible progress in economic integration by setting clear goals, design concrete plans and gradually integrate the economies; achieve consensus on minimum wage levels and conditions for wage increases based on effective market-oriented coordination; consider plans to expand global cooperation among countries in East Asia to enable the North Korean work force to better understand the market system; and establish special economic zones in various areas, where influence of established powerholders are circumscribed, in North Korea.
In Chapter 6, it turns out that China's impact on production activities will decrease but the impact of Korea will increase, and hence the global impact will decrease by US$ 330 million. Based on this analysis, we need to consider two strategies for the economic integration as follows: initially focus on industries where North Korea has a comparative advantage over countries in Northeast Asia; and secure enough budget and funds to meet the costs of economic integration, and consider South Korea’s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Northeast Asia as a private fund and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and Inter-Korean Cooperation Fund as the public fund.
In Chapter 7, we analyzed how the economic integ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will affect economic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It turns out that economic integ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will benefit the two economies, and real GDP in North Korea will increase by 5.9%. In addition,  economic integration will have minimal impact on neighboring countries like China and Japan. However, North Korea will be worse off when North Korea does not integrate with South Korea and does not participate in economic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In addition, in the scenario where South and North Korea integrate with each other and China, Japa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form a regional trade agreement, all countries involved will be better off.
In Chapter 8, after summing up all analyses conducted in the study, we propose a Comprehensive Economic Integration Agreement (CEIA or One Korea Agreement) as an institutional framework for gradually integrating South and North Korea. In addition, we suggest a carry- forward ‘Ten-Year Economic Integration Plan’ for gradual economic integ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t is expected that we can minimize the adverse effects and disorder from the economic integration through the CEIA and ‘Ten-Year Economic Integration Plan’ as proposed in this research. In addition, even though this research has focused more on the gradual economic integration rather than a rapid one, it would be impossible to rapidly integrate the two economies over all sectors when the economic integration proceeds in a rapid way. Therefore, some findings of this research would be applicable to rapid economic integ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서언
 
국문요약 


Ⅰ. 서론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목적 및 범위
 
Ⅱ. 경제통합의 이론적 고찰 및 사례 연구 
1. 경제통합의 이론적 고찰 및 남북한 경제통합의 고려 요소 
2. 경제통합의 사례 
3. 남북한 경제통합에 대한 시사점 및 기본 추진방향


Ⅲ. 남북한 경제통합과 무역 및 투자 추진 전략 
1. 국가간 분쟁 및 정치적 긴장 완화에 따른 무역 및 직접투자의 패턴 변화
2. 남북한 무역 및 투자의 비교 분석과 추진 전략 
3. 소결
 
Ⅳ. 남북한 경제통합과 화폐시스템의 통합 
1. EU의 화폐통합 
2. 동·서독의 화폐통합 
3. 남북한의 화폐통합 방안  
4. 소결
 
Ⅴ. 남북한 경제통합과 북한 인적자원 활용 방안 
1. 체제이행국의 인적자원 변화 
2. 독일 통일의 교훈 
3. 중국 및 베트남의 체제이행과 우리 기업의 경험 
4. 북한 인적자원 활용 및 숙련도 제고 방안 
5. 소결
 
Ⅵ. 남북한 경제통합과 동북아 분업구조  
1. 남북한 교역구조의 비교 분석  
2. 동북아 분업구조의 현황과 특징 
3. 남북한 경제통합이 동북아 분업구조에 미치는 영향분석 
4. 소결 


Ⅶ. 남북한 경제통합과 동북아 경제협력 
1. 생산네트워크와 지역무역협정 
2. 남북한 경제통합과 동북아 경제통합의 파급효과 
3. 소결
 
Ⅷ. 점진적 남북한 경제통합 추진방안 
1. 남북한 포괄적 경제통합협정(CEIA or ONE Korea) 
2. 남북한 경제통합 10개년 계획의 추진
 
참고문헌 


부록. 남북한 경제력 비교 및 경제협력 현황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358
판매가격 12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보고서 북한의 관세 및 비관세 제도 분석과 국제사회 편입에 대한 시사점 2023-12-29 연구보고서 아세안 경제통합의 진행상황 평가와 한국의 대응 방향: TBT와 SPS를 중심으로 2023-12-29 연구보고서 MC13 주요 의제 분석과 협상 대책 2024-02-20 전략지역심층연구 북한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국제협력방안: 농업과 자연재해를 중심으로 2022-12-20 Working paper Analyzing DPRK's Food Supply and Demand Condition with Food Culture 2022-12-30 연구보고서 김정은 시대 북한의 대외관계 10년: 평가와 전망 2022-12-30 연구보고서 노동소득분배 결정요인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2022-12-30 전략지역심층연구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남북 교류협력 추진 방안 2021-12-30 전략지역심층연구 미중 전략 경쟁 심화와 경제·안보의 블록화가 남북관계에 미치는 영향 2021-12-30 연구보고서 외국인 기업의 남북경협 참여활성화 방안 2021-12-30 연구보고서 대북제재의 게임이론적 접근과 북한경제에 미치는 영향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사하라이남 아프리카의 주요 경제공동체별 통상환경 및 산업 구조와 한국의 협력 방안 2021-12-30 연구자료 북한 대외 채무의 쟁점과 과제: 국제 규범과 해외 사례를 중심으로 2021-07-08 전략지역심층연구 유라시아경제연합(EAEU) 통합과정 평가와 한국의 협력전략 2021-05-26 연구보고서 MERCOSUR와 태평양동맹(PA)의 향후 전개방향 및 시사점 2020-12-30 연구보고서 아세안 역내 서비스시장 통합의 경제적 영향과 시사점 2020-12-30 단행본 독일통일 30년: 경제통합의 평가와 시사점 2020-12-30 APEC Study Series Measuring Convergences and Divergences in APEC RTAs/FTAs: a text-mining approach 2020-12-30 APEC Study Series Measuring Convergences and Divergences in APEC RTAs/FTAs: a text-mining approach 2020-12-30 전략지역심층연구 북한의 관광정책 추진 동향과남북 관광협력에 대한 시사점 2020-08-03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