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보고서 멕시코 경제환경 변화와 한·멕시코 경제협력 확대방안 경제관계, 경제협력

저자 권기수, 김진오, 박미숙, 이시은 발간번호 14-20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4.12.30

원문보기(다운로드:3,177)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본 연구는 제조업 생산경쟁력 제고에 따른 제조업의 부상과 니에토 신정부의 총체적인 개혁정책에 힘입어 중남미 경제의 새로운 성장 중심지로 주목받고 있는 멕시코와의 포괄적이며 전략적인 경제협력 확대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추진되었다.
2010년 이후 대내외적으로 멕시코 경제에 주목하는 이유는 북미시장을 포함한 미주지역의 생산기지로서 제조업의 부상 때문이다. 먼저 멕시코에서 제조업의 부상은 최대 수출시장인 미국에서의 시장점유율 증가에서 확인된다. 2000년대 초 중국과의 경쟁에 밀려 하락세를 보이던 멕시코 공산품의 시장점유율은 2008년을 기점으로 증가세로 돌아서 2012년에는 사상 최고치인 12.5%에 달했다. 이 같은 시장점유율 증가는 비교우위지수 분석과 불변시장점유율(CMS) 분석을 종합해볼 때 기계 및 수송기기의 비교우위 상승과 미국의 수입수요 확대에 힘입은 바가 컸다. 다음으로 멕시코에서 제조업의 부상은 국내 산업에서 차지하는 위상 제고에서도 발견된다. GDP에서 차지하는 제조업의 비중은 수송기기산업, 전자산업 등의 성장에 힘입어 2009년 16.7%에서 2013년 17.5%로 증가했다.
이 같은 제조업의 부상은 크게 △제조업 생산경쟁력 제고 △안정적이며 경쟁적인 환율 △비즈니스 환경 개선 △북미시장 생산기지로서 전략적 중요성 재인식 네 가지 요인으로 설명할 수 있다. 먼저 멕시코는 제조업 생산비용 측면에서 중국 등 주요 경쟁국과 비교해 높은 경쟁력을 갖고 있다. 최근 10년간(2002~12년) 멕시코에서 제조업 노동비용은 연평균 1.4% 상승에 그쳤다. PWC(2013)에 따르면 2011년 멕시코의 월평균 임금은 467달러로 이미 중국의 523달러보다 낮았고, 이러한 멕시코의 임금경쟁력은 2030년까지도 유지될 전망이다. 멕시코는 또한 노동비용 측면에서 다른 남미 국가들과 비교해 충분한 경쟁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2013년 기준으로 멕시코의 시간당 노동비용은 2.4달러로 브라질보다 4배 이상, 칠레와 콜롬비아보다는 2배 저렴하다. 둘째, 안정적이며 경쟁적인 환율도 멕시코 제조업의 경쟁력을 지탱하는 중요한 요소다. 멕시코 페소화는 튼실한 경제 펀더멘털에 힘입어 다른 중남미 국가나 개도국 통화와 비교해 매우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페소-달러 환율은 2000년대 들어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며 수출 가격 경쟁력 제고에 기여했다. 셋째, 멕시코의 전반적인 비즈니스 환경 개선도 제조업의 경쟁력 제고에 크게 일조했다. 2014년 현재 멕시코는 중남미 국가 중에서 칠레, 페루, 콜롬비아 등과 비즈니스 환경이 가장 양호한 국가군으로 평가된다. 마지막으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기업들의 글로벌 전략이 오프쇼링 전략에서 리쇼링 전략이나 니어쇼링 전략으로 빠르게 바뀌면서 미국시장 전진기지로서 멕시코의 전략적 중요성이 재평가되고 있다.
다음으로 멕시코 제조업의 경쟁력이 향상되고 있다면 그 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기 위해 총요소생산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 전체 제조업의 생산성은 글로벌 금융위기 시 일시적인 하락에도 불구하고 지난 10년간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였다. 그러나 기술수준별로 구분해보았을 때 중저위 및 중고위 기술 산업의 총요소생산성이 저위기술 산업에 비해 일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세부산업에서 생산성의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을 분석한 결과, 특히 고부가가치 수출 제조업에서 총요소생산성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상의 제조업 경쟁력 분석을 종합해볼 때 멕시코는 북미시장 전진기지로서뿐만 아니라 남미시장을 포함한 미주지역 진출기지로서도 충분한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멕시코가 미주지역 제조업 생산기지로서 확고한 위상을 구축하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① 전 산업에서의 균형적 생산성 향상 ② 수출 공산품의 부가가치 제고 ③ 공식 부문 고용 확대 ④ 은행의 신용 공급 확대 ⑤ 제도개선, 혁신, 인프라 개선 등을 통한 총체적인 국가경쟁력 강화 등의 과제 해결이 관건이다.
다음으로는 니에토 신정부가 성공적으로 추진해오고 있는 개혁정책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평가했다. 1994년 NAFTA 출범 이후 가장 심도깊은 개혁으로 평가되는 니에토 정부의 개혁정책은 에너지, 방송통신, 금융 등 산업구조개혁에서부터 교육, 세제, 노동 등 제도개혁에 이르기까지 매우 광범위하다. 먼저 에너지개혁은 석유산업과 전력산업의 개방을 통해 산업 생산성 향상과 대국민 서비스 품질 제고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석유 탐사 및 개발 등 상류 부문과 발전 부문이 처음으로 민간 부문에 개방되었다. 방송통신 개혁은 시장의 독점 해체와 외국인투자 개방에 초점이 맞추어졌다. 금융개혁은 금융기관의 여신 활성화와 여신 비용 축소에 중점을 두고 추진되었다. 교육개혁은 통합적, 포용적, 고품질 교육 서비스 제공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위해 교육정보관리시스템 도입, 국가교육평가기관 신설, 교원 역량 강화, 중고등 교육의 질과 교육 범위 확대 등의 조치가 취해졌다. 세제개혁은 세수확대를 위한 비만세 도입, 소득 상위계층 소득세 인상, 부가가치세 통일 등에 집중되었다.
니에토 정부의 개혁정책이 주목받는 이유는 멕시코 역사상 가장 전격적이며 포괄적인 개혁이라는 점 때문이다. 과거와 달리 멕시코에서 개혁정책이 성공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배경에는 니에토 대통령의 추진력뿐만 아니라 개혁 필요성에 대한 정치권의 인식과 합의, 그리고 국민적 공감이 보다 크게 작용한 것으로 평가된다. 둘째, 이번 개혁정책이 높게 평가받는 이유는 위기가 아닌 평시에 추진되었다는 점이다. 멕시코 역사상 대부분의 구조개혁정책은 경제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추진되었다. 또한 니에토 정부의 개혁정책이 주목을 끄는 이유는 총체적인 개혁정책으로 멕시코 경제가 획기적인 발전의 전환점을 맞을 수 있다는 기대감 때문이다. 실제로 개혁정책 추진에 힘입어 멕시코 경제는 추가적으로 최대 2%포인트의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일각에서는 석유시장 개방의 직간접적인 투자 효과가 1조 달러에 달할 것으로 평가한다.
한ㆍ멕시코 경제협력 현황을 점검하고 평가하기 위해 한국과 멕시코의 경제관계를 무역, 투자, 제도협력으로 대별해 종합적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무역관계를 살펴보면 최근 10년간 한국과 멕시코 간 무역이 빠른 성장을 보였다. 2013년 현재 멕시코는 한국의 11위 수출대상국으로 부상했으며, 중남미 국가 중에서는 최대 무역흑자국이다. 그러나 이러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대멕시코 수출은 최근 들어 정체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한국 총수출에서 멕시코가 차지하는 위상은 2008년 2.2%에서 2013년에는 1.7%로 하락했으며, 멕시코 시장에서 한국의 시장점유율도 2009년 4.9%에서 2013년에는 3.5%로 줄었다. 최근 한국의 대멕시코 수출 부진은 일부 품목에 대한 수출 쏠림현상 심화(10대 수출품목 비중 74%, 2013년), 낮은 완성재 수출 비중(27%, 2013년) 등 수출구조상의 문제점에서 찾을 수 있다. 양국간 무역관계의 가장 심각한 문제는 한국의 대멕시코 무역흑자가 매우 크다는 점이다. 멕시코 무역통계로 멕시코의 대한국 무역적자규모는 119억 달러에 이르는데, 이는 2013년 멕시코 전 세계 무역적자(11억 달러)의 10배에 달하는 규모다.
다음으로 투자관계를 살펴보면 멕시코는 최근 멕시코 경제의 부상을 겨냥한 우리 기업의 투자가 급증하면서 우리나라의 10대 투자대상국으로 발전했다. 2014년 8월 기아자동차의 투자 발표(10억 달러)가 현실화될 경우 투자대상국으로서 멕시코의 위상은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그러나 양적인 급성장에도 불구하고 양국간 투자는 ① 남미를 포함한 미주지역 생산기지로의 활용 미흡 ② R&D 등을 통한 현지기업과의 협력 부족 ③ 치안 불안 해소 ④ 중소기업에 대한 투자 지원책 확대 ⑤ 금융지원 확대 ⑥ 멕시코 기업의 대한(對韓) 투자 유치 등 다양한 과제를 안고 있다.
마지막으로 양국간 제도협력을 살펴보았다. 우리나라는 2005년 중남미 국가 중 처음으로 멕시코와 전략적 동반자관계를 맺은 이후 다방면에 걸쳐 제도적 협력을 강화해오고 있다. 특히 2013년에는 중견국 협의체(MIKTA)가 결성되어 국제무대에서 멕시코와 협력을 강화할 수 있는 기반이 구축되었으며, 2014년에는 양국간 최고위급 상설협의체인 한ㆍ멕시코 경제협력위원회가 신설되었다. 무역 및 투자 관계에서와 마찬가지로 제도협력 부문에서도 이제 양적인 팽창보다는 내실화에 신경을 써야 할 단계가 된 것으로 평가된다.
이상의 분석을 종합해 한ㆍ멕시코 경제협력 전략과 구체적인 확대방안을 제시했다. 특히 미주지역 생산기지로서 제조업의 부상과 포괄적 구조개혁정책 추진에 따른 멕시코 경제의 빠른 환경 변화에 우리 정부 및 기업이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에 대한 방안 마련에 주력했다. 멕시코 경제의 환경 변화는 우리나라에 기회요인이자 위협요인이 될 수 있다. 본 보고서에서는 멕시코 경제환경 변화에 대한 체계적 대응 전략과 방안 마련을 위해 멕시코 진출 기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앞서의 분석을 종합해 양국간 경제협력 환경을 분석했다.
먼저 외부환경을 살펴보았다. 외부환경은 멕시코 경제의 환경 변화에 따라 우리 기업의 진출에 도움이 되는 기회요인과 사업활동을 저해하거나 방해할 수 있는 위협요인으로 구분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주요 기회요인으로 ① 미국 제조업 전진기지와 남미시장 진출의 교두보 ② 글로벌 금융위기 속에서 안정적 성장 ③ 대규모 인프라 투자 확대 및 개혁정책에 따른 사업기회 확대 ④ 저렴한 노동비용 등을 우선적으로 선정했다. 그 밖에 구조개혁의 경제성장 효과에 따른 내수시장 확대, 노동 및 교육 개혁에 따른 전문인력 공급 확대, 투자진출 확대 및 분야 다변화 등도 기회요소로 제시했다. 특히 우리 기업들은 니에토 정부의 개혁정책이 멕시코 경제발전에 크게 기여하며 이에 따라 기업의 경영환경도 개선될 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았다.
멕시코 경제의 환경 변화에 따라 우리 기업들이 느끼는 위협요인으로는 ① 치안 불안 ② 복잡한 행정과 관료주의 ③ 전력, 도로 등 인프라 부족 ④ 노무관리 및 조세부담 증대 ⑤ 개혁ㆍ개방에 따른 시장경쟁 심화 및 경쟁력 약화 다섯 가지 요소를 제시했다. 특히 그중에서도 우리 기업들은 치안 불안을 가장 심각한 위협요소로 지적했다.
다음으로 내부환경을 강점과 약점으로 나누어 고찰했다. 내부환경은 우리 기업이나 정부가 갖고 있는 협력 역량과 자원을 의미한다. 먼저 우리 기업이 갖고 있는 강점은 ① 높은 기술 경쟁력 ② 적극적 시장개척 의지 ③ 마케팅 능력으로 분석되었다. 우리 정부 혹은 국가의 강점으로는 ① 첨단기술 강국의 이미지 ② 성공적인 경제발전과 산업화 경험이 선정되었다. 특히 한국의 강점 요인 중에서 멕시코는 니에토 대통령이 한국의 교육과 과학을 배울 필요가 있다고 언급할 만큼 우리의 개발경험에 관심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우리의 약점으로는 ① 현지문화 이해와 교류 부족 ② 시장 정보 부족 ③ 정부의 지원 부족 ④ 멕시코 시장에 대한 관심 부족 ⑤ 현지시장에 대한 실질적ㆍ심리적 거리감을 제시했다. 그중에서도 우리 기업들은 멕시코 현지문화에 대한 이해와 교류 부족을 가장 심각한 약점으로 지목했다.
이상의 내외부적인 경제협력환경 분석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융합협력 전략, 상생협력 전략, 중소기업 진출역량 제고 전략, 제도적 협력기반 구축 전략, 4대 전략을 도출하고 각 전략별로 세부 협력방안을 제시했다.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한국의 강점과 멕시코의 기회요인을 결합한 융합협력 전략은 양국이 갖고 있는 각기 다른 분야에서의 장점을 상호 결합하여 최강의 협력 모델을 만들어낼 수 있는 전략이다. 이 전략의 실현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는 ① 멕시코가 중미ㆍ카리브 지역에서 갖고 있는 높은 정치경제적 영향력과 개발협력 경험, 한국의 성공적인 경제발전 경험과 노하우를 융합한 삼각협력 방안 ② 멕시코 기업의 대한국 투자 유치 ③ 항공우주산업 등 양국간 첨단산업부문 협력 등을 제시했다. 기업 차원에서는 북미시장 진출 거점으로서뿐만 아니라 남미 진출 거점으로 멕시코를 활용하는 방안, 에너지 및 방송통신 분야에서 멕시코의 개혁ㆍ개방 기회를 활용한 선제적 진출방안 등을 제시했다.
둘째, 상생협력 전략은 한국이 갖고 있는 기술적인 비교우위, 성공적인 산업화 경험 등을 활용해 멕시코 경제가 안고 있는 고민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전략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실천방안으로는 ① 멕시코 연관지원산업 및 부품소재산업 발전 지원 ② 한ㆍ멕시코 간 교육 및 혁신 서밋(summit) 개최 ③ 한ㆍ멕시코 21세기 프런티어 프로그램 운영 ④ 한ㆍ멕시코 직업훈련원 설립 등을 제시했다.
셋째, 중소기업 진출역량 제고 전략은 멕시코의 기회요인을 이용하여 한국의 약점을 개선하는 협력 전략으로, 우리 중소기업의 멕시코 시장 진출 지원에 초점을 맞춘 전략이다. 대기업과 달리 중소기업은 멕시코 시장에서 사업 기회를 발견한다 해도 정보, 자본 및 인력의 부재로 인해 진출에 엄두를 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이 전략의 핵심은 중소기업의 진출 역량을 배가시키는 데 있다. 이 전략의 실천을 위한 방안으로는 ① 중소기업을 위한 공적금융지원 강화 ② 중소기업의 현지 기술협력 및 기술수출을 지원하기 위한 한ㆍ멕시코 기술혁신센터 설립 ③ 양국 중소기업의 협력 네트워크의 장으로서 한ㆍ멕시코 중소기업포럼 개최 등을 제시했다. 또한 기업 차원에서는 멕시코 기업들의 대한국 기술협력 수요가 높은 점을 감안해 멕시코 기업과의 R&D 및 기술협력 확대 필요성을 제기했다.
마지막으로 제도적 협력기반 구축 전략은 멕시코 시장에서 우리 기업들이 갖고 있는 약점을 극복하고 위협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부 주도로 제도적 협력 기반을 구축하는 데 초점을 맞춘 전략이다. 이 전략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 본 연구에서는 ① 한ㆍ멕시코 FTA 협상 재개 ② 한ㆍ멕시코 경제협력위원회의 체계적 운영 ③ 현지 비즈니스 과정에서 발생하는 애로사항 해소를 위한 상시 협의채널 마련 ④ 한ㆍ멕시코 상공회의소(KOCHAMEX)의 역할 및 기능 강화 ⑤ 직항노선 개설 등 다섯 가지를 제시했다.


 

 Mexico is emerging as a new center of growth in the global economy. Some have taken to calling the country the “Aztec Tiger,” an analogy reminiscent of the “Asian Tigers” that led the economic miracle of East Asia. Mexico can attribute its recent economic surge to two drivers. First would be the nation’s swift growth into a global production base, backed by the enhanced competitiveness of its manufacturing industry. Improved competitiveness thanks to moderate wage increases, enhanced manufacturing productivity, a stable exchange rate, China’s ongoing loss of competitiveness due to rising wages, the US manufacturing renaissance, an extensive FTA network with 45 countries, and better business environments; these are the foundations upon which Mexico has been able to make the swift transformation into a global production base targeting not only North America, but also the South American and EU markets. The second driver would be the successful reform measures rolled out by the Peña Nieto government. Seen as the largest reform in terms of scale since the launch of NAFTA in 1994, Peña Nieto’s reforms have an extremely broad scope, from industrial structure reform in the energy, telecommunications, and financial sectors to institutional reform in education, tax and labor. These structural reform policies have been garnering special attention due to hopes that they may serve as a tipping point in the development of the Mexican economy. As it is, the reform measures are expected to propel the Mexican economy toward additional growth by up to 2 percentage points, maximum. Another reason Nieto’s policies are in the spotlight is because the formerly closed energy and telecommunications markets have opened up, possibly revealing huge business opportunities. There are even some observations that say the direct and indirect investment effect of opening up Mexico’s oil market will reach USD 1 trillion, and that it will have a more powerful economic impact than the US shale gas revolution.
Against this backdrop,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comprehensive and strategic suggestions in order to enhance economic cooperation with Mexico given the recent dynamic changes in Mexico, including its emergence as a manufacturing powerhouse and successful structural reforms of the Peña Nieto government.
To this end, this study consists of six chapters. First chapter contains the purpose of this study, methodology, and literature review. The second chapter concerns Mexico's recent manufacturing surge, how it was possible and how it can be taken further. Also, in order to see whether Mexico's recent changes in manufacturing sector is sustainable or not, total factor productivity was measured at the industry level. Lastly, based on all these analysis, this study evaluates the substantiality of the manufacturing sector growth and the probability of economic development of Mexico.
In chapter three, major reforms that the Peña Nieto government has pushed forward are analyzed and evaluated in depth for policy implications: the background of these reforms and how these reforms were planned and implemented were considered in the first part. This study categorized all eleven reforms that the Mexican government is implementing, into two main ‘pillars’: structural reforms in industrial sectors and institutional reforms. For the structural reforms in the industrial sector, reforms in telecommunications, energy, and finance are discussed in depth; while for the institutional reforms, education, tax and labor reforms are scrutinized. On the basis of this analysis, implications of these reforms and how they could affect the Mexican economy in the near future are introduced.
In chapter four, the current state of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Mexico and Korea is evaluated. Divided into three sub categories, i.e. trade, investment, and institutions; economic cooperation is assessed comprehensively. In addition, the difficulties and obstacles facing Korean enterprises investing in Mexico were surveyed in order to elicit measures for improvement.
In chapter five, policy suggestions are specified to enhance economic cooperation with Mexico. Along with the surveys conducted on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Korean companies investing in Mexico, SWOT analysis is used in order to analyze the economic cooperation environment between Korea and Mexico.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four strategies for the Korean government i.e. converged cooperation strategy, win-win cooperation strategy, SME cooperation strategy and institutional cooperation strategy.
The four strategies to enhance economic cooperation with Mexico are listed below. The first would be a “converged cooperation strategy,” which creates the most powerful model for cooperation by merging the strengths that each country possesses in different areas.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companies, Mexico offers the advantage of being a forwarding base for manufacturing, and having a broad FTA network, that would serve as the basis for strategies targeting not only the North American but also the South American market. On the opposite side, Mexican companies can devise strategies to enter Asian markets, for instance China, by using Korea’s strength as a “gateway to Asia” on account of it being a logistics and FTA hub. The two countries could also draw from Mexico’s powerful political and economic influence over the Central American and Caribbean region and its experiences in development cooperation, and combine this with Korea’s experiences and know-how in successful economic development to formulate a triangular cooperation strategy providing joint assistance to neighboring countries.
Next would be a “win-win cooperation strategy” that utilizes Korea’s comparative advantage in technology and successful industrialization experiences to help solve the problems in the Mexican economy. Policies and projects that support insertion of Mexican components and materials industries into the global supply chain by transferring Korea’s economic development experiences and technologies will simultaneously resolve challenges facing Mexico’s manufacturing sector and create a friendly environment for Korean businesses seeking to enter the market. There should also be a cooperation program in education, along with science and technology sectors, which calls for swift improvements in order to support Mexico’s economic development. To this end, it will be necessary to host a “Korea-Mexico Education and Innovation Summit” attended by presidents of prestigious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 CEOs from both countries, as a channel to enhance mutual understanding and identify cooperation demand in the education and science and technology sectors. Another measure that may be necessary is the establishment of a joint job training institute run by the Korean government and companies in collaboration with the Mexican government, to help solve labor shortages in Korean companies operating in Mexico and to support the Mexican government in education of skilled manpower.
Third is an SME cooperation strategy. Enterprises will play a key role as an agent of cooperation in the expansion of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Mexico. SMEs, in particular, will play as much an important role as large conglomerates. This is because Mexico is a Latin American country with the highest number of Korean SMEs operating within its borders. As a demonstration of its strong interest in fostering SMEs, in 2014 the Mexican government founded INADEM (National Entrepreneur’s Institute). Priority measures to consider in expanding cooperation between Korean and Mexican SMEs are the establishment of a Korea-Mexico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to support SME technology cooperation and exports, and the creation of a Korea-Mexico SME Forum to serve as a network for SME cooperation.
The fourth and final strategy would be to form a basis for institutional cooperation. The best institutional infrastructure for expanding economic cooperation with Mexico is an FTA. Since 2008, Korea-Mexico FTA negotiations have been stalled following Mexico’s decision to halt discussions, and have yet to be resumed. The grounds for this decision were that an FTA with Korea would bring more harm than good, due to the unfavorable balance in trade from Mexico’s viewpoint. Fortunately, the Korean government’s announcement to join the TPP (Trans Pacific Partnership) has rekindled the possibility of concluding an FTA with Mexico. As important as an FTA is, so is opening a direct flight route between the two nations. Not only would this save travel time and airfare, but it would also be a meaningful step that narrows the psychological distance between the people of Korea and Mexico.
In the concluding chapter, the summary of the result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possible future research are proposed.

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가. 연구의 내용 
   나. 연구방법 
   다. 국내외 주요 선행연구
 
제2장 멕시코 제조업의 부상과 경쟁력 변화 
1. 제조업의 부상과 배경 
   가. 제조업 부상의 주요 특징 
   나. 제조업 부상의 배경 
2. 제조업 경쟁력 변화와 원인: 제조업 생산성 분석  
  가. 총요소생산성 추정 
  나. 총요소생산성 변화의 요인 
3. 멕시코 제조업의 발전 전망 및 과제
 
제3장 신정부 개혁정책의 주요 내용과 특징 
1. 개혁 추진의 배경 
2. 산업구조개혁 
   가. 에너지산업 개혁 
   나. 방송통신산업 개혁 
   다. 금융산업 개혁 
3. 제도개혁 
   가. 교육개혁 
   나. 세제 개혁 
   다. 노동개혁 
4. 개혁정책에 대한 평가 및 시사점 


제4장 한ㆍ멕시코 경제협력 현황 및 평가 
1. 교역 
   가. 교역 현황 및 추이 
   나. 교역의 주요 특징 
2. 투자 
   가. 투자 위상 및 추이 
   나. 투자의 주요 특징 
   다. 대멕시코 투자 실태 조사 
   라. 멕시코의 대한(對韓) 투자 
3. 제도협력 
   가. 정부간 협정 
   나. 민관협력채널 
4. 경제협력 평가 
   가. 무역 
   나. 투자 
   다. 제도협력
 
제5장 한ㆍ멕시코 경제협력 확대방안 
1. 멕시코 경제환경 변화에 대한 평가와 한ㆍ멕시코  경제협력 전략 
   가. 외부환경 분석: 멕시코 시장의 기회요인과 위협요인 
   나. 내부환경 분석: 한국(정부 및 기업)의 강점과 약점 
   다. 한국ㆍ멕시코 경제협력 전략 
2. 한ㆍ멕시코 경제협력 확대방안 
   가. 융합협력 방안 
   나. 상생협력 방안 
   다. 중소기업 진출 역량 제고방안 
   라. 제도적 협력기반 구축방안
 
제6장 결론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320
판매가격 10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중국종합연구 한중 탄소중립 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2023-12-29 중국종합연구 2023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3-12-29 중국종합연구 탄소중립 시대 중국 동북지역 한중 지역개발 협력방안 : 중국 지린성을 중심으로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한-인도 해운·항만산업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아세안 주요국의 난민지원정책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2023-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중동·북아프리카 식량위기에 대한 역내 인식과 대응 및 협력방안 2023-12-27 단행본 만화로 보는 세계경제 2023 2023-12-23 세계지역전략연구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주요국의 탈탄소 정책과 청정에너지부문 협력 방안 2023-11-29 연구자료 동지중해 천연가스 개발 현황과 한국의 협력 방안 2023-10-20 연구보고서 경제안보 이슈의 부상과 대외협력 방향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주요국의 대남아시아 경제협력전략과 정책 시사점: 중국, 일본, 인도를 중심으로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전략 경쟁 시대 글로벌 기업의 대응과 중국진출 한국기업에 대한 시사점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일본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일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한국-동남아 가치사슬 안정화를 위한 메콩지역 협력 방안 연구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아세안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아세안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중국 탄소가격정책이 한중 경제관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 및 시사점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중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중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자료 방글라데시 기후변화 영향 분석 및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김정은 시대 북한의 대외관계 10년: 평가와 전망 2022-12-30 연구보고서 인도의 신·재생에너지 시장 및 정책 분석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2-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