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보고서 북한과 중국의 경제관계 현황과 전망 경제협력

저자 조명철 발간번호 97-10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1998.04.17

원문보기(다운로드:776)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北韓과 中國간의 경제관계는 사회주의시장이 전면 붕괴된 90년대초 이후 더욱 밀접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는 北中經濟關係가 기존의 국가무역중심에서 변경무역, 중개무역, 밀무역, 상호투자 원조 등을 포함하는 다방면적으로 이루어지는데서 찾아볼 수 있으며 이 과정에 北韓의 對中國 依存度가 90년 이전보다 현저히 높아진데서 알 수 있다.

그러나 92년 이후의 北中經濟關係는 그 이전의 정치우선주의에 기초한 맹목적 지원과 협조의 성격에서 經濟的 利益을 중심으로 한 관계로 급격히 변화되어 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변화된 세계환경 속에서 이루어지는 북중경제관계를 고찰함에 있어서 먼저 양국의 상대국에 대한 경제정책, 무역현황, 경제협력 등을 분석하고 그에 기초하여 양국간 경제관계를 전망하였으며 北中經濟關係 展望과 관련한 우리의 對應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북한과 중국의 상대국에 대한 경제정책을 고찰하면서 北中經濟關係가 양국의 政治關係 및 對外政策의 變化에 따라 심하게 영향을 받아왔음을 연대별 경제관계 현황분석을 통하여 알 수 있었다.

둘째, 최근 北中貿易現況을 보면 90년초 사회주의국가들의 붕괴와 더불어 이 국가들과 북한과의 경제적 관계는 급속히 약화된 반면 북중경제관계는 오히려 더욱 밀접해져 북한 對外貿易에서 中國은 1위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방식도 매우 다방면적인 성격을 띠고 확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기존에 매우 적었거나 없었던 변경무역, 중개무역, 밀무역 등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중국의 경제이익 위주의 대외정책 하에서도 북한에 대한 우호적 지원은 계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經濟協力 측면에서 볼 때도 中國企業의 북한 나진·선봉지역에 대한 투자가 전체 투자의 70% 이상에 달하고 있어서 이 부문에서도 중국이 주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이러한 현황에 비추어 볼 때 北中經濟關係는 단기적으로는 북한의 경제난 탈피를 위한 노력과 중국 동북지방 개발 붐의 영향하에 비교적 현재의 상황이 유지될 것으로 보이나 장기적으로는 북한의 수출능력의 한계성, 바터제 교역의 제한성, 北·中을 연결하는 社會間接資本 시설의 낙후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지속적인 발전을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그러나 北韓의 경제난이 어려울수록 중국의 정치·전략적 및 경제적 위험부담도 커지는 만큼 中國의 우호적 對北 支援과 交流는 장기화될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북중경제관계가 북한의 일방적인 對中 依存的 성격으로 굳어지고 이것이 북한을 개혁과 개방으로 유도하는데 있어서 적지 않은 부작용으로 나타나고 있는 조건에서 우리는 북한의 의존적 대중관계를 依存的 南北關係로 변화시키기 위한 대응책을 강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 남북 직교역 체계를 구축하고 산업적 의존관계를 형성하며 효율적 법률제도를 구성하고 정보의 공유화, 효율적 전달체계를 세우며 南北韓 交易을 위한 물리적 환경을 조성하여 中國을 대신하는 효율적 경제협력국으로서의 韓國의 위상을 세워나가야 한다.
The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the Economic Relationship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Myongchul Cho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and East European Socialist States caused major economic difficulty to North Korea, which depended heavily on these economies. In the midst of the economic difficulty, the economic relationship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further strengthened, resulting in greater influence of China in North Korean economy.

In this study, we look at the economic relationship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with a focus on the trade flows and the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them. In the process, we look at the fu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and derive a new implication for South Korea's policy forwards the region.
序 言

要 約

Ⅰ 序 論

Ⅱ 經濟政策面에서의 北-中 相互關係論
1. 北韓의 對中國 經濟政策
2. 中國의 對北韓 經濟政策

Ⅲ 北-中 貿易現況 分析
1. 貿易推移
2. 品目別 貿易構造
3. 形態別 貿易推移와 特性
4. 貸金決濟方式과 그 特性

Ⅳ 北中 經濟協力 分析
1. 中國의 對北投資
2. 經濟援助
3. 北-中間 觀光現況

Ⅴ 北-中 經濟關係 展望과 韓國의 對應
1. 北-中 經濟關係 展望
2. 韓國의 對應


Ⅵ 結 論

參考文獻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200
판매가격 7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중국종합연구 한중 탄소중립 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2023-12-29 중국종합연구 2023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3-12-29 중국종합연구 탄소중립 시대 중국 동북지역 한중 지역개발 협력방안 : 중국 지린성을 중심으로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한-인도 해운·항만산업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아세안 주요국의 난민지원정책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2023-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중동·북아프리카 식량위기에 대한 역내 인식과 대응 및 협력방안 2023-12-27 단행본 만화로 보는 세계경제 2023 2023-12-23 세계지역전략연구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주요국의 탈탄소 정책과 청정에너지부문 협력 방안 2023-11-29 연구자료 동지중해 천연가스 개발 현황과 한국의 협력 방안 2023-10-20 연구보고서 경제안보 이슈의 부상과 대외협력 방향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주요국의 대남아시아 경제협력전략과 정책 시사점: 중국, 일본, 인도를 중심으로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전략 경쟁 시대 글로벌 기업의 대응과 중국진출 한국기업에 대한 시사점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일본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일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한국-동남아 가치사슬 안정화를 위한 메콩지역 협력 방안 연구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아세안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아세안 협력 방안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중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중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자료 방글라데시 기후변화 영향 분석 및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인도의 신·재생에너지 시장 및 정책 분석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경쟁 하 중남미의 GVC 참여와 RVC 구축 연구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한-인도네시아 포괄적 미래 협력 방안 연구 2022-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