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자료 Korea-Japan Economic Cooperation amid a New East Asian Integration with an Emphasis on FDI Flows 무역정책, 외국인직접투자

저자 안충영, 정성춘 발간번호 12-04 자료언어 English 발간일 2012.12.24

원문보기(다운로드:1,813)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본 논문의 목적은 두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는 동아시아에서 진행되고 있는 경제통합을 a) 역내금융협력, b) 동아시아 역내 국가들 간의 다기한 FTA와 역외 국가들과의 연계 확장현상, c) 한・일 양국이 지난 20년 동안 경험한 구조변화 및 그에 따른 도전적 과제들을 조명하는 데 있다. 두 번째 목적은 한・일 양국이 역내에서 가장 선진화 된 시장경제를 지닌 국가로서 양자간 공식적 FTA가 발효될 때까지 지연하지 말고 협력적 양자간 FDI를 활성화하여야 한다는 제안을 하는 데 있다. 한・일 양국은 과거사 문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리적으로 바로 이웃이라는 점과 세계적 제조업기지라는 점을 활용하여 세계적 현상으로 일어나고 있는 국경간 가치사슬 현상에 적극 참여하여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한・일 간 상호 FDI 촉진은 양국이 대내적으로 안고 있는 도전적 과제를 해결하는 데 절대로 필요하다. 특히 국내 ‘6중고’ 때문에 해외투자를 기획하는 일본의 다국적기업들은 한국을 최우선 해외투자 선호 지역으로 재평가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wo-fold: First, to examine a) ongoing East Asian integration in terms of intra-regional financial cooperation, b) the proliferation of intra-regional free trade agreements with extra-regional economies and cross-border foreign direct investment flows c) and structural changes in the Japanese and Korean economies in the past two decades and subsequent challenges faced by the two countries. Second, to suggest that Japan and Korea, as the two most mature and closest market economies in East Asia, should not wait to push mutually collaborative FDI until a formal FTA between them is effective. Despite historical legacies, the geographical proximity and the presence of high-tech manufacturing capacities in the two countries could be combined for immediate mutual benefits through engaging in increasingly emerging cross-border value chains. For this purpose, the active promotion of cross-border FDI flows between Japan and Korea is critical for both countries to overcome serious challenges. For the Japanese MNCs hollowing out Japan to respond to the “six difficulties” domestically, Korea could be reassessed as one of the most favored outbound destinations.
Executive Summary
I. Introduction

II. Rising Asia and East Asian Regionalism
1. Asia’s Exceptional Growth Based on Intra-Regional Demand Amid Global Downturn
2. Regional Financial Cooperation
3. Growing Web of East Asian FTAs

III. Structural Change of Japanese and Korean Economies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nd the Great Earthquake
1. Two Lost Decades in Japan
2. Upper Middle-Income Syndrome in Korea

IV. Enhancing Bilateral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Japan and Korea
1. Korea-Japan Cooperation Toward Open East Asian Regionalism
2. Promotion of Cross-border FDI and Opening of the Service Sector

V. Summary and Policy Implication

References

Appendix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74
판매가격 5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보고서 수출규제의 경제적 함의와 글로벌 공급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23-12-30 연구보고서 디지털 통상규범의 경제적 효과 추정에 관한 연구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몽골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몽골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남아공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멕시코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멕시코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호주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호주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유럽 주요국의 경제안보 분야 대중국 전략과 시사점 2023-12-29 연구자료 산업보조금의 글로벌 확산 현황과 시사점 2023-12-29 연구자료 국내 전략산업 투자유치 인센티브 개편 방향 2023-12-08 연구자료 WTO 서비스 국내규제 규범의 분석과 시사점 2023-11-24 연구자료 국제사회의 성평등 무역규범 도입 현황과 한국의 정책과제 2023-05-06 연구자료 외국인 직접투자가 베트남의 성별 임금 격차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2023-09-08 Working paper The Effects of Robotization on Foreign Direct Investment 2023-08-03 연구자료 최근 Mega FTA SPS 규범의 국제논의 동향 및 시사점 2023-05-1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일본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일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포용적 무역을 위한 국내보완대책의 성과와 시사점 2022-12-30 연구자료 무역 자유화와 소비자 후생효과: 품질 다양성을 중심으로 2023-05-25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중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중 협력 방안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미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미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디지털 플랫폼의 활용이 중소기업의 국제화에 미치는 영향과 정책 시사점 2021-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