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보고서 중남미 건설‧플랜트 시장의 특성 분석과 한국의 진출 방안 경제관계, 경제협력

저자 권기수, 김진오, 고희채, 박미숙 발간번호 10-17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0.12.30

원문보기(다운로드:1,676)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본 연구는 중동과 아시아에 편중된 해외건설시장의 대안시장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중남미 건설·플랜트 시장의 특징과 잠재력, 그리고 주요 개발사업 및 정책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한국의 진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외국기업의 금융조달 사례 등 다양한 진출 사례 분석을 통해 우리 기업들에 보다 실질적인 진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보고서는 크게 여섯 장으로 구성되었다. 서론에 이은 제2장에서는 먼저 전력, 석유화학, 정유, 상하수도, 해양플랜트 등 5개 건설·플랜트 산업의 현황을 심층 분석했다. 또한 현지 진출기업 및 전문가 인터뷰 등을 통해 중남미 주요 7개국(아르헨티나, 브라질, 칠레, 콜롬비아, 멕시코, 페루, 베네수엘라)의 건설·플랜트 시장의 특성을 분석했다. 마지막으로 국제기구나 주요 컨설팅 기관의 자료를 활용해 중남미 건설·플랜트 시장의 향후 발전 전망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중남미(주요 7개국 기준) 건설시장은 향후 5년간(2010~14년) 연평균 13.1%의 높은 증가세를 보일 전망이다. 국별로는 아르헨티나, 콜롬비아, 멕시코, 페루 순으로 높은 성장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특히 계량분석 방법을 동원해 중남미 주요국의 향후 발전 플랜트 성장 전망(2008~20년 기간 연평균 성장률 기준)을 추정한 결과, 페루(7.1%), 칠레(6.3%), 멕시코(4.5%), 브라질(4.5%), 아르헨티나(3.5%) 순으로 높은 성장세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제3장에서는 최근 중남미 각국에서 건설·플랜트 개발을 적극 추진하고 있는 배경과 주요 개발정책을 살펴보았다. 중남미지역 건설·플랜트 시장의 빠른 증가세는 △중남미 경제의 안정적 성장세 △중남미 각국의 재정 건전성 제고와 이에 따른 재정능력 확대 △인프라 경쟁력 강화 필요성 확대 △자원의 고부가가치산업화 추진 등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최근 중남미 주요국들은 낙후된 인프라 개발을 위해 국가차원의 정책을 수립해 실시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멕시코의 국가인프라투자계획(PNI), 브라질의 1~2차 성장촉진계획(PAC-1, PAC-2), 아르헨티나의 국토발전 전략(PET), 콜롬비아의 국가발전계획 등을 들 수 있다.
제4장에서는 선진국 기업들의 중남미 건설·플랜트 시장 진출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한국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최근 글로벌 업체들의 중남미 건설·플랜트 시장 진출 동향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또한 구체적인 진출 사례 분석의 일환으로 중남미 건설·플랜트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이탈리아, 스페인, 일본 기업들의 진출 전략을 심층 분석했다. 특히 이 장에서는 중남미 건설·플랜트 시장에서 주요 선진기업 및 우리 기업들의 금융조달 현황 특징과 사례를 분석, 한국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제5장에서는 한국의 전 세계 및 대중남미 건설·플랜트 시장 진출 현황을 점검하고 과제를 도출하였다. 특히 현지 진출기업 및 진출 희망기업을 대상으로 심층적인 면접을 통해 애로사항을 발굴하였다. 그 결과, 우리 기업들은 언어적 특수성에 따른 정보 접근 및 서류 작성의 어려움, 높은 현지 부품조달 규정, 높은 국가위험도에 따른 자금조달의 어려움 등을 중남미 시장 진출 시 대표적인 애로사항으로 지적했다.
마지막으로 제6장에서는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기업차원의 대중남미 건설·플랜트 시장 진출 방안과 정부차원의 지원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기업차원의 진출 방안으로는 △중남미 현지 업체 및 중남미 진출 외국 업체와의 전략적 제휴 △역사적, 언어적 및 문화적 특성이 유사한 중남미 국가들의 특성을 고려 거점국가를 선정해 인근 국가로 진출하는 Hub & Spoke 전략 △유관 단체간 협력 및 중남미 각국 주재 상공회의소 설립 등을 통한 현지 네트워크 구축 확대 등이 제시되었다. 이 밖에도 △철저한 현지화 전략 추진 △우리 제조업체들의 현지 생산공장 건설 기회 활용, 현지 건설기업의 지분인수나 M&A, PPP 프로젝트 공략 등을 통한 진출 전략 다각화 △국내 개발은행의 자금 활용, 수출입은행의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이용, 미주개발은행(IDB) 등 국제개발은행의 자금 사용, 브라질 경제사회개발은행(BNDES) 등 현지 국가개발은행의 자금 활용 등을 통한 금융조달 방식의 다각화 등이 제시되었다.
다음으로 정부 차원에서의 지원확대 방안으로는 △현재 우리 업체들이 제대로 활용하고 있지 못한 미주개발은행(IDB) 자금의 활용 지원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및 글로벌인프라펀드 등을 통한 금융지원 확대 △중남미 건설·플랜트 인력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전담기구 성격의 중남미 인력 DB 센터 설립 △FTA 비회원국에 대한 차별에 대응해 멕시코, 브라질 등 중남미 거대경제권과의 FTA 추진 등이 제시되었다. 그 밖에 △투자보장협정 및 이중과세협정 체결 등 정부차원에서 제도 인프라의 선제적 구축 △한류 확산, Korea Digital Festival 개최, 기업의 사회적 공헌(CSR) 활동과 ODA 및 KSP 사업 연계 추진 등을 통한 한국의 이미지 및 인지도 제고 △브라질 건설·플랜트 특수를 발굴하고 지원하는 브라질특수사업센터 설립 등도 정부차원의 주요 지원 방안으로 제시되었다.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potential, major projects and policies of Latin America’s plant construction industry and to suggest plans for broadening Korean participation. Especially, specific aspects of investment activities by foreign firms, such as financing methods, are studied in detail to render practical assistance for Korean enterprises.
This report consists of six (6) chapters. Following the introduction, chapter two conducts an in-depth analysis of five (5) sectors: plant construction industry power, petrochemical, refinery, water supply and sewage, and offshore structures. In addition, characteristics of plant construction industries in major seven (7) countries - Argentina, Brazil, Chile, Colombia, Mexico, Peru and Venezuela - are included. The final chapter is a forecast of the development of Latin America’s plant construction industry based on data from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consulting firms. The results there state that the Latin American market will grow by 13.1% annually in the coming 5 years (2010-2014). Particularly, Argentina will be the fastest growing market followed by Colombia, Mexico and Peru. According to the empirical test, the average annual growth rate of major Latin American countries between 2008 and 2020 will be as follows: 7.1% in Peru, 6.3% in Chile, 4.5% in Mexico and Brazil and 3.5% in Argentina.
Chapter three outlines the background for the government’s ambitious agendas for the development of the plant construction industry and the main projects in each Latin American country. The rapid expansion of the Latin American market in this sector is derived from △stable economic growth △improved fiscal soundness and expanded government finance △increased need for infrastructure development △promotion of higher-value-added industrialization with natural resources. The major Latin American countries have planned and implemented government-led infrastructure development such as National Infrastructure Development Plan (PNI) in Mexico, the 1st and the 2nd Growth Acceleration Plan (PAC-1, PAC-2) in Brazil, Territorial Strategic Plan (PET) in Argentina, territorial development plan in Colombia and etc.
Chapter four examines the cases of how corporations from developed countries invested in Latin America’s plant construction market and draws implications for Korean firms, first by describing recent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investment activity by global companies. The strategies of leading investors; including corporations from Italy, Spain and Japan, are analyzed in detail. Financing methods employed by major global and Korean firms receive special attention and are closely examined, eliciting implications for Korea.
Chapter five concerns the trend in investment activities of Korean firms and challenges in the world plant construction market, including Latin America. The difficulties of investment are presented, based on the survey of Korean firms that already invested or intend to invest in Latin America. They point out that the main obstacle involve language, which hinders the easy access to information and the paperwork, in addition to the demand for the greater use of local contents, and difficulty in financing due to the high country risks in Latin America.
Lastly, chapter six proposes ways to expand Korea’s participation in Latin America’s plant construction market at the firm level and the measures as to how the Korean government can support such activities. Some of the ways that can be employed by firms include △strategic alliance with local or global companies △a ‘Hub & Spoke’ strategy which selects a base country followed by diversification of investment into nearby countries, utilizing the cultural and linguistic proximity of Latin America △expansion of the network in Latin America by establishing the chamber of commerce and cooperation with related institutions △localization △entering the Latin American market by constructing the Korean firm’s local manufacturing plant followed by diversification, such as the acquisition of shares of local firms, M&A and targeting PPP projects and etc. In connection, various financing methods are suggested: utilizing Korean development banks, Economic Development Cooperation Fund (EDCF) of the Korea Export and Import Bank, multilateral development banks such as the Inter American Development Bank (IDB) and a local development bank such as the Brazilian Development Bank (BNDES). At the government level, the following plans are proposed: △support for financing from Inter American Development Bank (IDB) △expand financing by the Economic Development Cooperation Fund (EDCF) and the Global Infrastructure Fund △establishment of labor database which systemically manages the work force for the plant construction industry in Latin America △signing FTAs with giant economies such as Brazil and Mexico which discriminates non-FTA signing country △building institutional infrastructure such as the Investment Protection Agreement and the Double Tax Avoidance Agreement △raising awareness of Korea and improving its image among locals through such activities as spreading of Korean Culture, holding the Korea Digital Festival, etc △linking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and Knowledge Sharing Program (KSP) together, and △establishment of the Brazil Business Center to find investment opportunity in plant construction market in Brazil and to provide necessary support.

서 언 


국문요약 


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구성 및 방법 
가. 연구 구성 
나. 연구 방법 
3. 선행연구 현황 


제2장 중남미 건설‧플랜트 시장 현황 및 특성 
1. 중남미시장 현황 
가. 투자 추이 및 현황  
나. 분야별 현황 
2. 중남미시장 특성 
가. 주요국 시장의 특성 
나. 주요국 시장의 특성 비교 
3. 향후 성장전망  
가. 국별 전망 
나. 분야별 전망 


제3장 중남미 주요국의 건설‧플랜트 시장 육성정책 
1. 육성정책 추진 배경 
가. 빠른 경제성장 
나. 재정능력 확대 
다. 인프라 경쟁력 강화의 필요성 확대 
라. 자원의 고부가가치산업화 추진 
2. 주요국의 육성정책 
가. 멕시코 
나. 브라질 
다. 칠레 
라. 아르헨티나
마. 페루 
바. 콜롬비아
사. 베네수엘라


제4장 주요국의 중남미시장 진출 현황 및 금융조달 사례 
1. 주요국의 진출 현황 
2. 주요국의 진출 사례 
가. 이탈리아  
나. 스페인 
다. 일본 
3. 금융조달 동향 및 사례 
가. 외국 업체의 사례    
나. 한국 업체의 사례  


제5장 한국의 진출 현황 및 과제 
1. 대세계 진출 현황 및 경쟁력 
가. 해외수주 추이 및 현황 
나. 한국 건설‧플랜트 산업의 해외경쟁력 평가 
2. 대중남미 진출 현황 
가. 대중남미 건설‧플랜트 수주 현황 
나. 시기별 대중남미 플랜트 수주 특징 
3. 현지진출 실태 및 애로사항 


제6장 한국의 진출 방안 
1. 기업 차원의 진출확대 방안
가. 전략적 제휴 확대 
나. Hub & Spoke 전략 추진
다. 현지 네트워크 구축 확대
라. 진출 전략 다각화 
마. 철저한 현지화 전략 추진
바. 금융조달 방식의 다각화
2. 정부 차원의 지원확대 방안
가. 미주개발은행(IDB)의 활용 지원 
나. 금융지원 확대 
다. 중남미 인력관리센터 설립
라. 중남미 거대 경제권과 적극적 FTA 추진 
마. 제도적 인프라 구축 
바. 한국의 이미지 및 인지도 제고  
사. 브라질 특수사업센터 설립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297
판매가격 12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세계지역전략연구 Exploring Urban Perception on Climate Change in Developing Countries 2024-08-29 단행본 2023 KIEP 정책연구 브리핑 2024-06-28 연구보고서 대러 경제 제재가 러시아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한-러 경제협력 안정화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글로벌 경제안보 환경변화와 한국의 대응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인도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몽골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몽골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전략 추진을 위한 한-태평양도서국 중장기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 기술경쟁 시대 중국의 강소기업 육성전략과 시사점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경쟁에 따른 아세안 역내 공급망 재편과 한국의 대응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남아공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자료 동티모르의 아세안 가입 지원 및 개발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멕시코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멕시코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호주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호주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시대 한ㆍ인도 경제협력의 방향과 과제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 서비스 산업 구조 분석과 한-인도 산업 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일본의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관리와 한·일 간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연구보고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EU의 '개방형 전략적 자율성' 확대에 미친 영향: 에너지 전환, 인적 교류, 안보 통합을 중심으로 2023-12-30 연구보고서 중동부유럽으로의 EU 확대 평가와 향후 전망 2023-12-29 중국종합연구 한중 탄소중립 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2023-12-29 중국종합연구 2023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3-12-29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