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자료 아시아 외환위기 이후 인도네시아의 정치·경제 상황과 향후 전망 경제개혁, 경제전망

저자 손기태, 백유진, 김민희 발간번호 10-06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0.10.06

원문보기(다운로드:1,984)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우리 정부와 기업의 동남아시아 지역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는 동시에 동남아시아에서 최대 경제규모를 자랑하는 인도네시아에 대한 교역과 투자가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인도네시아의 현재 모습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인도네시아의 과거 이해가 필수적이다. 인도네시아 역사 중 아시아 외환위기 이후 일어난 정치 및 경제 변화는 현재 인도네시아의 정치ㆍ경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기 때문에 이 기간에 대한 이해는 중요하다. 본 연구는 2장에서 인도네시아의 경제 전반에 대한 이해를 시작으로 3장에서 인도네시아에서 아시아 외환위기 이후 발생한 정치 변화를 개관하면서 같은 기간 일어난 경제 변화를 이해하기 위한 배경지식을 제공한다. 이 기간 정치 변화는 대략 하비비, 와히드, 메가와티로 이어지는 혼란기 이후 2004년 유도요노의 대통령 취임과 2009년의 재임으로 연결되는 안정기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장에서는 헌법개정, 지방분권, 분리독립운동, 테러의 내용이 소개되어 있다. 4장에서는 아시아 외환위기 직후의 상황을 서술한 후 경제 부문 중 은행, 노동법, 부패 부문에서 이루어진 정책 변화를 구체적으로 조망한다. 은행부문의 대출자산이 부실화되자 인도네시아 정부는 IBRA를 설립하여 이 기관이 은행부문의 구조조정을 단행하도록 하였다. 초기 대규모 국채발행으로 재정압박의 우려가 높았지만 추후 유가 상승 호재로 재정압박의 부담은 크게 경감되었다. 그러나 은행부문의 구조조정 과정에서 비효율적인 정부은행이 파산 또는 민간으로 이전되지 않고 오히려 대규모화하여 구조조정은 완결되지 않았고 이 상황에서 IBRA가 조기해체되었다. 또한 인도네시아 정부는 아시아 외환위기 시 경험한 지불인출쇄도를 방지하고자 예금보험을 설립하였지만 구조적 결함으로 도덕적 해이 문제는 잔존할 것으로 판단된다.
Recently, as the Korean government and business community exhibited increasing interest concerning Southeast Asia, a dramatic increase in trade and investment has been observed with the region's largest economic power: Indonesia.
However, understanding Indonesia’s present circumstances must be predicated on an understandingof the country's past history; especially the part concerning the impact of political and economic changes wrought by the Asian Financial Crisis of the late 90s that directly influenced the shaping of the country's present political and economic system.
This study begins with a general description of the Indonesian economy in Chapter 2, followed by an outline of political changes in Chapter 3 that will serve as background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economic changes that occurred in the country.
The politics during this timeframe can be divided into a period of chaos consisting of Habibi, Wahid, and Megawati presidencies; followed by a time of stability after the inauguration of Susilo Bambang Yudhoyono as president in 2004 and his reelection in 2009. This section contains details on constitutional revision, local autonomy, various separatist movements, and terrorist activities.

국문요약


제1장 서 론


제2장 인도네시아와 주변국의 주요경제지표 비교
1. 경제규모 및 성장
가. 경제규모
나. 경제성장률
다. 산업구조
라. 물가상승률
2. 재정수지
3. 대외경제
가. 무역의존도
나. 교역구조
다. 외국인직접투자
4. 우리나라와의 무역 및 투자
가. 교역관계
나. 투자관계
5. 소결


제3장 외환위기 이후 인도네시아의 정치적 변화
1. 정권의 등장 및 퇴진
2. 헌법 개정을 통한 민주주의 실현과 국가체제 재정비
3. 지방분권화와 부패문제
4. 분리독립운동의 진행
5. 테러와 국가안보 실태
6. 소결


제4장 외환위기 이후 인도네시아의 경제적 변화
1. 외환위기 직후 인도네시아의 경제상황
가. 외환위기 시작
나. 초기 외환위기 대응
다. 초기 외환위기 대응 실패
라. 외환위기 심화
마. 통화가치와 주가 변동을 통해 본 외환위기의 심각성
2. 은행부문 구조조정 진행
가. 초기 정책
나. IBRA 설립
다. 국채발행
라. 재정압박
마. IBRA 운영의 어려움
바. IBRA 조기 해체
사. 예금보험
3. 노동법의 변화
가. 외환위기 이전 노동법 운용
나. 아시아 외환위기 직후 근로자권리 향상
다. 노동법 13/2003
라. 노동법의 친기업적 개정 움직임과 실패
마. 과도한 최저임금의 상승
바. 과도한 최저임금 상승의 악영향
사. 지방분권하의 최저임금제
아. 기타 노동 관련법
4. 부패척결 노력과 한계
가. 인도네시아의 부패 정도
나. 수하르토 집권 시 부패
다. 수하르토 정권 몰락 후 부패
라. 수하르토 정권 몰락 후 부패척결 방안과 한계
마. 유도요노 정권의 부패척결 노력과 한계
바. 유도요노 정권의 부패방지 노력과 한계
5. 소결


제5장 결 론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98
판매가격 5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Working paper Resilience of Faith: Post-Covid Religious Trends and the Effect of Ecclesiastical Policy in the United States 2023-12-29 연구보고서 빅데이터 기반의 국제거시경제 전망모형 개발 연구 2023-12-29 연구보고서 중국 도시의 녹색전환 정책과 시사점 2022-12-30 연구자료 시진핑 3기의 경제체제 개혁 과제와 시사점 : ‘사회주의 시장경제 체제’구축을 중심으로 2022-12-30 연구보고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해외 주요국의 경제체제 중요 요소 변화: 기후위기, 디지털플랫폼, 인적자원 및 국가채무를 중심으로 2021-12-30 연구보고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사회 안정성과 포용성 제고를 위한 국내외 정책 분석: 출산ㆍ보육, 부동산, 금융 및 보건위기를 중심으로 2021-12-30 연구보고서 미중 반도체 패권 경쟁과 글로벌 공급망 재편 2021-12-30 연구보고서 동남아 CLMV 국가의 체제전환 평가와 북한에 대한 함의: 체제전환 지수 개발과 적용 2020-12-30 Policy Analysis The Income-led Growth in Korea: Status, Prospects and Lessons for Other Countries 2020-10-08 단행본 현안대응자료 요약 모음집(2020 하반기) 2020-12-31 APEC Study Series The Value-added Creation Effect of Global Value Chain Participation: Industry-level Evidence from APEC Member Economies 2020-12-04 APEC Study Series The Value-added Creation Effect of Global Value Chain Participation: Industry-level Evidence from APEC Member Economies 2020-12-04 연구보고서 신북방시대 한국·몽골 미래 협력의 비전: 분야별 협력과제와 실현방안 2020-11-30 전략지역심층연구 체제전환국의 민간기업 및 기업가 육성과 북한에 대한 시사점 연구: 러시아, 베트남 사례를 중심으로 2020-08-31 단행본 현안대응자료 요약 모음집(2020 상반기) 2020-07-28 연구보고서 중국 산업, 얼마나 强한가?: 중국 산업경쟁력의 미시적 토대 분석 2020-02-28 연구보고서 자산가격 변화가 경제적 불평등과 대외경제 변수에 미치는 영향 분석 2019-12-30 연구보고서 개방경제에서 인구구조 변화가 경상수지 및 대외자산 축적에 미치는 영향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2019-12-30 연구보고서 2016년 대북제재 이후 북한경제 변화와 신남북협력 방향 2019-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한국과 메콩 지역의 중장기 상생전략: 지역 협력체를 중심으로 2019-12-31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