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전체보고서
However, understanding Indonesia’s present circumstances must be predicated on an understandingof the country's past history; especially the part concerning the impact of political and economic changes wrought by the Asian Financial Crisis of the late 90s that directly influenced the shaping of the country's present political and economic system.
This study begins with a general description of the Indonesian economy in Chapter 2, followed by an outline of political changes in Chapter 3 that will serve as background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economic changes that occurred in the country.
The politics during this timeframe can be divided into a period of chaos consisting of Habibi, Wahid, and Megawati presidencies; followed by a time of stability after the inauguration of Susilo Bambang Yudhoyono as president in 2004 and his reelection in 2009. This section contains details on constitutional revision, local autonomy, various separatist movements, and terrorist activities.
국문요약
제1장 서 론
제2장 인도네시아와 주변국의 주요경제지표 비교
1. 경제규모 및 성장
가. 경제규모
나. 경제성장률
다. 산업구조
라. 물가상승률
2. 재정수지
3. 대외경제
가. 무역의존도
나. 교역구조
다. 외국인직접투자
4. 우리나라와의 무역 및 투자
가. 교역관계
나. 투자관계
5. 소결
제3장 외환위기 이후 인도네시아의 정치적 변화
1. 정권의 등장 및 퇴진
2. 헌법 개정을 통한 민주주의 실현과 국가체제 재정비
3. 지방분권화와 부패문제
4. 분리독립운동의 진행
5. 테러와 국가안보 실태
6. 소결
제4장 외환위기 이후 인도네시아의 경제적 변화
1. 외환위기 직후 인도네시아의 경제상황
가. 외환위기 시작
나. 초기 외환위기 대응
다. 초기 외환위기 대응 실패
라. 외환위기 심화
마. 통화가치와 주가 변동을 통해 본 외환위기의 심각성
2. 은행부문 구조조정 진행
가. 초기 정책
나. IBRA 설립
다. 국채발행
라. 재정압박
마. IBRA 운영의 어려움
바. IBRA 조기 해체
사. 예금보험
3. 노동법의 변화
가. 외환위기 이전 노동법 운용
나. 아시아 외환위기 직후 근로자권리 향상
다. 노동법 13/2003
라. 노동법의 친기업적 개정 움직임과 실패
마. 과도한 최저임금의 상승
바. 과도한 최저임금 상승의 악영향
사. 지방분권하의 최저임금제
아. 기타 노동 관련법
4. 부패척결 노력과 한계
가. 인도네시아의 부패 정도
나. 수하르토 집권 시 부패
다. 수하르토 정권 몰락 후 부패
라. 수하르토 정권 몰락 후 부패척결 방안과 한계
마. 유도요노 정권의 부패척결 노력과 한계
바. 유도요노 정권의 부패방지 노력과 한계
5. 소결
제5장 결 론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 98 |
---|---|
판매가격 | 5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