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보고서 한국기업의 대러시아 현지경영 현황과 과제 경제협력, 외국인직접투자

저자 이재영, 이순철, 황지영, 이종문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08.12.30

원문보기(다운로드:2,033)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최근 높은 경제성장과 더불어 외국인 투자환경이 현저히 개선되고 있는 러시아가 세계의 유망한 투자대상지역으로 부상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기업의 러시아 현지 투자진출이 확대되고 있다. 러시아 현지에 진출한 한국기업들은 상당한 성과를 거두고 있지만, 그만큼 현지 진출 및 경영 애로 요인에 많이 노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러시아 현지에 진출한 한국기업을 대상으로 진출동기, 경영성과, 진출 및 현지경영 애로요인 등 현지 경영실태에 대한 심층적인 조사를 바탕으로 성공적인 현지 경영방안을 제시하고자 이루어졌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지조사를 바탕으로 러시아에 진출한 한국기업들의 경영 현황 및 과제와 관련된 주요 이슈들을 파악하고, 대응방안을 마련함으로써 한국기업들이 러시아 시장에 용이하게 진출하고 경영성과를 제고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고 있다.
Since 2000, Russia's business environment has been improving very quickly with both favorable external economic conditions such as high world oil prices and economic reforms by Russia's government. The most improved sectors are labor market, governance policies, competition, regulation, and tax policy, etc. In particular,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policy has been reformed and given the motives for foreigners to invest in Russia. (The rest is omitted.)
서 언

국문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러시아의 투자환경 변화와 진출확대 필요성
1. 러시아 정부의 외국인투자 정책
가. 투자우대 조치
나. 투자제한 조치
2. 러시아의 투자환경 변화
가. 노동시장 경쟁 환경
나. 기업지배구조 환경
다. 경쟁보호 환경
라. 비즈니스 활동 환경
3. 러시아의 시장 여건과 진출확대 필요성
가. 내수시장
나. 자원 및 기술 확보
다. 효율적 시장진출
4. 대러시아 외국인직접투자 현황과 특징
가. 외국인직접투자 동향
나. 러시아 외국인직접투자 특징
5. 한국의 대러시아 직접투자 현황과 특징
가. 투자 현황
나. 투자 특징

제3장 대러시아 투자동기와 경영성과
1. 해외직접투자 결정요인
가. 이론적 배경
나. 투자결정요인 실증분석
다. 설문조사 결과
2. 경영성과와 진입전략
가. 경영성과 분석
나. 경영성과와 진출전략 실증분석
3. 내수시장 진출 도전과 한계
가. 시장진출 형태
나. 내수판매 현황과 애로요인

제4장 현지경영 현황과 애로요인
1. 진출단계의 현황과 애로요인
2. 진입정보의 입수
3. 운영단계상의 애로사항
4. 고용 및 노무관리
5. 현지경영과 정부지원

제5장 경쟁력과 경영현지화
1. 러시아 기업과의 경쟁력 비교
2. 경영현지화
가. 현지경영의 본사 의사결정권
나. 경영성과의 본사와의 관계

제6장 결론: 시사점과 진출 방안
1. 기업 차원의 시사점
가. 기업진출 기본 방향 및 전략
나. 진출시 유의사항
2. 정부 차원의 시사점
가. 정부지원 체계 개선
나. 투자진출 확대 전략 및 지원 방안

참고문헌

부록
1. 대러시아 투자결정요인 분석 모형과 변수 추정
가. 분석모형
나. 변수 추정
2. 지역별 주요 변수 현황
3. 경영성과와 진입전략 실증분석 방법 및 변수 추정
가. 연구방법
나. 변수측정 및 분석 방법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196
판매가격 7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자료 한-호주 공급망 협력 방향: 핵심광물과 수소를 중심으로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한-MENA 녹색전환 협력 방안 2022-12-30 중국종합연구 2022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아프리카 문화콘텐츠 산업의 발전과 한국에 주는 함의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전략경쟁 시대 지정학적 리스크와 경제안보 2022-10-30 연구보고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주요국의 통화·재정정책 방향과 시사점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카타르의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 구축 전략과 협력 시사점 2022-10-31 연구보고서 디지털 부문 혁신과 신북방 주요국의 구조 전환: 신북방 중진국과의 IT 협력을 중심으로 2021-12-30 연구보고서 한ㆍEU FTA 10주년 성과 평가 및 시사점 2021-12-30 연구자료 주요 선진국의 외국인직접투자 정책변화와 시사점 2022-07-29 세계지역전략연구 신남방 국가의 중소기업과 현지 한국 중소기업간 상생 협력 방안 2021-12-30 연구보고서 아시아-유럽 정상회의(ASEM) 25주년 평가와 한국의 활용전략 2021-12-30 전략지역심층연구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남북 교류협력 추진 방안 2021-12-30 중국종합연구 2021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1-12-30 Working paper A Theoretical Approach to Evaluating Global Vaccination Plans 2021-03-31 세계지역전략연구 인도의 對아프리카 협력 현황 및 정책적 시사점 2022-05-27 세계지역전략연구 외국인력 유입의 사회경제적 영향: 유럽 내 아프리카 이민자 사례 및코로나19 대응을 중심으로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미중 경쟁에 대한 호주의 전략적 대응과 시사점: 호주의 대중정책 변화를 중심으로 2022-05-20 연구보고서 러시아의 동북아 에너지 전략과 한-러 신협력방안: 천연가스 및 수소 분야를 중심으로 2021-12-30 연구보고서 아프리카 보건의료 분야 특성 분석 및 한국의 개발협력 방안 2021-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