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고서
발간물
전체보고서
목록으로
동북아지역은 경제규모나 경제의 역동성 면에서 세계경제의 핵으로 부상할 것이며, 한국은 이러한 동북아지역내에서도 핵심인 중국과 일본이라는 경제대국 사이에서 2000년대에는 세계 10위권 이내의 경제강국으로 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또한 인접해 있는 일본의 시장, 기술 및 자본, 중국의 시장 및 노동력, 그리고 러시아의 자원, 기술 및 시장 등에 힘입어, 한국경제는 2000년대에도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동북아지역내 정치/군사적 긴장요소가 제지되고 국가간 교역 및 투자장벽이 낮아짐에 따라, 부존요소의 상호보완성이 높은 동북아지역과의 교역은 크게 증가될 것이다. 또한 일본의 자본 및 기술의 국내 유입이 크게 늘어나고 우리 자본 및 기술의 동북아지역으로의 진출도 확대되며 그 형태도 다양해질 것이다.지리적 위치 및 경제규모 및 경제발전도에서의 중간자적 입장을 토대로 한 동북아 경제협력에서의 주도적 역할 때문에 한국은 동북아 경제협력에서 조정자적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이며, 나아가 아-태지역 및 세계경제에서도 지도적 위상을 확보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그리고 동북아지역은 교통에서도 세계의 중심지 중의 하나로 발돋움할 것이 예상되는데, 한국은 세계교통에서 동북아의 관문 역할을 담당하는 한편, 동북아지역 교통의 중심이 될 것이다.
또한 통신의 발달로 한국은 동북아지역의 어느 곳과도 손쉽게 정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전 세계의 주요 통신망과도 연결되어 우리 기업은 전 세계를 무대로 활동할 수 있을 것이다.동북아 경제협력의 증대를 고려한 국토개발정책의 결과로 동-서 해안지역 등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경제권이 형성될 것이며, 이 경제권은 동북아지역내 교역의 활성화에 기여하는 것은 물론이고 동북아시장을 겨냥한 동북아 및 여타 외국기업에 필요한 활동거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동북아지역내 정치/군사적 긴장요소가 제지되고 국가간 교역 및 투자장벽이 낮아짐에 따라, 부존요소의 상호보완성이 높은 동북아지역과의 교역은 크게 증가될 것이다. 또한 일본의 자본 및 기술의 국내 유입이 크게 늘어나고 우리 자본 및 기술의 동북아지역으로의 진출도 확대되며 그 형태도 다양해질 것이다.지리적 위치 및 경제규모 및 경제발전도에서의 중간자적 입장을 토대로 한 동북아 경제협력에서의 주도적 역할 때문에 한국은 동북아 경제협력에서 조정자적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이며, 나아가 아-태지역 및 세계경제에서도 지도적 위상을 확보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그리고 동북아지역은 교통에서도 세계의 중심지 중의 하나로 발돋움할 것이 예상되는데, 한국은 세계교통에서 동북아의 관문 역할을 담당하는 한편, 동북아지역 교통의 중심이 될 것이다.
또한 통신의 발달로 한국은 동북아지역의 어느 곳과도 손쉽게 정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전 세계의 주요 통신망과도 연결되어 우리 기업은 전 세계를 무대로 활동할 수 있을 것이다.동북아 경제협력의 증대를 고려한 국토개발정책의 결과로 동-서 해안지역 등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경제권이 형성될 것이며, 이 경제권은 동북아지역내 교역의 활성화에 기여하는 것은 물론이고 동북아시장을 겨냥한 동북아 및 여타 외국기업에 필요한 활동거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predicts that Korea will rise to become one of the 10th largest economies in the world in the 21st Century. As Korea's neighbors have market (Japan, Korea), technology (Japan, Russia), capital (Japan), labor (China) and natural resources (Russia), that it can develop continuously. With political and military conflict settled and barriers to trade and investment lowered, it is expected that trade with Northeast Asia nations will increase.
Furthermore, this paper proposes that Korea will secure a leading position in the world economy based on its geographical location, playing a channel role in Northeast Asia because of its economic size and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communications.
This paper mentions that in order to promote economic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Korea will develop a new economic bloc, providing an avenue for foreign companies to target the Northeast Asian market.
Furthermore, this paper proposes that Korea will secure a leading position in the world economy based on its geographical location, playing a channel role in Northeast Asia because of its economic size and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communications.
This paper mentions that in order to promote economic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Korea will develop a new economic bloc, providing an avenue for foreign companies to target the Northeast Asian market.
序 言
Ⅰ. 國際環境의 變化와 東北亞 經濟協力의 展開
Ⅱ. 東北亞 經濟協力의 特性
1. 東北亞 經濟協力의 定義
2. 東北亞 經濟協力의 潛在力 및 制約要因
3. 東北亞 經濟協力에 대한 主要國의 立場
Ⅲ. 東北亞 經濟協力의 現況
1. 交 易
2. 投 資
3. 資源開發協力
4. 産業協力
5. 交 通
6. 通信
7. 環境協力
8. 豆滿江地域開發事業
Ⅳ. 2000年代 東北亞 經濟協力 長期 비젼 및 展望
1. 東北亞 經濟協力의 長期 비젼
2. 東北亞 經濟의 位相
3. 東北亞 經濟協力의 進展
Ⅴ. 우리의 東北亞 經濟協力 推進戰略
1. 東北亞 經濟協力이 韓國에서 갖는 意味 및 韓國의 役割
2. 우리의 推進戰略
3. 東北亞 經濟協力과 南北韓 經濟協力의 調和
Ⅵ. 東北亞 經濟協力體制 構築을 위한 韓國의 對應方案
1. 經濟協力政策
2. 社會間接資本施設 擴充
Ⅶ. 2000年代 東北亞에서의 韓國經濟
參考文獻
Ⅰ. 國際環境의 變化와 東北亞 經濟協力의 展開
Ⅱ. 東北亞 經濟協力의 特性
1. 東北亞 經濟協力의 定義
2. 東北亞 經濟協力의 潛在力 및 制約要因
3. 東北亞 經濟協力에 대한 主要國의 立場
Ⅲ. 東北亞 經濟協力의 現況
1. 交 易
2. 投 資
3. 資源開發協力
4. 産業協力
5. 交 通
6. 通信
7. 環境協力
8. 豆滿江地域開發事業
Ⅳ. 2000年代 東北亞 經濟協力 長期 비젼 및 展望
1. 東北亞 經濟協力의 長期 비젼
2. 東北亞 經濟의 位相
3. 東北亞 經濟協力의 進展
Ⅴ. 우리의 東北亞 經濟協力 推進戰略
1. 東北亞 經濟協力이 韓國에서 갖는 意味 및 韓國의 役割
2. 우리의 推進戰略
3. 東北亞 經濟協力과 南北韓 經濟協力의 調和
Ⅵ. 東北亞 經濟協力體制 構築을 위한 韓國의 對應方案
1. 經濟協力政策
2. 社會間接資本施設 擴充
Ⅶ. 2000年代 東北亞에서의 韓國經濟
參考文獻
판매정보
분량/크기 | 200 |
---|---|
판매가격 | 5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중국종합연구
대전환기의 대중국 전략 연구2
2024-12-31
중국종합연구
대전환기의 대중국 전략 연구1
2024-12-31
세계지역전략연구
인도의 인프라 정책 및 수요 분석과 한·인도 협력방안: 개발협력을 중심으로
2024-12-31
연구자료
홍해 위기가 우리 경제에 미친 영향과 물류 회랑 다변화에의 시사점
2025-05-27
기타
2024 KIEP 정책연구 브리핑
2025-04-30
기본연구보고서
일본의 핵심광물자원 확보전략과 한ㆍ일 협력 시사점
2024-12-31
기본연구보고서
한-아프리카 자원 협력을 통한 핵심광물 확보 전략
2024-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인도의 데이터 거버넌스 분석과 한·인도 협력에 대한 시사점
2024-12-31
기본연구보고서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중앙아시아 글로벌 가치사슬 변화 전망과 한-중앙아 협력 시사점
2024-12-30
기본연구보고서
한국의 대중남미 통상환경 평가와 정책 과제
2024-12-30
기본연구보고서
걸프 국가의 아시아 중시 정책과 한국의 대응방안
2024-12-30
기본연구보고서
인도의 국영기업 주도 경제개발전략과 한국-인도 협력 방안
2024-12-31
세계지역전략연구
Exploring Urban Perception on Climate Change in Developing Countries
2024-08-29
기타
2023 KIEP 정책연구 브리핑
2024-06-28
기본연구보고서
대러 경제 제재가 러시아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한-러 경제협력 안정화 방안
2023-12-29
기본연구보고서
글로벌 경제안보 환경변화와 한국의 대응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인도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몽골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몽골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전략 추진을 위한 한-태평양도서국 중장기 협력 방안
2023-12-29
기본연구보고서
미중 기술경쟁 시대 중국의 강소기업 육성전략과 시사점
2023-12-29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