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고서
발간물
전체보고서
목록으로
2023년은 한국과 인도네시아가 수교를 맺은 지 50주년이 되는 해다. 한국과 인도네시아는 지난 50년간 상호 이해를 바탕으로 우호적인 협력 관계를 다져왔다. 양국은 2006년 ‘전략적 동반자 관계’ 수립을 통해 포괄적 협력 확대의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2017년에는 양자 관계를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하였다.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의 격상은 양국이 상대국에 대해 인식하는 전략적 가치가 높아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로 인도네시아는 미ㆍ중 전략 경쟁의 심화 속에서 한국이 경제ㆍ외교 다변화를 추진할 주요 파트너국으로 꼽힌다. 특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공급망 재편이 장기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인도네시아는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하기 위해 한국이 협력해야 할 핵심 국가다. 인도네시아에도 한국은 자국의 제조업 현대화, 수도 이전, 방위산업 성장에 기여할 주요 국가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연구는 지난 50년간의 한-인도네시아 관계를 평가하고, 향후 양국 협력 확대의 기회요인과 도전과제를 분석해 한국과 인도네시아 간의 전략적 협력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한-인도네시아 관계 발전요인을 검토하고, 외교ㆍ안보 분야에서 한-인도네시아 간 협력 성과와 향후 협력 기회를 고찰하였다. 양국간 외교ㆍ안보 교류는 냉전 종식 이후 점진적으로 확대되었으며, 1990년대 후반 한-아세안 협력이 본격화되면서 심화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방산협력은 양국간 상호 협력 수요가 가장 맞닿았던 분야로, 한국과 인도네시아가 전략적 파트너로서 상대국을 인식하고 국방ㆍ안보 협력을 확대하는 데 기여해왔다. 2000년대 이후 한국이 인도네시아 무기수입에서 주요 수출국으로 자리매김했으며, 양국간 방산협력은 전투기 공동 개발 추진으로도 이어졌다. 한국과 인도네시아는 방산협력을 통해 쌓아온 신뢰에 힘입어 군 고위급 인사 교류, 상호 위탁 교육, 역내 다자 연합훈련 등을 통해 양자간 국방 협력을 확대해왔다. 양국은 아세안 안보 협의체를 통해 한반도 문제를 포함한 지역 안보 이슈에 대해서도 지속적으로 협력해왔으며, 특히 인도네시아는 아세안 회원국 중에서도 남북 대화 촉진에 가장 적극적으로 나선 국가였다. 또한 한국과 인도네시아는 G20과 믹타(MIKTA) 회원국으로서 다양한 글로벌 도전과제에 대한 중견국 협력을 모색해왔다.
최근 인도태평양을 둘러싼 지역 질서 변화 속에서, 양국이 상호 협력할 분야가 더욱 확대되고 있다. 인도태평양을 둘러싼 강대국 간의 전략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한국과 인도네시아는 ‘포용적 지역 질서 형성’과 ‘외교적 자율성 확보’라는 공동의 목표를 공유하고 있다. 특히 인도네시아는 아세안의 인태 전략이라고 할 수 있는 ‘인도태평양에 대한 아세안의 관점(AOIP)’을 주도하였으며, 윤석열 정부가 발표한 한국판 인태 전략도 AOIP와의 연계성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의 새로운 외교정책인 인태 전략과 한-아세안 연대 구상 추진에 있어 인도네시아와의 협력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양국간 상호 핵심 이익이 다르다는 점은 한-인도네시아 간 전략 협력 확대의 한계요인으로 꼽힌다. 양국이 전략 대화 활성화를 통해 상호간 핵심 이익에 대한 접점을 모색하고, 핵심 안보 파트너로서 상호 신뢰를 제고해나갈 필요가 있다.
제3장에서는 수교 이후 한-인도네시아 간 경제협력을 평가하고 향후 협력에 대한 전망을 제시하였다. 수교 이래 인도네시아는 목재, 원유, 액화석유가스(LNG) 등 자원에 대한 한국의 주요 공급국이었다. 한국은 전통적으로 대인도네시아 교역에서 무역적자를 기록해왔으나, 인도네시아산 원자재 수입이 한국 제조업 성장에 기여한 것을 고려할 때 양국은 상호보완적 구조의 경제협력을 발전시켜왔다고 할 수 있다. 당초 채굴과 노동집약적 제조업으로 시작했던 한국의 대인도네시아 투자는 인도네시아가 경제성장을 거듭하면서 최근에는 배터리, 자동차 등 첨단 제조업과 금융 분야까지 확대되는 질적인 변화를 이루었다. 특히 인도네시아의 천연자원과 세계 4위 인구를 보유한 거대 내수시장은 철강, 자동차, 석유화학, 전기전자 등 한국 주력 산업의 전략적 투자를 유인해왔다. 코로나19 발생에 따른 경기 불황에도 불구하고 2021년 한국의 대인도네시아 투자는 1억 8,320만 달러로 사상 최대 규모를 기록하였다. 이러한 한국의 대인도네시아 제조업 분야 투자 강화는 2018년 인도네시아 정부가 발표한 ‘Making Indonesia 4.0’ 등 적극적인 외국인투자 유치를 통해 고부가가치 제조업 성장을 모색하는 인도네시아의 정책에 기인한다. 실제로 인도네시아에서 한국은 ‘첨단 제조업 강국’을 목표로 하는 산업정책 추진에 필요한 파트너로 인식되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공급망 이슈가 부각되면서 한국에서도 인도네시아를 단순 원자재 수입국이 아닌 전략적 파트너로 보는 인식이 커지고 있다. 특히 인도네시아는 핵심 광물 공급처로서의 입지를 활용해 가치사슬 하류부문의 제조업을 유치하는 일종의 산업 내재화 전략을 추진하고 있는데, 이는 한국기업의 전기차와 배터리 생산기지 투자로 이어져 양국간 전략적 차원의 경제협력이 확대되는 추세다. 최근 인도네시아가 수도 이전을 추진하면서 신수도 건설을 둘러싼 인프라 개발 협력 수요도 높아지고 있다. 2022년 11월 윤석열 대통령의 인도네시아 방문을 계기로 양국은 핵심광물 공급망, 첨단산업의 전략적 연대, 신수도 건설 협력 등 다수 분야에서 양해각서를 체결하며, 양국 경제협력 확대 의지를 보였다. 또한 세계 10대 탄소 배출국인 인도네시아와의 기후변화 관련 협력 수요도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인도네시아의 국가별감축안(NDC)에서 산림ㆍ토지 분야의 감축 목표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점과 한국 해외조림사업의 약 75%가 인도네시아에 집중된 점을 고려할 때, 향후 산림 부문의 협력도 유망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글로벌 공급망 불안, 인도네시아의 자원민족주의 성향, 인도네시아를 둘러싼 주변국과의 경쟁 심화는 한-인도네시아 전략 협력 확대의 도전과제로 꼽힌다.
제4장에서는 한-인도네시아 간 인적 교류 및 사회ㆍ문화 협력을 평가하고 양국간 협력의 성과와 한계를 분석하였다. 한-인도네시아 간 인적 교류는 1980년대 중후반 우리 기업들의 인도네시아 진출과 함께 본격화되었으나, 양국간 교류가 활발해진 것은 2000년대 이후라고 볼 수 있다. 지난 20여 년간 양국 국민의 상호 교류는 점진적으로 증가했으나, 베트남과 필리핀 등 다른 아세안 주요국과 비교할 때 큰 두각을 나타내지는 못하였다. 더욱이 코로나19 발생은 단기 방문과 장기체류 모든 면에서 양국간 이주와 이동의 축소를 야기했다. 물론 코로나19 팬데믹은 인도네시아뿐만 아니라 모든 아세안 회원국과의 인적 교류 축소를 가져왔다. 그러나 한국에 거주하는 아세안 회원국 국민의 장기체류 감소율을 비교할 때, 유독 인도네시아인의 비율이 높다는 점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는 한국사회가 ‘인도네시아인이 장기적으로 머물고 삶을 영위하는 데 충분히 준비되어 있지 않다’는 점을 의미한다. 특히 한국사회의 낮은 문화다양성 인식은 한국에 거주하는 인도네시아 무슬림의 일상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주춤했던 양국간 인적 교류의 양적ㆍ질적 회복을 위해서는 문화다양성을 높이기 위한 한국사회의 노력이 필요하다.
한편 최근 20여 년간 한국과 인도네시아는 문화적으로 상당히 가까워졌으며, 그 중심에는 한류가 있었다. 한류는 인도네시아인이 한국어, 한국 문화와 한국 문학에 관심을 갖는 데 크게 기여했다. 반면 한국사회에서 인도네시아어, 인도네시아 전통 및 현대 문화에 대한 이해는 상대적으로 저조한 편이다. 또한 인도네시아에서 한국학에 대한 인식이 커지고 있는 반면, 한국에서는 인도네시아학을 포함한 동남아학에 대한 선호도가 낮은 편이다. 즉, 양국간 문화 교류는 인도네시아 내의 한국 문화 강세와 인도네시아 문화에 대한 한국 내의 관심 저조로 평가할 수 있으며, 이러한 비대칭적이고 불균형한 문화 교류는 앞으로 한국이 극복해야 할 주요 과제로 꼽힌다.
제5장에서는 상기 분석을 바탕으로 한-인도네시아 관계를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현재의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고도화할 수 있는 비전과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한-인도네시아 협력 고도화를 위한 중장기 비전으로 ‘평화롭고 포용적이며 공동번영하는 인도태평양 질서를 위한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제시하였다. 아울러 상기 비전 달성을 위한 4대 협력 방향으로 ① 핵심 전략적 파트너로서 신뢰 구축 기반 강화 ② 신뢰할 수 있는 지역ㆍ글로벌 전략 파트너로 도약 ③ 개방적이고 미래지향적이며 상호호혜적인 경제 파트너십 구축 ④ 디지털 시대의 지속가능한 인적 교류와 상호인식 제고를 제안하였다.
첫째,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의 고도화를 위해서는 핵심 전략적 파트너로서 신뢰 기반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정상간 교류 활성화가 양국 협력 심화의 토대가 되어온 만큼, 정상 교류 정례화를 통해 전략적 파트너로서 상호 신뢰를 유지ㆍ제고해나가야 한다. 아울러 고위급 전략 대화 강화를 통해 상호간의 핵심 현안을 지속적으로 공유하고 일관된 협력 정책을 추진해나갈 필요가 있다. 정상회담 및 고위급 대화를 통해 식별된 핵심 협력 분야에 대해서는 관련 공동위원회 혹은 실무협의단을 구성해 구체적인 협력 사업을 논의ㆍ발굴해나가야 한다. 양국간 상호 신뢰 제고는 정부간 노력만으로 성취할 수 없는 만큼, 1.5~2트랙 대화 활성화를 통해 양측 전문가 집단간의 교류를 더욱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양국이 ‘전략적 파트너’로서 위상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상대국의 핵심 안보 현안에 대해 협력하는 한편, 인도태평양 지역과 글로벌 평화를 도모하기 위한 협력을 강화해나가야 한다. 인도네시아와 한국의 상호 핵심 이익인 아세안 중심성과 한반도 평화에 대해 긴밀히 공조하는 한편, UN 및 믹타(MIKTA)를 중심으로 다양한 글로벌 도전과제에 대한 공조를 확대해나가야 한다. 아울러 해양안보, 대테러, 인도적 지원과 재난구호, 사이버안보 등 인도태평양 지역의 복합 안보 대응에 대한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방산협력이 한-인도네시아 국방 협력을 견인해온 만큼, 상호 윈윈(win-win)할 수 있는 방산협력 전략 구축을 통해 핵심 방산 파트너로서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양국간 호혜적인 경제 파트너십 구축을 위해 무역ㆍ투자 확대 및 공급망 협력을 강화하는 한편 디지털, 인프라,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협력을 확대해나가야 한다. 추가 개방 및 무역ㆍ투자 원활화 조치를 통해 양국간 무역ㆍ투자 확대를 모색하고, 핵심 광물을 중심으로 공급망 협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다만 인도네시아가 원자재에 대한 보호정책을 구사하는 만큼, 이에 대한 리스크 관리 전략이 동반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전기자동차, 배터리, 디지털, 스타트업 등 신산업 분야의 협력을 강화하고, 인도네시아 신수도 건설을 포함해 지속가능한 인프라 협력을 확대해나가야 한다. 마지막으로 신재생에너지와 산림협력을 통해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양국 협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해양국가인 인도네시아의 수요를 고려해 해양환경 분야의 협력을 적극 추진할 필요가 있다.
넷째, 디지털 사회로의 전환은 양국간 인적ㆍ사회문화 교류를 확산할 요인이 되는 만큼, 과학기술 협력 및 인도네시아의 창의 문화 산업 인재양성 협력을 통해 지속가능한 인적ㆍ문화 교류의 토대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인도네시아 문화원 설립, 인도네시아 내 한국학 발전과 한국 내 인도네시아학 발전 제고 등 다양한 문화ㆍ교육 프로그램 등을 통해 양국간 문화 다양성 인식을 제고해야 한다.
South Korea (hereafter Korea) and Indonesia celebrate their 50th anniversary of diplomatic relations in 2023. Since establishing a strategic partnership in 2006, the two countries have developed close ties based on mutual trust and respect. In recognition of the growing common interests and strategic values perceived by each other, Korea and Indonesia elevated their bilateral relations to a “special strategic partnership” in 2017. Indeed, amid intensifying strategic competition between the U.S. and China, Indonesia has emerged as a major partner for Korea to diversify its economic and diplomatic relations. And with the Russia-Ukraine war adding to the woes in the global supply chain already disrupted by the Covid-19 pandemic, Indonesia has become a key partner for Korea to expand its supply chain cooperation. From Indonesia’s perspective, Korea is considered a major economy that can contribute to the modernization of its manufacturing industry, relocation of the capital city and the growth of its defense industry. Among other things, as middle powers in the Indo-Pacific region, the two countries share the common goal of promoting inclusive regional order amid the increasing Sino-U.S. rivalry.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evaluates 50 years of Korea- Indonesia relations and analyzes what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lie ahead for upgrading bilateral cooperation. Based on the above analysis, the study provides policy recommendations for further strengthening strategic partnership between Korea and Indonesia.
Chapter 2 reviews the development of diplomatic and security partnership between Korea and Indonesia. The two countries gradually increased diplomatic exchanges after the Cold War and set out to intensify their partnership in the late 1990s in line with Korea’s enhanced cooperation with ASEAN. In particular, defense industry cooperation – where mutual interests are identified – has been the primary driver of enhancing strategic bilateral ties in the field of defense and security cooperation. Since the 2000s, Korea has established itself as a major arms importer for Indonesia and defense cooperation between the two sides has led to the joint development of fighter jets. Based on the trust built up through close cooperation in the defense industry, Korea and Indonesia have expanded bilateral defense cooperation through high-level personal exchanges and multilateral joint exercises. The two countries have also continued to cooperate on diverse regional security issues, including those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the ASEAN-led multilateral dialogue platforms. Notably, Indonesia has been the most active ASEAN member in supporting inter-Korean dialogue. In addition, Korea and Indonesia, as members of both the G20 and MIKTA, have developed a middle power partnership on a wide range of global challenges. The opportunities and areas where the two countries can collaborate have recently been expanded further. Above all, amid growing strategic competition surrounding the Indo-Pacific region, Korea and Indonesia share the common goal of shaping inclusive regional order and securing strategic autonomy. Indonesia played a pivotal role in rolling out the ASEAN Outlook on the Indo-Pacific (AOIP), with which Korea’s new Indo-Pacific strategy shares a similar stance. Given the growing importance of Indonesia as Korea’s strategic partner, Indonesia is expected to play a key role in pushing ahead with Korea’s new Indo-Pacific strategy and its new policy towards ASEAN – the Korea-ASEAN Solidarity Initiative (KASI). There is sufficient room for further enhancing strategic ties between the two sides, but the different key interests held by each other – promoting peace in Korean Peninsula for Korea and securing its independent and active (bebas aktif) foreign policy for Indonesia, respectively – are challenges to be addressed. It is important that the two countries continue to strengthen strategic dialogues and thereby deepen their understanding of respective core interests and develop mutual trust as a reliable security partner.
Chapter 3 assesses Korea-Indonesia economic cooperation over the past 50 years, with the provision of future directions for upgrading the bilateral partnership. Sinc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ties, Indonesia has been a major supplier of natural resources – particularly wood, crude oil and liquefied petroleum gas (LNG) – for Korea. Korea has maintained a trade deficit in trade with Indonesia, but given how the raw materials imported from Indonesia contribute to the growth of Korea’s manufacturing industry, it can be seen that the two countries have developed a complementary form of economic cooperation. Korea’s investment in Indonesia, which originally began with mining and labor-intensive manufacturing, has recently expanded to high-tech manufacturing and financial sectors with the gradual growth of the Indonesian economy. In particular, Indonesia’s rich natural resources and fourth-largest domestic market in the world have attracted large-scale investments from Korea in areas such as steel, automobiles, petrochemicals and electric and electronics. Despite the economic downturn caused by the Covid-19 pandemic, Korea’s direct investment to Indonesia reached a record high of 183.2 million USD in 2021. This large-scale investment to Indonesia can largely be attributed to Indonesia’s policy to support growth in the high value-added manufacturing industry, for example through the “Making Indonesia 4.0” initiative announced in 2018. In fact, Korea is increasingly seen by Indonesia as an important partner for promoting its industrial policy aimed at becoming a “high-tech manufacturing powerhouse.” As supply chains have emerged as a critical issue since the Covid-19 pandemic, there is a growing consensus in Korea that Indonesia is not just a raw material importer but a strategic partner to cooperate for the establishment of stable supply chains. In particular, as Indonesia attempts to develop downstream manufacturing, capitalizing on its position as a key provider of critical minerals, large-scale investments from Korea have recently been made in electric vehicles and battery production. In addition, infrastructure development has emerged as one of the most promising areas of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as the Indonesian government embarks on building a new capital city in East Kalimantan. On the occasion of President Yoon Suk-yeol’s visit to Bali in November 2022, Korea and Indonesia reaffirmed their mutual desire to strengthen economic cooperation with a series of MoUs signed in the field of supply chains for critical minerals, strategic cooperation in high-tech sectors and various development projects for the new capital city. As Indonesia, the world’s top 10 carbon emitter, pledges ambitious carbon emission cuts, room for bilateral cooperation on climate change is increasingly growing. Given that the Land Use, Land Use Change and Forestry (LULUCF) sector takes more than half of Indonesia’s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 (NDC) target, and that Indonesia accounts for 75% of Korea’s overseas afforestation projects, cooperation on forestry management is also promising. Yet, the instabilities in the global supply chain and Indonesia’s resource nationalism are considered challenges for enhancing strategic partner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Chapter 4 reviews the socio-cultural partnership between Korea and Indonesia, with an analysis on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their bilateral exchanges. Although the two countries established diplomatic ties in 1973, it was not until the 2000s that the bilateral people-to-people exchanges began in earnest. Mutual exchanges between the two peoples have gradually increased over the past 20 years, but are yet to show impressive achievement compared to other ASEAN members such as Vietnam and the Philippines. Furthermore, the outbreak of the COVID-19 pandemic has dramatically reduced the number of people migrating or traveling between the two countries for both short-term visits and long-term stays. The pandemic led to a dramatic drop in people-to-people exchanges with all ASEAN member countries, but it is worth noting that Indonesia’s rate of reduction was particularly high against the overall decline rate of ASEAN people living in Korea. This implies that Korea is not a preferred country to live in for Indonesians. The low public perception of cultural diversity in particular creates an unfavorable environment for Indonesian Muslims to reside in Korea. In order to recover the bilateral people-to-people exchanges which dropped due to the Covid-19 pandemic, more efforts are required by Korea to increase public awareness of cultural diversity. Meanwhile, we have witnessed dramatic development in cultural exchanges between the two countries over the past 20 years, as the Korean Wave has sparked the public interest in Korean culture and language within Indonesia. It is important to note, however, that the level of understanding regarding the Indonesian culture and language still remains relatively low within Korea. Similarly, while the popularity of Korean studies is growing in Indonesia, awareness of Southeast Asian studies, including Indonesian studies, is still low in Korea. Such asymmetrical and unbalanced cultural exchanges are the major challenge for Korea to overcome in strengthening socio-cultural ties with Indonesia.
Based on the above analysis, Chapter 5 provides policy recommendations for further upgrading the Korea-Indonesia strategic partnership. Under the vision of forging a comprehensive strategic partnership for a peaceful, inclusive and prosperous Indo-Pacific, this study suggests four major objectives to strengthen bilateral relations: 1) strengthening the basis of cooperation; 2) realizing major advances as a trusted partner in addressing regional and global challenges; 3) consolidating an open, future-oriented and mutually beneficial economic partnership; and 4) promoting sustainable people-to-people exchanges and raising mutual awareness. First, in order to advance the special strategic partnership,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basis of trust as key strategic partners. As vigorous summit meetings have played a critical part in deepening bilateral relations, it is important to hold regular summit exchanges to enhance mutual trust. Intensifying high- level strategic dialogues will also help the two countries share key issues faced by each other and maintain consistency in their cooperation regardless of leadership change. For key areas of cooperation identified through summit talks and high-level dialogues, the establishment of a joint committee or working group is required to put relevant agendas into action. In addition, 1.5 and 2-track dialogues should be held more actively so that expert groups of Korea and Indonesia can gain better understanding of each other. Second, in order for the two countries to strengthen their status as strategic partners, Korea and Indonesia should more actively cooperate on addressing each other’s key security agendas, as well as promoting stability in the Indo-Pacific region and global peace. In particular, the two countries should closely work together to enhance ASEAN centrality and promote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which are the core interests of Indonesia and Korea, respectively. In addition, building upon their close partnership at the United Nations and MIKTA, Korea and Indonesia should strengthen their cooperation on tackling various global challenges. Most importantly, the two countries should step up efforts to address complex security challenges in the Indo-Pacific such as maritime security, counter-terrorism, and humanitarian and disaster relief (HADR). Finally, as defense industry cooperation has been a key driver of growth in their bilateral defense partnership, the two countries should solidify their status as key defense industry partners by establishing a win-win strategy to boost defense industry ties. Third, capitalizing on the growing opportunities of cooperation, the two countries should build a mutually beneficial economic partnership. Apart from boosting trade and investment further, the two countries should seek to strengthen supply chain cooperation on key minerals in particular. Furthermore, Korea and Indonesia need to strengthen cooperation in the fields of electric vehicles, batteries, digital economy, and start-ups, while expanding cooperation in sustainable infrastructure, including the new capital construction project. It is also necessary to bolster bilateral cooperation for renewable energy and forestry, while enhancing partnership in maritime environmental management. Fourth, as the transition to a digital society is a key factor to facilitate more people-to-people and cultural exchanges between the two countries, Korea should support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Indonesia, as well as foster talented youths that can lead Indonesia’s creative industry. Most importantly, more efforts should be made to increase awareness between the two peoples through various cultural and educational programs – for example, the establishment of an Indonesian cultural center in Korea and the promotion of Korean studies in Indonesia, and vice versa.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연구의 범위와 구성
제2장 한-인도네시아 외교ㆍ안보 협력과 전망
1. 한-인도네시아 관계 발전 과정과 요인
2. 한-인도네시아 외교ㆍ안보 협력 현황과 평가
3. 역내 안보환경 변화에 따른 양국 협력 기회와 도전과제
4. 소결
제3장 한-인도네시아 경제협력 현황과 전망
1. 한-인도네시아 경제협력 성과 및 평가
2. 최근 대외환경 변화와 양국간 협력 수요
3. 경제협력 고도화 기회요인과 도전과제
4. 소결
제4장 한-인도네시아 인적 및 사회ㆍ문화 교류 협력과 전망
1. 인적 교류 현황 및 평가
2. 사회문화 협력의 현황과 평가
3. 인적 교류 및 쌍방향적 문화 교류 증진을 위한 기회와 도전과제
4. 소결
제5장 한-인도네시아 중장기 협력 방안
1. 연구 요약 및 종합 평가
2. 한-인도네시아 협력 고도화 방안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 281 |
---|---|
판매가격 | 10,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세계지역전략연구
Exploring Urban Perception on Climate Change in Developing Countries
2024-08-29
연구보고서
시진핑 신시대 한∙미∙중 삼각관계의 복합성과 새로운 균형 모색
2024-07-29
단행본
2023 KIEP 정책연구 브리핑
2024-06-28
단행본
미중갈등과 경제안보: 닉슨-저우언라이 회담록을 통한 교훈
2024-07-30
전략지역심층연구
우크라이나 전쟁과 세계질서 재편: 분야별 전망과 한국의 정책과제
2023-12-29
연구보고서
대러 경제 제재가 러시아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한-러 경제협력 안정화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글로벌 경제안보 환경변화와 한국의 대응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인도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몽골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몽골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전략 추진을 위한 한-태평양도서국 중장기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 기술경쟁 시대 중국의 강소기업 육성전략과 시사점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경쟁에 따른 아세안 역내 공급망 재편과 한국의 대응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남아공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자료
동티모르의 아세안 가입 지원 및 개발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멕시코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멕시코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호주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호주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시대 한ㆍ인도 경제협력의 방향과 과제
2023-12-29
연구보고서
국제사회의 중국 담론에 대한 분석과 시사점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 서비스 산업 구조 분석과 한-인도 산업 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일본의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관리와 한·일 간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