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보고서 디지털 전환 시대의 디지털 통상정책 연구 무역정책, 전자상거래

저자 이규엽, 최원석, 박지현, 엄준현, 강민지, 황운중 발간번호 21-01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21.12.30

원문보기(다운로드:3,351)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이 보고서는 인터넷을 통한 상품이나 서비스 거래에 영향을 미치는 디지털 통상정책에 초점을 맞췄다. 디지털 무역 및 디지털 무역장벽에 관한 현황과 글로벌 디지털 통상규범 제정 추이를 살펴보고 한국의 디지털 통상정책 대응에 관한 점검과 평가를 거쳐, 한국의 중장기 디지털 통상정책 방향과 주요 정책과제를 제시했다.
   한국이 2020년 인터넷을 통해 수출입한 상품의 규모는 각각 약 6조, 4조 1,000억 원이며, 온라인 서비스 수출 통계는 찾기 어렵다. 이 보고서에서는 한국무역협회의 전자적 무체물 수출입확인서 정보와 국세청의 부가가치세 통계 기초자료(micro data)를 활용하여 2018년과 2019년 한국의 인터넷을 통한 서비스 수출 규모를 추정했다. 추정한 결과에 따르면, 2018년과 2019년 한국의 온라인 서비스 수출 규모는 3조 원을 넘어섰고, 2019년 인터넷을 통한 서비스 수출 규모는 전년보다 약 6.89% 증가했으며, 인터넷을 통한 상품 수출 규모에서 면세점 실적을 제외하면 인터넷을 통한 서비스 수출 규모는 상품 수출 규모보다 컸다. 설문조사 데이터와 한국기업 데이터를 결합하고 성향점수 매칭 기법을 이용한 이중차분 모형을 준용하여, 국내 전자상거래 기업의 매출 효과도 분석했다. 전자상거래 시장 최초 진입 당해 연도의 경우, 전자상거래 기업의 일인당 매출액 증가율이 대조그룹에 포함된 일반 내수기업과 비교하여 약 9.5% 더 큰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이 보고서는 2021년 1~6월에 실시된 ‘디지털 무역장벽 현황과 애로사항’ 설문조사 결과를 포함한다. 무작위 추출 데이터(응답기업 1,029개사)를 분석한 결과, 전자상거래 원활화, 디지털 상품, 데이터 규제 등에서 기업의 공통 애로사항이 식별되었고, 디지털 무역장벽에 따른 애로사항은 기업규모가 작을수록 심각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무역이 확대될수록 디지털 통상장벽도 늘어나면서 2019년 5월부터 WTO 전자상거래 협상이 시작되었다. 이 보고서는 협상에 참여하는 국가(그룹) 간에 나타나는 전자상거래 관련 국내법의 이질성, 용어와 관심 분야의 차이, 데이터 관련 조항(국경 간 데이터의 자유로운 이동 보장, 컴퓨터 설비 현지화 요구 금지)과 전자전송의 무관세 등을 중심으로 한 쟁점과 갈등 부상, 중국의 강력한 디지털 보호무역주의 등이 WTO 전자상거래 협상 진전의 걸림돌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 보고서는 양자ㆍ지역 차원의 FTA에서 나타나는 디지털 통상규범의 특징을 도출하기 위해 전자상거래와 데이터에 관한 무역협정 조항(TAPED) 자료를 활용하여 2000~20년 디지털 무역 관련 조항이나 장을 담은 무역협정 113건을 검토했다. 분석한 결과, 디지털 무역 조항이나 장을 담은 무역협정은 대부분 대륙 간, 선진국과 개도국 사이에서 체결되었고, 최근 들어 강한 의무 조항으로 묶인 데이터 관련 조항이 늘었으며, 분쟁해결 적용을 의무화하면서 일반예외를 허용하는 무역협정 체결도 증가 추세로 나타났다. 미국, EU, 중국이 체결한 FTA의 디지털 통상규범을 비교 검토하고 최근 체결된 디지털 무역협정의 내용도 정리했다.
   글로벌 디지털 통상환경의 변화에 따른 한국의 디지털 정책 대응을 검토했다. 최근 4년(2018∼21년) 동안 정부가 추진해 온 주요 디지털 정책의 방향과 추진전략, 추진과제를 정책별로 비교ㆍ정리하고, 디지털 경제정책과 디지털 통상정책 간의 연계성, 디지털 통상정책의 추진체계를 살펴봤다. 특히 디지털 뉴딜, 디지털 기반 산업 혁신성장 전략, 무역 디지털 전환 대책 등을 중심으로 디지털 통상정책 추진전략을 파악하고 디지털 통상에 대한 대응을 포괄하는지를 중점적으로 검토했다. 데이터 규제 대응 측면을 검토하고자 국내 법률 정비와 정책 추진 동향을 정리했다. 2020년에 개정된 「개인정보 보호법」에서는 ‘개인 식별 가능성의 판단과 관련하여 기준이 되는 주체’와 ‘과학적 연구에 상업적 목적의 연구도 포함되는지 여부’를 중심으로 관련 조항과 쟁점을 살펴봤다. 「신용정보법」에서는 마이데이터 사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정보의 범위, 마이데이터 사업의 보안성 문제, EU 집행위원회의 적정성 관련 사안 등을 검토했다. 현재 추진되는 정책으로 「전자상거래법」, 「데이터산업법」, ‘데이터119프로젝트’ 등의 내용을 살펴보고 쟁점을 정리했다. 미국 무역대표부가 발간하는 무역장벽 보고서를 활용하여 한국의 디지털 통상정책에 대한 미국의 비판적 견해를 정리하고 관련 내용을 국경 간 정보 이전의 자유화, 데이터 지역화 조치, 컴퓨팅 설비, 기타 이슈 등으로 분류하여 통상법적 측면에서 검토했다.
   이 보고서는 한국 디지털 통상환경을 평가하기 위해 유럽정치경제연구소의 디지털 무역제한지수, OECD의 디지털 서비스 무역제한지수, 미국 소프트웨어연맹의 글로벌 클라우드 컴퓨팅 지수 등을 활용했다. 분석 결과를 보면 한국의 디지털 통상환경의 수준은 중위권으로 평가되었다. 한국의 중장기 디지털 통상정책은 자유화 수준을 높이는 개방(openness)과 디지털 무역을 확대하기 위한 글로벌 통상규범 그리고 이를 지지하는 최소한의 국내 규제를 뜻하는 규칙 기반(rule-based)을 지향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소비자, 기업, 경제에 이로운 디지털 통상정책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함이다. 이 보고서는 한국이 디지털 통상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주요 정책과제를 제시하고자 통계와 실증 기반, 적극성과 선제성, 디지털 전환 촉진형, 추진체계의 효과성, 비전과 정책 방향 등 다섯 가지 자체 평가 기준을 활용했다.

   This study focused on digital trade policies that affect the trading of goods and services over the internet. After examining digital trade and digital trade barriers, changes of global digital trade norms, and Korea’s digital trade policy response, the study presented major tasks of Korea’s digital trade policy and mid- to long-term policy direction. 
   The scale of goods imported and exported by Korea through the internet in 2020 was about KRW 6 trillion and 4.1 trillion, respectively. It is difficult to find statistics on Korea’s service exports through the internet. In this study, we estimated the size of Korea’s service exports through the internet in 2018 and 2019 by combining data on electronic intangible goods import/export confirmation document from the Korea International Trade Association and data on value-added declaration from the National Tax Service. First, Korea’s service exports through the internet exceeded at least KRW 3 trillion in both 2018 and 2019. Second, in 2019, the volume of service exports through the internet increased by about 6.89% from the previous year. Third, the scale of export of services through the internet (except for the duty-free shop performance) was larger than that of goods. To estimate the sales effect of domestic e-commerce firms, we matched survey data by KIEP and Korean Enterprise Data and applied the Difference-in-Difference estimation using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technique. In the year of first entry into the e-commerce market, it was estimated that the per capita sales growth rate of e-commerce firms was about 9.5% higher than that of general domestic firms included in the control group. We also conducted a survey titled with Status of Digital Trade Barriers and Difficulties from January to June 2021.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andomized data (number of firms: 1,029), we identified that common difficulties of firms were from e-commerce facilitation, digital products, and data regulation, and the difficulties caused digital trade barriers were more burdensome to smaller size of firms.
   As digital trade has expanded and digital trade barriers have also increased, the WTO e-commerce talk has begun since May 2019. We investigated the heterogeneity of domestic laws related to e-commerce among countries participating in negotiations, differences in terms and areas of interest, data-related provisions guaranteeing free data flows and prohibition of data localization, and customs duties moratorium for electronic transmission. It was predicted that conflicts arising from data-related issues and China’s strong digital protectionism will become major obstacles to the progress of the WTO e-commerce negotiations.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trade norms that have appeared in bilateral and regional FTAs, we used the TAPED (Trade Agreement Provisions on Electronic Commerce and Data) and reviewed 113 trade agreements that have e-commerce provisions or chapters. First, most of the trade agreements containing digital trade provisions or chapters were signed between continents and between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Second, trade agreements that include data-related provisions tied to strong obligations have increased. Third, trade agreements that either mandate the application of dispute resolution or allow general exception have been on the rise. We further compared and reviewed the digital trade rules of FTAs ​​signed by the US, EU, and China and also summarized the contents of digital trade agreements signed recently.
   Next, we examined the Korea’s digital policy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global digital trade environment. The main tasks were to compare directions, strategies, detailed agendas contained in several digital economy policies and digital trade policies over the last four years (2018-21). In particular, we looked into the linkage among digital economy policies including the Digital New Deal and digital trade policy and the implementation structure of digital trade policy. To examine the aspects of data regulation response, we reviewed the recent changes in domestic data regulations. First, we focused on whether commercial research can be included in ‘subjects that are the basis for determining the possibility of personal identification’ and ‘scientific research’ in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mended in 2020 and summarized related provisions and ongoing issues. Second, we focused on the scope of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in the MyData project, the security issue of the MyData project, issues related to the adequacy of the EU Commission in relation to the Credit Information Use and Protection Act. We also reviewed recently proposed policies including the Act on the Consumer Protection in Electronic Commerce, Data Basic Act, and Korea Data 119 Project. Using the National Trade Estimate on Foreign Trade Barriers published by the U.S. Trade Representative, we scrutinized the U.S.’s critical views on Korea’s digital trade policy by classifying free data flows, data localization, and other issues and examining them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trade law.
   Finally, we evaluated Korea’s digital trade environment by using the Digital Trade Restriction Index of the European Centre of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the Digital Services Trade Restrictiveness Index of the OECD, and the Global Cloud Computing Index of the Software Alliance in the U.S. In short, the level of Korea’s digital trade environment was evaluated to be in the mid-range. We recommended that Korea’s mid-to-long-term digital trade policy should aim to be open and rule-based, meaning that it should raise the level of liberalization and embrace global digital trade norms to expand digital trade by introducing minimum number of domestic data regulations. Digital trade policy aiming to be more open and rule-based can be used as a means of achieving the long-term goal of the Korean economy and can yield beneficial effects to consumers, firms, and the long-run growth. Finally, the study provided several policy recommendations of digital trade based on self-evaluation criteria for Korea’s digital trade policy.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과 목적
2. 연구 구성과 방법
3. 연구 내용과 정책 활용

제2장 디지털 전환 시대의 디지털 무역과 디지털 무역장벽
1. 디지털 전환
2. 디지털 무역의 현황과 경제 효과
3. 한국 기업이 직면하는 디지털 무역장벽의 실태

제3장 글로벌 디지털 통상규범의 제정 추이
1. 디지털 통상정책
2. WTO 전자상거래 협상
3. 양자ㆍ지역 무역협정

제4장 한국 디지털 통상정책의 추이와 쟁점
1. 한국의 디지털 통상정책
2. 국내 법률 정비와 정책 추진
3. 미국의 비판적 견해와 통상법적 검토

제5장 한국의 디지털 통상정책에 대한 평가와 정책 제언
1. 한국의 디지털 통상정책에 대한 평가
2. 한국의 디지털 통상정책에 관한 정책 제언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376
판매가격 12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자료 디지털 정책과 규제 변화 분석: Digital Policy Alert 통계를 중심으로 2023-12-11 연구자료 WTO 서비스 국내규제 규범의분석과 시사점 2023-11-24 연구자료 클라우드 서비스 해외투자 동향과 국내 규제 분석 2023-10-20 연구자료 국제사회의 성평등 무역규범 도입 현황과 한국의 정책과제 2023-05-06 연구보고서 국경간 전자상거래가 글로벌 가치사슬에 미치는 영향 2022-12-30 연구자료 최근 Mega FTA SPS 규범의 국제논의 동향 및 시사점 2023-05-1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일본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일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포용적 무역을 위한 국내보완대책의 성과와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디지털통상협정의 한국형 표준모델 설정 연구 2023-05-26 연구자료 무역 자유화와 소비자 후생효과: 품질 다양성을 중심으로 2023-05-25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중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중 협력 방안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미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미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디지털 무역협정 전략 로드맵 연구 2022-12-30 연구보고서 디지털 플랫폼의 활용이 중소기업의 국제화에 미치는 영향과 정책 시사점 2021-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글로벌 보조금 규제의 새로운 현상: 역외보조금·기후변화 보조금·환율보조금 2021-12-30 연구보고서 반덤핑조치의 국제적 확산과 조사기법 다양화의 영향 및 정책시사점 2021-12-30 연구보고서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가치사슬의 구조 변화와 정책 대응 2021-12-30 연구보고서 신보호주의하에서 미국의 대외경제정책 평가와 방향 2021-12-30 연구보고서 미ㆍ중 갈등시대 중국의 통상전략 변화와 시사점 2021-12-30 연구보고서 제조업 서비스화의 수출경쟁력 제고 효과 연구 2021-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