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보고서 디지털 통상규범의 경제적 효과 추정에 관한 연구 무역구조, 무역정책

저자 김현수, 김영귀, 이규엽, 강민지 발간번호 23-25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23.12.29

원문보기(다운로드:817)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디지털 경제와 디지털 무역의 성장과 더불어 디지털 무역에 대한 공통 규범을 정립하고 디지털 경제에서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논의가 다양한 플랫폼에서 진행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다자 차원에서는 WTO 전자상거래 협상이 진행 중이며, 양자 차원에서는 기존 지역무역협정의 전자상거래 챕터를 개선하거나 독자적 형태로 디지털 무역협정을 체결하기도 한다. 한국 역시 다수의 디지털 통상협정을 추진하며 디지털 통상 네트워크를 확대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디지털 통상협정을 통해 형성된 규범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국가 경제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디지털 통상 네트워크가 확대됨에 따라 디지털 통상협정의 경제적 효과 분석에 대한 필요성 역시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반균형모형의 구축을 통해 디지털 통상협정의 경제적 효과를 정량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통상협정에서 주요한 디지털 통상규범을 파악하고 규범 도입 이후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추정한다. 그리고 디지털 경제의 특성을 포함한 일반균형모형을 구축하여 규범의 도입으로 인한 변화에 따라 나타나는 거시경제적 영향을 분석하고 장기적으로는 국내 경제에 미칠 파급효과에 대해 살펴본다.

본 연구는 크게 다섯 부분으로 구성된다. 제2장에서는 국가간 디지털 무역을 제한할 수 있는 정책 규제나 기술장벽 등 디지털 무역장벽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완화하기 위해 도입되고 있는 디지털 통상협정 내 주요 내용을 검토한다. 전자적 전송에 대한 관세 부과 움직임을 비롯하여 데이터 지역화 요건, 국경간 정보 이전 제한 조치, 차별적인 기술 표준이나 부담이 되는 테스트 및 인증 요구, 필터링 및 차단, 영업 비밀의 침해 또는 강제 기술 이전 등이 대표적인 디지털 무역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무역장벽과 관련해서는 전자적 전송에 대한 모라토리엄을 제외하고는 아직까지 WTO 차원의 명시적인 다자간 규범이 없는 상황이다. WTO 전자상거래 협상이 현재 진행 중이나 아직까지는 타결되지 않은 상태이며 많은 국가에서 지역무역협정의 전자상거래/디지털 무역 챕터를 통하여 규범을 마련하고 있다. FTA를 통한 디지털 통상규범 마련에 가장 적극적으로 임하고 있는 국가는 미국으로, 계속 그 적용 범위를 확대해가면서 규범의 자유화 수준도 높여가고 있다. 또한 이러한 흐름에 영향을 받아 디지털 무역뿐 아니라 중소기업 포용, AI, 핀테크 등의 협력 규정을 포함한 디지털 경제협정도 체결되고 있으며 디지털 경제협정을 통해 이전의 FTA 전자상거래 챕터가 개정되는 경우도 있다. 각 협정마다 체결한 국가의 디지털 정책, 관련 협상이 이루어지고 타결된 시기, 서비스 챕터와의 연계 여부 등에 따라 디지털 무역장벽을 완화하고 전자상거래를 활성화하는 데 도움을 주는 규정들의 포함 여부 및 적용 범위와 예외 범위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제3장에서는 디지털 통상규범으로 인한 무역장벽이 무역비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디지털 통상규범의 영향을 일반균형모형을 통해 분석하였기 때문에 이를 위해 내생변수인 무역에 미치는 영향이 아닌 외생변수인 무역장벽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디지털 통상규범은 수입국의 법과 제도 변화를 통해 모든 교역 상대국에 무차별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고 특혜무역협정처럼 체결 당사국에만 차별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도 있기 때문에 본고는 무역비용을 수입국 무역비용과 양국간 무역비용으로 구분하여 분석한다. 또한 기본모형과 더불어 시차모형, 규제 수준 통제모형, 국가 소득별 모형을 추가로 추정한다. 분석 결과, 소비자 보호와 데이터 이동, 그리고 데이터 지역화 조치 등의 조항은 무역비용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데이터 이동 규범은 대부분의 서비스 산업에서 전방위적으로 무역비용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난다.

제4장에서는 디지털 통상규범의 거시경제적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틀로서 이론적 모형을 구축한다. 이 모형은 Caliendo and Parro(2015)와 Antras and Chor(2018)의 모형을 기반으로 하므로 다국가 다산업 간 생산과 무역이 이루어지는 방식은 이 모형들과 동일하나 데이터 경제의 특성을 반영하여 가계 의사결정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는 차이를 보인다. 모형에서 데이터는 가계의 소비행위로부터 생성되는데 가계는 자신의 소비로부터 더 많은 데이터가 생성될수록 데이터 유출과 동의하지 않은 활용에 대한 우려로 인해 비효용을 느낀다. 이러한 데이터의 생성과 외부성을 고려하여 가계의 의사결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모형에 제3장에서 추정한 디지털 통상협정 체결에 따른 무역비용의 변화를 반영하여 WTO 전자상거래 협상 사례를 표본으로 삼아 분석을 실시한다. 분석 시나리오는 ① 현재까지 합의된 것으로 알려진 전자상거래 원활화와 소비자 보호 관련 규범만을 포함하여 낮은 수준으로 협상이 타결되는 상황, ② 합의에 이르지 못한 개인정보 보호나 소스코드, 데이터 관련 규범까지 포함하여 높은 수준으로 협상이 타결되는 상황, ③ 미국의 제안 철회로 WTO하에서 높은 수준의 합의가 어려워진 점을 감안하여 한국을 포함한 일부 국가 사이에서만 높은 수준의 별도 협정이 체결되는 상황으로 구성한다. WTO 전자상거래 협상이 낮은 수준에서 타결되는 경우 협상 참여국들에서는 긍정적인 수출 및 수입효과와 후생효과가 예측되었으며 일부 국가를 제외하고 긍정적인 생산효과도 나타난다. 반면 협상 미참여국에서는 수출과 수입이 모두 줄어들면서 세계 무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감소한다. WTO 전자상거래 협상이 높은 수준으로 타결되었을 경우 낮은 수준으로 타결되었을 경우보다 더 큰 폭의 수출 및 수입효과가 나타난다. 주목할 만한 점 한 가지는 협상 미참여국에서도 수출, 수입과 후생이 낮은 수준이나마 증가한다는 점이다. 이는 디지털 무역규범이 국내 법과 제도의 개선을 촉진함에 따라 모든 교역 상대국에 대해 무역비용이 낮아지면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보인다. 높은 수준의 디지털 통상규범 도입을 지지하는 일부 국가들간에 별도의 협정이 체결되는 경우에는 첫째 시나리오에서와 같이 협정 참여국과 미참여국 간 경제적 효과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제5장에서는 동태적 데이터 경제의 성장모형을 구축하고 디지털 통상규범의 도입에 따라 국내 데이터 규제가 개선될 때 장기적으로 경제성장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일반균형모형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디지털 통상규범의 도입에 따른 데이터 규제 변화는 중장기적으로 최종재, 중간재, 연구개발 부문 등에서 데이터를 활용하는 기업뿐 아니라 데이터 개방에 따른 프라이버시 침해 및 데이터 사용 남용 등으로 인해 소비자에게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 초점을 맞춘다. 디지털 통상규범의 도입에 따른 국내 데이터 규제 변화를 원시 데이터의 저량과 접근성 측면에서 구분하고 성장과 후생효과를 살펴본다. 디지털 통상규범의 적용에 따라 데이터 저량이 확대되거나 데이터 접근성이 개선되는 규제 변화 효과가 발생하면 최종재, 중간재, 연구개발 부문의 노동 비중 변화, 산업 데이터, R&D 데이터 증가율 변화 등과 함께 데이터 활용이 증가하면서 경제와 기술의 성장률이 높아진다. 이 모형에서는 데이터 저량을 충분히 늘리는 규제 변화가 없더라도 디지털 통상규범이 데이터 접근성을 크게 개선하는 규제 변화로 이어지면 경제 성장률뿐 아니라 소비자 후생 수준이 동시에 증가하는 결과가 나타난다.

제6장은 정책 수립 및 추진 과정에서 이 연구의 분석 방법론 활용방안을 모색하고 분석 결과에 기반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본 연구가 제시하는 분석 방법론은 디지털 통상협정의 사전ㆍ사후 평가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 디지털 통상규범별 무역장벽 완화효과를 제시하고 있는바, 디지털 통상협정을 사전 평가할 때에 더욱 다양한 시나리오를 고려해볼 수 있다. 협상이 합의되어 협정문이 완성된 후 실시하는 사전영향평가 단계에서도 엄밀한 분석과 함께 국내 경제 전반에 걸친 영향에 대한 포괄적 평가가 가능하다. 협정문에 포함될 규범들이 결정되면 규범의 유무를 비교하여 무역비용 완화 수준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한 국가 또는 국가군(群)과의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통상협정에 대한 가상적인 경제 영향 평가를 실시함으로써 디지털 통상협정의 잠재 협상 상대국을 지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Discussions to establish common rules for digital trade and to enhance cooperation in the digital economy are taking place on various platforms. At the multilateral level, WTO e-commerce negotiations are in progress, and at the bilateral level, e-commerce chapters of regional trade agreements are being revised. South Korea is also expanding its digital trade network by promoting a number of digital trade agreements. Digital trade rules introduced by digital trade agreements are expected to have an economic impact via multiple channels. Digital trade rules have the potential to facilitate digital trade by reducing trade barriers, leading to overall trade expansion. Expanding trade not only boosts production through increased imports and exports, but can also increase productivity through the spillover of new technologies and increased competition. As the digital trade network expands, the need to analyze the economic impact of digital trade agreements also grows. In recognition of these developments, this study quantitatively analyzes the economic effects of digital trade agreements through a general equilibrium model. We first identify the key digital trade rules in digital trade agreements and estimate how much they reduce trade barriers. Then we build a general equilibrium model that includ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economy to analyze the macroeconomic impacts of introducing digital trade rules.

This study largely consists of five parts. In Chapter 2, we explore digital trade barriers, such as policy restrictions and technology barriers that can limit digital trade between countries and review the key provisions in digital trade agreements in order to mitigate the barriers. While there are still no explicit rules at the multilateral level such as the WTO, except for a moratorium on customs duties on electronic transmissions, digital trade rules in RTAs have become more comprehensive over time and the level of liberalization is increasing. In addition, Digital Economy Agreements have emerged that contain provisions for cooperation in areas such as SMEs, AI, and fintech.

In Chapter 3, we analyze the impact of digital trade rules on trade costs and trade barriers. In particular, we examine the impact on trade barriers, an exogenous variable, instead of the impact on trade, an endogenous variable. This choice was valid because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digital trade rules through a general equilibrium model in the next chapter. We analyze the impact of digital trade rules on importer trade cost as well as bilateral trade cost because digital trade rules may have non-discriminatory effects on all trading partners through changes in domestic law and institutions. Our analysis shows that provisions such as consumer protection, data flow, and data localization measures have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trade costs. In particular, provisions about data flow reduce trade costs in most service industries. However, it is possible that effects that would have been observed if the data were more disaggregated by country or industry are estimated to b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For the sake of consistency with the general equilibrium analysis, this analysis uses ADB MRIO data, which contains only 35 industries in 60 countries/regions. In particular, ADB MRIO mainly contains data in major countries which have multiple agreements, making it difficult to estimate the impact of specific provisions of the digital trade agreement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Chapter 4, we build a theoretical model as a framework for analyzing the macroeconomic impact of digital trade rules. Based on Caliendo and Parro (2015) and Antras and Chor (2018), we model multi-country, multi-industry production and trade in the same way as previous literature, but with household decision-making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ta economy. In the model, data is generated from the household's consumption, and as more data is generated, households experience disutility due to concerns about data leakage and abuse. Household decisions are made considering data generation and externalities. Then we simulate the impact of WTO e-commerce negotiation with this model and the estimation results in Chapter 3. The analysis scenarios are as follows: i) a low level agreement that includes only e-commerce facilitation and consumer protection-related provisions; ii) a high level agreement that includes privacy, source code, and data-related provisions as well; and iii) a separate high level agreement between only a few countries, including South Korea, given that the withdrawal of the U.S. proposal has made high-level agreements under the WTO more difficult. If the WTO e-commerce negotiations are concluded at a low level, our results show positive trade effects and welfare effects for the participating countries. On the other hand, non-participating countries lose both exports and imports, reducing their share of world trade. Trade and welfare effects in scenario 2 are greater than those in scenario 1. It is worth noting that non-participating countries also experience minor increases in exports, imports, and welfare. This is likely due to the fact that digital trade rules lower trade costs for all trading partners through improvements in domestic laws and institutions. In the case of a separate agreement between countries that support the adoption of high-level digital trade rules, the difference in economic impact between the participating and non-participating countries is clear, as in scenario 1.

In Chapter 5, we build a growth model of the dynamic data economy and analyze the economic effects on growth from a general equilibrium perspective when domestic data regulations are improved by the introduction of digital trade rules. We consider the impact on companies utilizing data in final goods, intermediate goods, and R&D sectors as well as on consumers due to privacy violations and abuse of data in the long run. The changes in domestic data regulation due to the digital trade rule are assumed to affect stock and accessibility of raw data. Domestic regulatory changes that increase data volumes or improve data accessibility due to the adoption of digital trade rules - coupled with changes in the share of labor in the final goods, intermediate goods, and R&D sectors, as well as changes in the growth rates of industrial and R&D data - will lead to higher economic (and technological) growth through increased data utilization. The model shows that even in the absence of regulatory changes that increase data volumes sufficiently, if the digital trade rule leads to regulatory changes that improve data accessibility, consumer welfare will increase.

In Chapter 6, we explore the application of the methodology proposed above in policy formulation and implementation. The analytical methodology presented in this repor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ex ante and ex post evaluation of digital trade agreements. A wider range of scenarios can be considered when ex ante assessing digital trade agreements using the estimation results in Chapter 3. More rigorous analyses and comprehensive assessments of domestic economy-wide impacts could also be conducted, after negotiations have been concluded. Once it is determined which provisions are included in the agreement, a quantitative analysis can be conducted by considering how much trade cost will be reduced due to each provision. Finally, we also analyze the economic impact of different types of digital trade agreements with different countries, or groups of countries, to identify potential negotiating partners for a digital trade agreement.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3. 연구의 구성과 내용

제2장 디지털 무역장벽과 통상규범
1. 디지털 무역장벽
2. 디지털 통상규범을 통한 무역장벽의 완화

제3장 디지털 통상규범이 무역장벽에 미치는 영향
1. 선행연구
2. 무역장벽 추정
3. 디지털 통상규범이 무역비용에 미치는 영향

제4장 디지털 통상규범의 거시경제적 영향
1. 이론모형
2. 디지털 통상협정의 거시경제적 영향 분석: WTO 전자상거래 협상

제5장 디지털 통상규범과 데이터 경제성장
1. 선행 연구
2. 이론모형
3. 데이터 경제의 시장균형과 특징
4. 디지털 통상규범의 수용과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제6장 결론
1. 주요 내용 요약
2. 시사점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246
판매가격 10,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동남아 주요 5개국의 통상전략과 경제성장 경로 : 수출주도성장전략의 평가와 전망 2024-10-11 연구보고서 수출규제의 경제적 함의와 글로벌 공급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23-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몽골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몽골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남아공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멕시코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멕시코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호주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호주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유럽 주요국의 경제안보 분야 대중국 전략과 시사점 2023-12-29 연구자료 산업보조금의 글로벌 확산 현황과 시사점 2023-12-29 연구자료 WTO 서비스 국내규제 규범의 분석과 시사점 2023-11-24 연구자료 국제사회의 성평등 무역규범 도입 현황과 한국의 정책과제 2023-05-06 연구보고서 국경간 전자상거래가 글로벌 가치사슬에 미치는 영향 2022-12-30 연구자료 최근 Mega FTA SPS 규범의 국제논의 동향 및 시사점 2023-05-1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일본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일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포용적 무역을 위한 국내보완대책의 성과와 시사점 2022-12-30 연구자료 무역 자유화와 소비자 후생효과: 품질 다양성을 중심으로 2023-05-25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중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중 협력 방안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미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미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디지털 플랫폼의 활용이 중소기업의 국제화에 미치는 영향과 정책 시사점 2021-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글로벌 보조금 규제의 새로운 현상: 역외보조금·기후변화 보조금·환율보조금 2021-12-30 연구보고서 반덤핑조치의 국제적 확산과 조사기법 다양화의 영향 및 정책시사점 2021-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