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보고서 인도 서비스 산업 구조 분석과 한-인도 산업 협력 확대 방안 경제협력, 산업구조

저자 한형민, 노윤재, 김도연, 백종훈, 김소은 발간번호 23-07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23.12.29

원문보기(다운로드:941)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서비스 산업은 인도 내 생산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산업이다. 인도를 이끌고 있는 모디 정부는 최근 적극적인 제조업 육성 정책을 펼치고 있지만, 인도 경제는 서비스업 중심의 성장을 이어나가고 있다. 인도의 초기 서비스업은 낮은 생산성을 가진 IT 아웃소싱을 중심으로 발전하였다. 하지만 최근 소프트웨어, 인터넷 서비스, 전자상거래 등의 서비스업이 인도의 주요 산업으로 등장하고 있으며, 인도 서비스 산업에는 전반적인 생산성 개선과 구조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주요국은 인도 서비스 산업의 여러 구조적 변화에 발맞추어 인도와의 서비스 산업 협력을 이어가고 있지만, 한-인도 협력은 제조업 중심의 협력에 국한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인도의 산업 구조 변화와 이와 관련한 정책을 심도 있게 살펴봄으로써 인도 서비스 산업 내 수요 변화를 분석하고, 제조업 중심의 한-인도 협력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인도의 서비스 산업을 정량적ㆍ정성적 자료에 기반하여 살펴본 결과 IT, 소프트웨어 산업 이외에 다양한 서비스 산업이 등장하고 있고, 인도 서비스 기업의 생산성과 고숙련 노동 비중이 증가하고 있으며, 서비스 산업에서 외국인 직접투자 개방이 크게 확대되는 구조적 변화를 경험 중이다. 인도의 서비스업은 인도 내 가장 많은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으로, 타 산업 대비 고용이 크게 창출되고 있으며, 최근 수출, 외국인 직접투자, 글로벌 공급망 연계도(連繫度) 역시 함께 증가하고 있다. 인도 서비스 산업은 전통적으로 도ㆍ소매업과 공공 서비스업이 큰 비중을 차지하였지만, 최근 R&D, 장비 대여업, 데이터 관리, 마케팅 등을 포함하는 사업시설 관리 및 사업지원이 주요 서비스업으로 부상하였고, 이외에 금융 및 보험업, 교육 서비스업도 성장 중이다. 또한 도ㆍ소매업, 통신서비스, 운송, 문화 서비스, 금융 서비스업에 속한 인도 국내 기업의 평균 총요소생산성이 증가하고 있어, 인도 내 다양한 서비스 분야가 인도 서비스 산업 성장을 이끄는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인도의 서비스 산업에 종사하는 노동자 가운데서도 전반적으로 고숙련 노동자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인도 서비스 산업 성장의 핵심은 인도 정부의 기술 중심 인력 양성 정책과 민간 참여 확대 및 규제 완화를 위한 경제개혁 정책이다. 1947년 독립 이후 인도 정부는 기술인력 양성을 위한 다양한 지원을 꾸준히 진행하였다. 이와 함께 1991년 인도 정부는 시장경제 중심의 경제개혁을 단행하였고, 이후 서비스 무역, 투자를 개방하였다. 인도 정부는 시기에 따라 단계적으로 외국인 직접 투자 허용 범위를 확대하였으며, 현재 보험, 유통, 항공 등 일부 산업을 제외한 대부분의 산업에서 100%의 외국인 직접투자를 허용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로 1990년대 초 IT 분야의 풍부하고 숙련된 인도 인력을 활용하기 위하여 해외 수요가 크게 증가하였으며, 이후 인도 경제와 개인 소득의 성장에 따라 법률, 회계, 부동산 등 다양한 서비스 산업이 성장하였다. 최근에도 통신, IT, 소프트웨어, 금융, 교육 분야에 대한 인도 정부의 지원 정책이 지속적으로 이어지며, 다양한 서비스 산업의 성장을 이끌고 있다. 또한 최근 인도 내 제조업의 빠른 성장은 서비스 산업 수요 확대로 이어져, 인도 서비스 산업 성장에 영향을 주고 있다.


하지만 인도 서비스 산업의 구조적 변화 속에서 한국 서비스 산업의 인도 시장 연계성은 주요국 대비 저조한 것으로 분석된다. 인도 서비스 산업의 대외적 협력 파트너로서 그 중심에는 미국이 있으며, 이외에 영국, 독일의 유럽 국가와 중국, 일본 등이 적극적인 모습이다. 미국은 인도의 우수한 기술인력을 자국 내 에 확보하기 위하여 비자 간소화 협력을 진행하고 있으며, 미국 내 인도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프로그램도 운영 중이다. 일본 역시 자국 내 인도 인력 활용 확대와 일본 기업의 인도 시장 진출을 위한 협력을 진행 중이며, 디지털 파트너십을 통하여 양국 디지털 전환을 위한 협력 확대 및 인도 IT 인력의 일본 취업을 지원한다. 또한 일본-인도 금융 대화를 통해 금융기술 교류 및 인프라 협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인도 내 산단 조성을 통한 서비스 기업 동반 진출을 지원 중이다. 특히 일본의 님라나 산단에서는 제조기업과 함께 물류, 의료, 통신, 우편, 금융, 보험, 도ㆍ소매업 등 다양한 서비스 기업이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한국과 인도의 협력은 주로 제조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나, 최근에는 전자, 자동차 등 일부 산업 내 한국 글로벌 기업이 대인도 시장 진출을 본격화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과 인도의 협력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서비스를 포함한 다양한 산업 부문 협력이 필요하다. 특히 인도의 서비스 시장은 규모가 크고 성장 잠재력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며, 다양한 서비스 산업 시장이 개방되어 있고 협력을 위한 제반 환경이 개선되고 있어, 한-인도 서비스 협력의 필요성이 높은 상황이다. 한편 한국의 대인도 투자 및 수출은 확대되고 있으나 주요 협력 파트너 대비 서비스 산업 협력 수준은 제한적이다. 특히 서비스 기업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글로벌 투자 형태와는 다르게, 한국의 대인도 서비스 산업 투자는 제조기업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며, 매년 다른 분야에서 단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한-인도 서비스 산업 협력 부족의 핵심적인 원인은 국내 공공 및 민간 부문의 인도 시장에 대한 정보 부족과 리스크 인식에 기인한다. 특히 인도 시장의 현재 상황, 잠재력, 문제점, 진출 경험 등의 유용한 정보가 국내 공공 부문 혹은 진출을 희망하는 국내 민간 기업들에 효율적으로 전달되지 못하고 있으며, 이는 인도 시장에 대한 높은 리스크 인식으로 이어져 한-인도 서비스 산업 협력이 진전되지 못하는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현재 한-인도 간 공공 및 민간 부문의 낮은 경제적ㆍ외교적ㆍ문화적 친밀도로 이어졌다. 한편 인도에 진출한 우리 기업은 인도 서비스 산업에 대한 잠재력 및 시장성을 보고 진출하였지만, 인도 주정부별 상이한 제도, 복잡한 설립 절차, 경쟁력 높은 인력 부재, 한국기업에 대한 낮은 인지도로 인한 인력 수급의 어려움 등 문제점을 공통으로 지적한다.


본 연구는 한-인도 서비스 산업 협력을 확대하기 위하여 ① 정부 차원의 한-인도 경제적ㆍ외교적 연계성 강화, ② 인도 내 국내 민간기업 지원 강화, ③ 현지 국내 제조업과의 연계성 강화 정책 지원, ④ 한-인도 인력 교류 확대 및 국내 기업의 인도 서비스 인력 활용 확대 지원을 위한 정책 필요성을 강조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 정부 차원의 한-인도 정례 대화 설치, △ 한-인도 기업 지원센터(실) 신설, △ 인도 내 한국기업 전용 제조업-서비스 융복합 산단 조성, △ 인도 현지 수요를 고려한 민관 참여 개발 협력 사업, △ 현지-국내 채용 시장을 연계한 대인도 ODA 직업기술훈련 사업 확대 등의 구체적 정책 과제를 제안한다. 

The service industry has the largest share in India’s domestic production. While the Modi government has pursued various policies to grow the manufacturing sector, the role of services industry in the Indian economy still continues. IT sector has been one of the important sources for India’s service sector, but now software, internet services, and e-commerce have emerged as important sectors in India. This means that the services industry in India is undergoing structural changes in recent years. Responding to these structural shifts, many countries start to collaborate with Indian service sector. Yet, the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India is mainly limited to the manufacturing sector. This research on India’s services industry aims to delve deeply into India’s ongoing industrial structural changes and related policies, analyze the changing demands within India’s service sector, and suggest a new direction for South Korea-India collaboration focused on manufacturing.


Based o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analysis of India’s services industry, it is evident that a diverse range of service industries are emerging in India beyond the IT and software sectors. The productivity of Indian service firms and the share of skilled labor are increasing, and there’s a notable structural shift with a significant expansion in the opening up of the service sector to foreign direct investment. India’s service sector generates the most added value within the country, and its job creation is growing significantly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Additionally, there’s been an increase in exports,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integration with global supply chains. Traditionally, India’s services industry was dominated by retail and public services. More recently, however, corporate facility management and business support services, including R&D, equipment leasing, data management, and marketing, have emerged as key players. Financial and insurance services and educational services, are also on the rise. Indian domestic companies in retail, telecommunication services, transportation, cultural services, and financial services are experiencing an increase in their average total factor productivity, suggesting that various service domains within India are spearheading the growth of the country’s services industry. Additionally, the proportion of highly skilled workers in India’s service sector is steadily increasing.


At the heart of the growth in India’s services industry is the government’s policy of fostering technology-centric human resources and economic reform policies for the expansion of private sector participation and deregulation. Since its independence in 1947, the Indian government has consistently provided various support measures to cultivate technical workforce. Simultaneously, in 1991, the Indian government embarked on economic reforms centered on a market economy and subsequently opened up service trade and investment. Over time, the government has gradually expanded the scope of permissible FDI, and currently, it allows 100% FDI in most industries, barring a few such as insurance, distribution, and aviation industry. As a result of these measures, demand from abroad surged in the early 1990s to leverage India’s abundant and skilled IT workforce. This was followed by steady economic growth in India, and as individual incomes rose, diverse service industries such as law, accounting, and real estate flourished. Ongoing government support policies in the fields of telecommunications, IT, software, finance, and education continue to propel the growth of various service sectors in India. More recently, rapid growth of the manufacturing sector in India has led to an expansion in the demand for services, influencing the growth of India’s services industry.


However, amidst the structural changes in India’s services industry, South Korea’s integration into the Indian service market appears to be less than that of other major countries. The key external cooperation partners for India’s services industry are centered around the U.S., with other active players including European countries such as the U.K. and Germany, as well as China and Japan. The U.S. collaborates with India on visa facilitation to secure India’s outstanding technical workforce within its borders and is also operating programs for training Indian experts within the U.S. Japan is also cooperating to expand the use of Indian human resources and for Japanese companies to enter the Indian market. Japan, through its digital partnership with India, is promoting cooperation for digital transformation in both nations and supports employment of Indian IT professionals in Japan. In addition, they are strengthening financial technology exchanges and infrastructure cooperation through the Japan-India financial dialogues. Japan is also supporting the joint entry of service companies into India through the creation of industrial complexes. In particular, in Japan’s Neemrana Industrial Zone, various service sectors, including logistics, healthcare, telecommunications, postal services, finance, insurance, and retail, are actively operating alongside manufacturing companies.


In the past,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India has focused primarily on manufacturing. Korean global companies in sectors such as electronics and automobiles are intensifying their expansion into the Indian market. However, in order to streng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South Korea and India, cooperation in various industries, including services, is essential. In particular, India’s service market is considered to have huge potential in terms of size and growth. With the opening up of various service sectors and improving conditions for cooperation, the need for Korea-India service cooperation is high. However, while South Korean investment and exports to India are expanding, the level of services industry cooperation lags behind that of other major cooperation partners. Specifically, in contrast to global investment, which tends to focus on service companies, South Korea’s investment in India’s services industry is characterized by a focus on manufacturing firms. These service investments in India tend to be sporadic and spread across different sectors each year. 


The main reason for the lack of cooperation in services between South Korea and India is the lack of information about the Indian market and the perceived risks involved in both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in South Korea. Useful details about India’s current market conditions, potential, challenges, and entry experiences are not effectively communicated to the Korean public sector or domestic private companies seeking to enter India, leading to heightened risk perceptions and stalled progress in cooperation. This problem has led to the current situation where there is little economic, diplomatic, and cultural familiarity between South Korea and India in both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On the other hand, Korean companies that ventured into India were drawn by the potential and marketability of the Indian services industry. However, they commonly point to challenges such as differing regulations among Indian states, complicated establishment procedures, lack of highly competitive human resources, and recruitment difficulties due to low awareness of Korean companies in India.


To expand cooperation in the Korea-India services industry, this study emphasizes: ① strengthening the economic and diplomatic ties between South Korea and India at the government level, ② intensifying support for domestic private companies in India, ③ supporting policies that enhance linkages with local domestic manufacturing industries, and ④ the need to expand the exchange of human resources between South Korea and India, as well as encouraging domestic companies to utilize more Indian service personnel. To realize these objectives, this study proposes specific policy tasks such as △ establishing regular dialogue between South Korea and India at the government level, △ creating a Korea-India business support center, △ supporting entry by establishing Korean industrial complex in India, △ developing cooperative projects with public and private participation based on local Indian demand, and △ linking the ODA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in India to the domestic labor market.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3. 연구의 구성


제2장 인도 서비스 산업 정책 및 환경 분석

1. 인도의 서비스 산업 발전 배경

2. 국내 서비스 산업 지원 정책

3. 서비스 무역 정책

4. 외국인 직접투자(FDI) 정책

5. 국제협력 사례

6. 요약 및 소결


제3장 인도의 서비스 산업 구조 분석

1. 생산

2. 노동시장

3. 무역

4. 투자

5. 글로벌 공급망

6. 요약 및 소결


제4장 인도 서비스 기업 특성 분석

1. 분석 자료

2. 기업 특성 분석

3. 요약 및 소결


제5장 인도 서비스 산업 진출기업 설문조사 및 심층 인터뷰

1. 인도 서비스 산업 진출기업 현황

2. 한국기업 대상 정량 설문조사

3. 진출기업 대상 심층 인터뷰

4. 요약 및 소결


제6장 결론

1. 종합 평가

2. 정책 제언

3. 결론


참고문헌


부록

1. 한국 서비스 산업 기업 대상 온라인 설문지

2. 인도 서비스 산업 진출 다국적기업 및 한국기업 대상 심층 면접조사 질문

3. 심층 면접조사 대상기업 목록(약식)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319
판매가격 12,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인도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몽골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몽골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전략 추진을 위한 한-태평양도서국 중장기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 기술경쟁 시대 중국의 강소기업 육성전략과 시사점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경쟁에 따른 아세안 역내 공급망 재편과 한국의 대응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남아공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자료 동티모르의 아세안 가입 지원 및 개발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멕시코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멕시코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호주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호주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시대 한ㆍ인도 경제협력의 방향과 과제 2023-12-29 연구보고서 일본의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관리와 한·일 간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연구보고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EU의 '개방형 전략적 자율성' 확대에 미친 영향: 에너지 전환, 인적 교류, 안보 통합을 중심으로 2023-12-30 연구보고서 중동부유럽으로의 EU 확대 평가와 향후 전망 2023-12-29 중국종합연구 한중 탄소중립 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2023-12-29 중국종합연구 2023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3-12-29 중국종합연구 탄소중립 시대 중국 동북지역 한중 지역개발 협력방안 : 중국 지린성을 중심으로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한-인도 해운·항만산업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아세안 주요국의 난민지원정책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2023-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중동·북아프리카 식량위기에 대한 역내 인식과 대응 및 협력방안 2023-12-27 단행본 만화로 보는 세계경제 2023 2023-12-23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