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보고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EU의 '개방형 전략적 자율성' 확대에 미친 영향: 에너지 전환, 인적 교류, 안보 통합을 중심으로 경제협력, 산업정책

저자 장영욱, 김윤정, 이철원, 오태현, 이현진, 임유진, 김초롱, 전혜원 발간번호 23-08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23.12.30

원문보기(다운로드:905)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본 보고서는 EU가 내세운 ‘개방형 전략적 자율성’ 기조가 최근 공급망, 에너지 전환, 인적 교류, 안보 통합 등의 분야에서 어떻게 반영되는지 고찰하였다. ‘개방’과 ‘자율’이라는 일견 상충되는 목표는 다양한 EU 정책에서 비교적 일관되게 제시됐다. 미중 전략경쟁, 코로나19 팬데믹,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러-우 전 쟁) 등을 통해 가시화된 세계 경제의 진영화, 블록화에 대응하여 EU 역시 역내 첨단 전략산업의 경쟁력 강화 및 역외 의존도 축소를 도모하고 있다(전략적 자율 성). 한편 글로벌 차원의 협력이 필수적인 도전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치와 이 익을 공유하는 유사입장국과의 협력은 지속하고자 한다(개방형).


제2장은 개방형 전략적 자율성을 더 구체적으로 정의한 후 공급망 분야에 어 떻게 구현되는지 고찰한다. 2019년 현 EU 집행위 출범 이후 연달아 발표된 산 업 및 통상 정책은 ‘다른 국가에 의존하지 않고도 EU의 이익을 수호하기 위해 역내 경쟁력을 강화하되, 가치를 공유하는 파트너와의 협력은 중단하지 않고 지속하는’ 개방형 전략적 자율성의 정의를 그대로 구현하고 있다. 러-우 전쟁 이후에도 EU는 전략전망보고서를 통해 EU의 경쟁력이 취약한 분야를 일별하 고 공급망을 역내화, 다변화하려는 노력은 지속되었다. 이러한 전략변화는 유 럽반도체법, 핵심원자재법, 기후중립산업법, 공급망실사법 등 구체적인 공급 망 입법안에 반영되었다. EU는 상기한 법안을 통해 역내 산업 비중의 목표치를 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보조금, 세제혜택, 연구개발 지원, 인력양성 지원 등 다양한 정책적 지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또한 각 입법안에 양자ㆍ다자 간 전략 파트너십을 강조하여 가치를 공유하는 유사입장국과의 협력을 지속한다 는 개방형 전략적 자율성의 기조를 담았다.


제3장은 EU 및 EU 회원국 차원에서의 에너지 정책을 다루었다. 러-우 전쟁 과 같은 지정학적 위기가 발생했을 때 특정 국가에 대한 과도한 의존이 EU 경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에너지 위기를 통해 극명하게 드러났다. EU는 전쟁발 에너지 위기에 대응하여 러시아산 에너지 수입의 단계적 축소 또 는 중단, 에너지 수입국 다변화, 재생에너지 확대, 에너지 효율화를 통한 수요 절감을 모색했고 어느 정도의 성과를 거두었다. 이어 사례연구로서 독일, 프랑스, 핀란드, 폴란드의 에너지 정책을 고찰하였다. 최근 독일 에너지 정책은 재 생에너지원의 활용 확대, 모든 원자력 발전소 폐쇄, 그 반대급부로 화력발전 비 중 확대가 특징이다. 프랑스는 독일과 반대로 원전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다만 프랑스가 원전에 의지하는 것도 결국 2050년 기후변화 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것이며, 이 과정에서 재생에너지원의 중요성도 간과해서는 안된다는 판단이 기 저에 깔려 있다. 핀란드는 재생에너지 활용 비중이 높은 저탄소 국가이지만 에 너지 집약도와 1인당 에너지 소비량이 높고 화석연료의 전량을 해외에 의존하 는 특징이 있었다. 러-우 전쟁 발발 이후 노르웨이, 에스토니아 등 주변국을 통 한 에너지 수입 조치로 위기를 타개하는 중이다. 폴란드는 EU 회원국 가운데 화석연료 의존도가 가장 높은 국가이며, 이로 인해 EU 차원의 녹색전환 정책 추진에 있어 난항이 예상된다. 따라서 폴란드는 원전사업 추진을 통해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다. 또한 재생에너지 확대를 시도하면서도 원전과 수소발 전 등 대체에너지원 개발을 도모하고 있다는 점이 4개국 모두의 공통점이다. 대체에너지원 개발을 통한 에너지 자립도의 향상은 에너지 분야에서 EU의 전 략적 자율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제4장은 유럽 국가로의 우크라이나 난민 유입 추이와 그로 인한 수용국 노동 시장이 받은 영향을 문헌조사, 현지조사 및 통계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러-우 전쟁 발발 직후부터 유럽 국가로 우크라이나 난민이 대거 유입되었고 EU 회원국은 임시보호지침 발동을 통해 난민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였다. 유럽에 유입 된 난민 중에서는 여성과 아동의 비율이 높고 고학력, 고숙련 노동자가 많다는 특징이 관찰된다. UNHCR의 미시자료를 활용해 수행한 본 장의 실증분석에서 는 언어교육에 대한 접근도와 난민의 고용 가능성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난민 유입이 수용국 노동시장에 미친 영향은 아직 추가적 연구가 필요 하지만, 현재까지 노동인구 증가 정도의 영향만 관찰되며 내국인과 기존 이민 자의 임금, 실업률 등 노동시장 조건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보 인다. 유럽은 우크라이나 난민을 전면적으로 수용한 반면, 시리아를 비롯한 중 동 및 북아프리카 지역으로부터의 이민자ㆍ난민에 대해서는 확연히 다른 태도를 보였다. 이는 러-우 전쟁으로 인한 안보 위협을 유사입장국에 처한 우크라이나와의 연대를 통해 극복하려는 시도로 설명할 수 있다. 이는 EU가 자국의 이익을 수호하기 위해 선별적으로 이민자ㆍ난민을 받아들인다는 경향의 한 단 면을 보여주며, EU의 개방형 전략적 자율성 확보 노력이 인적 교류 분야에서도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제5장은 러-우 전쟁 이후 EU의 안보 분야에서 전략적 자율성 개념 변화에 주목하였다. 전쟁이라는 당면한 안보위협에 대응하여 EU의 방위력 강화 필요성이 강해졌지만, 미국에 대한 안보 의존도가 급증하면서 도리어 유럽의 전략적 자율성 확보는 달성이 어려운 목표로 남아있다. 전통적 중립국이었던 스웨덴, 핀란드가 미국 주도의 NATO에 가입한 것은 미국에 의존한 방위력 확대를 선호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EU는 NATO와는 별개로 자체 안보 및 방위력을 강화하려는 전략을 취해왔다. 대우크라이나 무기, 군수품 지원과 우크라이나군 훈련 임무 시행 등이 움직임의 그러한 단적인 예다. EU 차원의 군수품 조달 시장 구축 노력 역시 유럽방위산업강화 공동조달법 통과로 일정정도 실현된 것으로 평가한다. EU의 안보 분야 전략적 자율성 확보는 미국 및 NATO와의 관계 설 정, 역내 방위산업 생태계 구축, 전후 우크라이나 방위력 구축 지원, 인도태평양 국가와의 안보 협력 등의 진척도에 따라 결정될 전망이다.


제6장은 상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에 대한 정책 시사점을 제시한 다. EU가 역내산업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각종 지원을 확대하는 것은 우리나라 수출기업 또는 현지 진출 기업에 장벽이 될 수도 있으나 우리가 이를 기회로 활 용해 볼 수도 있다. 반도체법, 기후중립산업법, 핵심원자재법 등에는 EU 입장 에서 신뢰할 만한 파트너와의 양자ㆍ다자 간 협력을 확대한다는 내용이 빠짐없 이 포함된다. 또한 EU의 최근 공급망 입법안은 지리적 차별 요소가 약한 특징 이 있기 때문에, 현지에 진출한 우리 기업들도 EU 기업들과 유사한 혜택을 누 릴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EU가 제시한 대외경제정책 중 우리나라에 유리한 부분을 일별하여 이를 기회요인으로 활용하면 우리 기업에 이익이 될 뿐 아니라 국제질서 재편, 공급망 압력, 기후변화 대응, 노동공급 부족 등 국제공조가 필요 한 글로벌 도전과제 해소에 EU와 우리가 공동으로 기여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하에 6장에서 에너지 분야, 인적 교류 분야, 안보 분야에서 EU와 협력을 확대할 수 있는 분야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EU가 직면한 글로벌 통상환경 변화는 우리나라도 직면하고 있는 과제이므로 EU의 대응을 참고삼아 우리의 상황에 맞는 전략을 도출하는 데 있어 하나의 기회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의 구체적 대외경제 및 경제안보 전략 수립은 본 보고서 의 범위를 벗어나긴 하지만, 본 보고서가 분석한 EU 사례가 그 전략 수립에 중 요한 참고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report examines how EU’s ‘open strategic autonomy’ has been developed and realized facing recent changes in the global trade landscape, especially in areas such as supply chain, energy transition, immigration, and security integration. In response to the fragmentation and blocization of the global economy, which manifested in the US-China strategic competition, the COVID-19 pandemic, and the Russia-Ukraine war, the EU has sought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its own high-tech and strategic industries and reduce its dependence on foreign countries (strategic autonomy). At the same time, it seeks to continue cooperation with like-minded countries with shared values and interests to address challenges that require global effort (openness).


 Chapter 2 defines open strategic autonomy in more detail and investigates how it has been implemented in the supply chain sector. The industrial and trade policies that have been published since the inauguration of the current EU Presidency in 2019 embody the concept of open strategic autonomy, which is defined as “strengthening competitiveness Executive Summary in the region to defend EU interests without relying on other countries, while continuing to cooperate with partners who share the values and interests.” After the Russia-Ukraine War, the EU continued its efforts to identify areas of weakness in the EU’s competitiveness and to localize and diversify its supply chains. This strategic shift was reflected in a series of supply chain legislation such as the European Chips Act, Critical Raw Materials Act, Net-Zero Industrial Act, and Corporate Sustainability Due Diligence Directive. The EU sets targets for the share of home-produced goods and provides various support measures such as subsidies, tax benefits, R&D investment, and workforce training. In addition, the legislation emphasizes bilateral and multilateral strategic partnerships, reflecting the open strategic autonomy of the region to continue cooperation with like-minded countries.


Chapter 3 investigates energy policies of the EU and EU Member States. The energy crisis brought on by the Russia-Ukraine war illustrated how overdependence on a single country can have a profound impact on the EU economy. In response to the energy crisis, the EU sought to phase out or suspend energy imports from Russia, diversify its energy import sources, increase the production of renewable energy, and promote energy efficiency. The energy policies of Germany, France, Finland, and Poland are then examined as case studies. Germany’s recent energy policy has been characterized by an increased use of renewable energy sources, the closure of all nuclear power plants, and an increase in hydropower generation. France, on the other hand, has maintained a high reliance on nuclear power, while persistently investing in renewable energy to achieve climate neutrality by 2050. Finland is a low-carbon country with a high share of renewable energy, and has been importing energy from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Norway and Estonia after the outbreak of the Russia-Ukraine war. Poland is the most fossil fuel-dependent country in the EU, and as such, it is expected to face the Executive Summary • 259 most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EU-wide green transition policies. Therefore, Poland aims to overcome this limitation by starting a nuclear power project. It is common to all four countries that they are trying to expand renewable energy while developing alternative energy sources such as nuclear and hydrogen power. Increasing energy independence through the development of alternative energy sources is expected to increase the EU’s strategic autonomy in the energy sector.


 Chapter 4 analyzes the trend of Ukrainian refugee influx to European countries and their impact on the labor markets, through literature review, fieldwork and statistical analysis. Immediately after the outbreak of the Russia-Ukraine war, there was a large influx of Ukrainian refugees to European countries, and EU member states actively accepted refugees by invoking the Temporary Protection Directive. The refugee influx to Europe is characterized by a high proportion of women and children and a high number of highly educated and skilled workers. The empirical analysis in this chapter, using microdata from UNHCR, shows that access to language training i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a refugee’s probability of employment. While the impact of refugee flows on the labor markets of host countries still needs further studies, an increase in the labor force with no significant impact on labor market conditions is observed so far. While Europe has been welcoming Ukrainian refugees, it showed a very different attitude towards migrants and refugees from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including Syria. This could be explained by an attempt to overcome the security threats posed by the war through solidarity with Ukraine, a country with a similar position. This illustrates one aspect of the EU’s tendency to selectively accept migrants and refugees to defend its interests and provides evidence that the EU’s commitment to open strategic autonomy is also observed in the area of immigrant acceptance.


Chapter 5 focuses on the changing concept of strategic autonomy in the EU’s security sector after the war. While the need to strengthen the EU’s defense capabilities in response to the immediate security threats of war has intensified, Europe’s strategic autonomy has remained an elusive goal, even as its security dependence on the United States has increased dramatically. The accession of traditionally neutral countries such as Sweden and Finland to the US-led NATO alliance signals a growing preference for increased US-dependent defense capabilities. However, the EU has pursued a strategy of strengthening its own security and defense capabilities independent of NATO. The provision of arms and munitions to Ukraine and the implementation of training missions to Ukraine’s armed forces are examples of such moves. The EU’s efforts to establish a common market for defence procurement have also been partially realized with the passage of the European Defence Industry Reinforcement through Common Procurement Act. The EU’s strategic autonomy in the security field will be determined by its progress in establishing relations with the United States and NATO, building a regional defence industry ecosystem, supporting Ukraine’s post-war defence build-up, and security cooperation with Indo-Pacific countries.


Chapter 6 presents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EU’s expanding support for local industrial competitiveness is likely to pose challenges for Korean exporters, but there are also opportunities for Korea to take advantage of this. European Chips Act, Critical Raw Materials Act, Net-Zero Industrial Act are all concerned about expanding bilateral and multilateral cooperation with trusted partners. In addition, the EU’s recent supply chain legislation is characterized by weak geographical discrimination, so it is expected that Korean companies with a local presence will be able to enjoy similar benefits as EU companies. Taking advantage of the EU’s favorable aspects of its foreign and economic policies will not only benefit our companies, Executive Summary • 261 but will also allow us to make a joint contribution to addressing global challenges that require international cooperation, such as the reshaping of the international order, supply chain pressures, climate change response, and labor supply shortages. To this end, Chapter 6 identifies areas where we can expand our cooperation with the EU in the energy, immigration and security sectors. Finally, the challenges of the changing global trading environment faced by the EU are the same challenges faced by Korea, and we need to learn from the EU’s responses and use them to develop strategies tailored to our own circumstances. While it is beyond the scope of this report to formulate a specific foreign economic and economic security strategy for Korea, the EU case analyzed in this report is expected to serve as an important reference point.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보고서의 구성

제2장 전쟁 전후 EU의 ‘개방형 전략적 자율성’ 추진 동향
1. ‘개방형 전략적 자율성’의 정의
2. 전쟁 전후 EU의 공급망 관련 정책 동향

제3장 EU의 에너지 전략 변화 동향 및 전망
1. EU의 에너지 전략
2. 국가별 에너지 전략
3. 소결: EU의 에너지 정책과 개방형 전략적 자율성


제4장 우크라이나 난민 유입을 통한 인적 교류 현황과 특성
1. 우크라이나 난민 발생 현황

2. 문헌조사
3. 난민의 노동시장 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4. 소결: 우크라이나 난민 유입과 개방형 전략적 자율성

제5장 전쟁 전후 EU의 안보정책 동향 및 전망
1. 전쟁과 EU의 안보 분야 전략적 자율성
2. 유럽의 안보ㆍ방위 수요 확대와 공급 부족
3. 전쟁 발발 후 EU의 안보ㆍ방위력 강화 전략
4. EU 안보 통합의 한계와 도전 과제

제6장 결론 및 시사점
1. 연구내용 요약
2. 정책 시사점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264
판매가격 10,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시대 한ㆍ인도 경제협력의 방향과 과제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 서비스 산업 구조 분석과 한-인도 산업 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일본의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관리와 한·일 간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연구보고서 중동부유럽으로의 EU 확대 평가와 향후 전망 2023-12-29 중국종합연구 한중 탄소중립 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2023-12-29 중국종합연구 2023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3-12-29 중국종합연구 탄소중립 시대 중국 동북지역 한중 지역개발 협력방안 : 중국 지린성을 중심으로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한-인도 해운·항만산업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아세안 주요국의 난민지원정책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2023-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중동·북아프리카 식량위기에 대한 역내 인식과 대응 및 협력방안 2023-12-27 단행본 만화로 보는 세계경제 2023 2023-12-23 Working paper Industrial Policy, Rise of Skilled Labor, and Firm Growth in the Early Stage of Economic Development 2023-12-15 Working paper An Analysis on the Regional Integration of Northeast Asia by Developing NARCI (Northeast Asia Regional Cooperation Index) 2023-10-27 세계지역전략연구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주요국의 탈탄소 정책과 청정에너지부문 협력 방안 2023-11-29 연구자료 동지중해 천연가스 개발 현황과 한국의 협력 방안 2023-10-20 연구자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유럽 주요국의 에너지 위기 대응 정책 분석 2023-08-28 연구보고서 한국의 서비스무역 통계 개선 방안 연구 2022-12-30 연구보고서 경제안보 이슈의 부상과 대외협력 방향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주요국의 대남아시아 경제협력전략과 정책 시사점: 중국, 일본, 인도를 중심으로 2022-12-30 연구자료 국제사회의 산업부문 탄소중립 추진 동향과 대응방향: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2023-05-28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