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중국종합연구
목록으로
중국의 강소기업 육성전략은 기존에 지방별로 산재되어 있던 중소기업 육성정책을 모아 중앙정부 차원에서 체계적인 육성 시스템을 구축하여 추진되고 있다. 국가 차원에서 추진하는 ‘제조강국’ 전략에서 설정한 목표인 2025년까지 △ 제조업 기초기반 강화, △ 핵심 기초부품 및 소재의 국산화율 제고를 달성하기 위해 제조업의 기초 소재, 부품 분야의 강소기업을 육성하고 있는 것이다. 중국은 강소기업을 혁신형 중소기업, 전문화된 중소기업, 작은 거인 기업으로 구분하고, 단계별로 기술과 자본을 집중 투입하여 공급망의 기술공백을 보완할 수 있는 기업을 육성하고 있다. 또한 국가전략 추진에 필요한 국가급 제조업 혁신센터 설립을 확대하고 있다. 중점 설립 분야는 광전자, 디스플레이, 로봇, 경량 소재, 반도체, 배터리 등 첨단영역이다. 국가급 제조업 혁신센터는 설립 시 정부로부터 재정 지원을 받으며, 전략 기술연구를 위해 연구소와 대학, 민간기업의 참여하에 여기에서 개발된 지식재산권을 모두가 향유하는 구조로 운영되고 있다. 특히 최근 전략적 중요성이 높아진 반도체 산업 분야와 관련하여 3개의 혁신센터가 운영 중인데, 선도기업의 주도하에 자원을 집중하여 핵심 공정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또한 여기에 참여한 강소기업도 혁신센터의 인프라와 데이터베이스 등을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방형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2023년 현재 중국 전정특신 작은 거인 기업은 1만 2,950개로 2025년 달성 목표치인 1만 개를 초과 달성하였다. 특히 신소재와 차세대 정보기술, 첨단 기계장비 산업에 종사하는 기업 비중이 2019년 약 17%에서 2023년 25.7%로 크게 증가하였다. 이는 미국의 제재가 두드러지는 분야에 대한 중국정부의 지원이 확대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전정특신 기업에 대한 금융지원 전략은 초반의 ‘정부 보조금 및 세제혜택 지원’과 ‘민간자본을 활용한 지속가능한 금융지원’으로 구분된다. 다양한 금융지원 방식은 경영기간이 오래되어 추가적인 지원을 받기 어려운 중소기업에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새로운 성장동력을 마련할 수 있는 금융적 자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가진다.
중국정부는 전정특신 기업에 대한 금융지원 과정에서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전정특신 기업에 대한 정부와 민간의 자본을 활용한 직간접적인 금융지원을 연계하는 것이 정부의 전정특신 기업에 대한 인증이기 때문이다. 정부의 인증은 기업의 산업 경쟁력을 보증하는 역할을 하며, 초반에 이루어지는 정부의 직접적인 장려금과 세제혜택 이후 전정특신 기업에 대한 창업투자 유치 및 자본시장 상장을 통한 유동성 지원정책 모두와 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전정특신 기업에 대한 금융지원은 정부의 보증을 바탕으로 정부재정과 민간자본의 투자를 통한 기업 경쟁력 향상 전략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중국정부는 정부의 자금을 통한 지원 이외에 민간자본과 정부의 정책지원 대상 기업을 연계함으로써 정부 주도 사업에서 시장화 전략으로 그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연계점이 중국정부의 인증을 기반으로 한다는 점에서 정책의 방향성이 완전히 시장지향적인 것은 아니며 정부 주도와 정부의 의도가 반영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전정특신 금융지원 전략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중국정부가 정책적으로 육성하고 있는 강소기업의 경쟁력을 파악하기 위해 본 보고서에서는 전정특신 상장기업의 경영 상황 및 수출 경쟁력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 대상은 중국정부가 발표한 국가급 전정특신 기업 1만 2,950개 중에서 기업 정보 획득이 가능한 692개 상장기업으로 하였다. 상장기업들이 종사하는 산업별 분포를 살펴보면 전용설비 제조업, 컴퓨터ㆍ통신 및 기타 전기기기 제조업 등 10대 산업에 총 563개 기업(표본 기업의 81.4%)이 속한다. 주요 10대 산업 중에서 미국이 지정한 핵심 과학기술과 관련된 산업은 주로 △ 소프트웨어 및 ICT 서비스업, △ 컴퓨터ㆍ통신 및 기타 전자기기 제조업, △ 일반설비 제조업, △ 전용설비 제조업, △ 화학원료ㆍ제품 제조업 등 다섯 가지 산업에 집중되어 있다. 이에 본 보고서에서는 다섯 가지 산업의 대표적인 우수기업 사례를 분석하여 미국의 기술견제에 대응하여 중국이 추진하고 있는 강소기업 육성전략을 도출하였다.
사례기업 분석을 통해 도출한 중국의 강소기업 전략은 ① 핵심 기술 분야에서 미국의 대중국 전략에 대응하며 국산화 성공을 통해 기업 성장 추진, ② 디지털ㆍ녹색전환에 따른 틈새시장 수요 확대를 통한 기업 육성, ③ 공급망 관련 대기업과의 협력을 통한 필수 소재 양산화 추진, ④ 특수 분야에서 중국 내 국가 산업표준 참여를 통한 영향력 확대, ⑤ 베이징 거래소를 통한 국내 자본시장 활용, ⑥ 기술 경쟁력을 갖춘 해외기업 인수를 통한 중국 내 기술 생태계 조성, ⑦ 글로벌 공급망에서 핵심 기업 지원을 통한 경쟁력 강화 등 일곱 가지로 파악되었다.
중국 강소기업의 수출 경쟁력 분석은 강소기업의 세부 품목별 무역통계 입수가 어려운 점을 고려하여, 전체 무역통계를 전정특신 작은 거인 기업이 주로 분포된 소재ㆍ부품ㆍ장비(이하 소ㆍ부ㆍ장) 산업 분야로 분류하여 대외 교역 상황을 살펴보고 경쟁력을 분석하였다. 중국의 전정특신 기업 육성정책이 본격 추진된 2012년 이래 2022년까지 소ㆍ부ㆍ장 무역통계를 분석한 결과, 중국 소ㆍ부ㆍ장 산업의 무역수지가 2012년 556억 달러 적자에서 2022년 2,641억 달러 흑자로 대폭 확대되었다. 소ㆍ부ㆍ장 영역에서 중국의 경쟁력 향상은 소ㆍ부ㆍ장 산업의 무역특화지수(TSI) 변화로도 알 수 있다. 중국의 소ㆍ부ㆍ장의 대세계 무역특화지수를 보면 2012년 –0.033으로 수입특화되어 있었으나, 2022년에는 0.100으로 상승하며 수출 경쟁력이 개선되었다. 반면에 한국 소ㆍ부ㆍ장 산업의 대중국 무역특화지수는 2012년 0.357에서 2022년 0.139로 수출특화가 더욱 뚜렷하게 둔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ㆍ부ㆍ장 산업 중에서도 특히 △ 반도체ㆍ디스플레이 장비, △ 정밀가공장비, △ 일반기계부품, △ 산업공정장비, △ 정밀기기부품에서 중국의 수출이 증가하고 수입 증가율은 둔화됨에 따라 해당 품목에서 한국의 대중국 수입은 증가하고, 대중국 수출은 감소하거나 수출 증가율이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위에 언급한 다섯 가지 소ㆍ부ㆍ장 산업 품목은 중국의 강소기업이 주로 종사하는 산업 중 미국이 지정한 핵심 과학기술과 관련된 산업인 △ 컴퓨터ㆍ통신 및 기타 전자설비 제조업, △ 일반설비 제조업, △ 전용설비 제조업, △ 화학원료ㆍ제품 제조업과 관련된 품목들이다. 이는 중국 강소기업 육성 효과가 점차 나타나면서 중국이 대외 수입수요를 자국산 제품으로 대체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산업은 중국이 미국의 제재에 대응하여 R&D 투자를 확대하는 분야이자 이미 경쟁력 있는 강소기업을 보유한 산업으로 향후 한국과의 경쟁이 더 심화될 가능성이 높다. 보다 상세한 산업 전반의 한중 간 경쟁력 비교 분석이 이루어진 것은 아니지만, 무역통계로 본 소ㆍ부ㆍ장 산업에서 양국의 경쟁력 상황을 비추어 보면, 한국에 기회보다는 위험이 더 큰 상황이 전개될 전망이다.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서방 선진국의 대중국 기술 견제ㆍ제재 조치 강화로 인해 더욱 강한 드라이브가 걸리게 된 중국이 강소기업 육성전략을 추진하면서, 빠르게 성장하는 핵심 신산업 부문의 성장과 수요 확대가 한국 제품의 대중국 수출 증가로 이어지기보다 한국의 대중국 수입 확대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소ㆍ부ㆍ장 산업은 한국의 무역수지 흑자를 견인하는 중요한 산업이며, 중국은 한국의 가장 큰 소ㆍ부ㆍ장 수출 및 수입 상대국이다. 따라서 한국은 소ㆍ부ㆍ장 교역 상대국을 다변화하여 대중국 수출 부진을 해소하려는 노력을 함과 동시에 중국의 소ㆍ부ㆍ장 산업 경쟁력 강화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보고서는 이상의 분석을 바탕으로 몇 가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소ㆍ부ㆍ장 기업의 성장단계별 인증제도의 구체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우리 정부에서는 2019년 ‘소재ㆍ부품ㆍ장비 경쟁력 강화대책(소ㆍ부ㆍ장 1.0)’을 발표한 이래 매년 소ㆍ부ㆍ장 경쟁력 강화 시행계획을 갱신하여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소재부품장비산업법」에서는 ‘특화선도기업’을 제외하고는 정량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하나밖에 제시되지 않아 중앙행정기관의 주관적인 판단이 기업 심사에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소ㆍ부ㆍ장 강화대책 발표 전인 2018년에 실시된 우리나라 강소기업 설문조사에서도 성장단계별 맞춤지원책 부족이 큰 문제점으로 지적된 바 있다. 구체화된 성장단계별 인증제도는 우리 중소기업들이 정부의 정책 의도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며, 정부 차원에서도 단계별 육성정책의 효과를 비교적 용이하게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단계별 구체적인 인증조건을 설계하는 것은 중소기업에 명확한 성장 유인책을 제공하는 동시에 관계부처로 하여금 단계별로 차별적인 육성 목표를 설정하고 지원정책을 추진하는 것이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둘째, 소ㆍ부ㆍ장 중소기업의 기술보호 강화가 필요하다. 본 보고서의 사례분석을 통해서 알 수 있듯이 중국의 강소기업들이 해외기업을 인수하여 획득한 기술을 중국 내 산업생태계 수준을 제고하는 데 활용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우리 소ㆍ부ㆍ장 기업의 ‘기술 유출 방지’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한국은 「국가첨단전략산업법」을 통해 첨단산업 기술인력을 보호하기 위해 기업 신청에 따라 전문인력을 지정하고, 기업-전문인력 간 비밀유지, 이직 제한 등에 대한 계약을 체결할 수 있도록 근거를 마련하는 한편, 기술수출, 기업 인수ㆍ합병 등의 경우 정부지원과 무관하게 산업통상지원부의 승인을 받도록 하는 일부 강화된 보호 조치를 적용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보면 현재 한국은 첨단 전략기술 유출 방지를 위한 법적 보호장치를 잘 갖추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기존의 법에서는 중소기업의 기술보호에 대한 언급은 찾아볼 수 없다. 본 보고서의 사례분석을 통해서 알 수 있듯이 중국 강소기업들이 해외 소ㆍ부ㆍ장 기업 기술 획득에도 눈독을 들이고 있다는 점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첨단 전략기술뿐만 아니라 첨단제품 생산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중소기업들이 기술을 토대로 성장할 수 있도록 기술 보호 및 상용화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한중 경협관계에 대한 발상의 전환 및 신분야 협력 제도 기반 구축이 필요하다. 한중 간 무역 교류 상황이 크게 변화하고 있다. 중국은 여전히 우리의 가장 큰 수출 및 수입 상대국이지만, 2022년부터 대중국 수입 규모가 수출 규모보다 확대되면서 무역수지가 감소하기 시작하여 2023년 11월 말 기준으로 180억 달러의 무역수지 적자를 기록했다. 2022년 기준 우리나라 소ㆍ부ㆍ장 분야의 대중국 수출 비중은 66.9%, 수입 비중은 51%를 차지할 정도로 소ㆍ부ㆍ장 분야가 중국과의 교역에서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런데 이렇게 중요한 소ㆍ부ㆍ장에서 우리의 대중국 수출 경쟁력이 하락하고 있다. 한국과 중국 간 산업 발전 상황의 변화 및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따라 양국간 무역 및 투자가 확장되는 데 한계에 달했다고 볼 수 있으며, 이제는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한중 간 무역 및 산업 구조 변화를 인식하고 양국간 경제 교류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새로운 경협 패러다임을 구성해나가야 한다. 기존의 제조기지로 보았던 중국을 이제는 신산업 분야의 선진국으로 보고 경협 구도를 그려나가야 할 것이다.
ICT 산업 분야에서 중국의 경쟁력은 이미 상당한 수준이다. 세계 최고 기술수준 보유국인 미국의 상대적 기술수준을 100으로 보았을 때, 중국 ICT 산업의 평균 기술수준은 91.8에 달하는 반면 한국은 89.6에 그치고 있다. 미국과의 기술격차를 보아도 중국은 0.8년, 한국은 1.1년을 보인다. 주요 분야별 한중 기술수준을 비교해 보아도 사물인터넷과 스마트 디바이스, SW를 제외하고는 네트워크, 전파ㆍ위성, 자율주행차, AI, 빅데이터, 양자정보통신, 차세대 보안, 블록체인 등 대부분의 영역에서 큰 기술격차를 보이고 있다. 중국은 해당 분야에 경쟁력을 보유한 강소기업의 든든한 지원을 바탕으로 신산업 분야에서 글로벌 선두를 차지할 정도로 성장하였다. 중국의 일부 강소기업은 첨단산업의 소재 부문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기도 하다. 일례로 본 연구의 사례기업 중 Changzhou Tronly는 일본과 한국의 주요 포토레지스트 기업에 화학소재를 공급하고 있다.
이제 중국 강소기업의 성장을 굳이 경계만 할 필요는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중국의 첨단 분야 소ㆍ부ㆍ장 경쟁력 향상에 대비하여 우리의 소ㆍ부ㆍ장 산업 경쟁력 강화를 배가함과 동시에 중국의 소ㆍ부ㆍ장 비교우위를 활용한 양국 협력방안 모색도 필요하다. 그리고 신산업의 발전을 배경으로 한 디지털 전환, 그린 전환 시대에 걸맞은 새로운 분야에서의 한중 협력 기반을 마련하고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신산업 분야에 대한 제도적 협력 기반 구축 노력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전정특신 기업에 대한 금융지원 전략은 초반의 ‘정부 보조금 및 세제혜택 지원’과 ‘민간자본을 활용한 지속가능한 금융지원’으로 구분된다. 다양한 금융지원 방식은 경영기간이 오래되어 추가적인 지원을 받기 어려운 중소기업에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새로운 성장동력을 마련할 수 있는 금융적 자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가진다.
중국정부는 전정특신 기업에 대한 금융지원 과정에서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전정특신 기업에 대한 정부와 민간의 자본을 활용한 직간접적인 금융지원을 연계하는 것이 정부의 전정특신 기업에 대한 인증이기 때문이다. 정부의 인증은 기업의 산업 경쟁력을 보증하는 역할을 하며, 초반에 이루어지는 정부의 직접적인 장려금과 세제혜택 이후 전정특신 기업에 대한 창업투자 유치 및 자본시장 상장을 통한 유동성 지원정책 모두와 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전정특신 기업에 대한 금융지원은 정부의 보증을 바탕으로 정부재정과 민간자본의 투자를 통한 기업 경쟁력 향상 전략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중국정부는 정부의 자금을 통한 지원 이외에 민간자본과 정부의 정책지원 대상 기업을 연계함으로써 정부 주도 사업에서 시장화 전략으로 그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연계점이 중국정부의 인증을 기반으로 한다는 점에서 정책의 방향성이 완전히 시장지향적인 것은 아니며 정부 주도와 정부의 의도가 반영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전정특신 금융지원 전략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중국정부가 정책적으로 육성하고 있는 강소기업의 경쟁력을 파악하기 위해 본 보고서에서는 전정특신 상장기업의 경영 상황 및 수출 경쟁력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 대상은 중국정부가 발표한 국가급 전정특신 기업 1만 2,950개 중에서 기업 정보 획득이 가능한 692개 상장기업으로 하였다. 상장기업들이 종사하는 산업별 분포를 살펴보면 전용설비 제조업, 컴퓨터ㆍ통신 및 기타 전기기기 제조업 등 10대 산업에 총 563개 기업(표본 기업의 81.4%)이 속한다. 주요 10대 산업 중에서 미국이 지정한 핵심 과학기술과 관련된 산업은 주로 △ 소프트웨어 및 ICT 서비스업, △ 컴퓨터ㆍ통신 및 기타 전자기기 제조업, △ 일반설비 제조업, △ 전용설비 제조업, △ 화학원료ㆍ제품 제조업 등 다섯 가지 산업에 집중되어 있다. 이에 본 보고서에서는 다섯 가지 산업의 대표적인 우수기업 사례를 분석하여 미국의 기술견제에 대응하여 중국이 추진하고 있는 강소기업 육성전략을 도출하였다.
사례기업 분석을 통해 도출한 중국의 강소기업 전략은 ① 핵심 기술 분야에서 미국의 대중국 전략에 대응하며 국산화 성공을 통해 기업 성장 추진, ② 디지털ㆍ녹색전환에 따른 틈새시장 수요 확대를 통한 기업 육성, ③ 공급망 관련 대기업과의 협력을 통한 필수 소재 양산화 추진, ④ 특수 분야에서 중국 내 국가 산업표준 참여를 통한 영향력 확대, ⑤ 베이징 거래소를 통한 국내 자본시장 활용, ⑥ 기술 경쟁력을 갖춘 해외기업 인수를 통한 중국 내 기술 생태계 조성, ⑦ 글로벌 공급망에서 핵심 기업 지원을 통한 경쟁력 강화 등 일곱 가지로 파악되었다.
중국 강소기업의 수출 경쟁력 분석은 강소기업의 세부 품목별 무역통계 입수가 어려운 점을 고려하여, 전체 무역통계를 전정특신 작은 거인 기업이 주로 분포된 소재ㆍ부품ㆍ장비(이하 소ㆍ부ㆍ장) 산업 분야로 분류하여 대외 교역 상황을 살펴보고 경쟁력을 분석하였다. 중국의 전정특신 기업 육성정책이 본격 추진된 2012년 이래 2022년까지 소ㆍ부ㆍ장 무역통계를 분석한 결과, 중국 소ㆍ부ㆍ장 산업의 무역수지가 2012년 556억 달러 적자에서 2022년 2,641억 달러 흑자로 대폭 확대되었다. 소ㆍ부ㆍ장 영역에서 중국의 경쟁력 향상은 소ㆍ부ㆍ장 산업의 무역특화지수(TSI) 변화로도 알 수 있다. 중국의 소ㆍ부ㆍ장의 대세계 무역특화지수를 보면 2012년 –0.033으로 수입특화되어 있었으나, 2022년에는 0.100으로 상승하며 수출 경쟁력이 개선되었다. 반면에 한국 소ㆍ부ㆍ장 산업의 대중국 무역특화지수는 2012년 0.357에서 2022년 0.139로 수출특화가 더욱 뚜렷하게 둔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ㆍ부ㆍ장 산업 중에서도 특히 △ 반도체ㆍ디스플레이 장비, △ 정밀가공장비, △ 일반기계부품, △ 산업공정장비, △ 정밀기기부품에서 중국의 수출이 증가하고 수입 증가율은 둔화됨에 따라 해당 품목에서 한국의 대중국 수입은 증가하고, 대중국 수출은 감소하거나 수출 증가율이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위에 언급한 다섯 가지 소ㆍ부ㆍ장 산업 품목은 중국의 강소기업이 주로 종사하는 산업 중 미국이 지정한 핵심 과학기술과 관련된 산업인 △ 컴퓨터ㆍ통신 및 기타 전자설비 제조업, △ 일반설비 제조업, △ 전용설비 제조업, △ 화학원료ㆍ제품 제조업과 관련된 품목들이다. 이는 중국 강소기업 육성 효과가 점차 나타나면서 중국이 대외 수입수요를 자국산 제품으로 대체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산업은 중국이 미국의 제재에 대응하여 R&D 투자를 확대하는 분야이자 이미 경쟁력 있는 강소기업을 보유한 산업으로 향후 한국과의 경쟁이 더 심화될 가능성이 높다. 보다 상세한 산업 전반의 한중 간 경쟁력 비교 분석이 이루어진 것은 아니지만, 무역통계로 본 소ㆍ부ㆍ장 산업에서 양국의 경쟁력 상황을 비추어 보면, 한국에 기회보다는 위험이 더 큰 상황이 전개될 전망이다.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서방 선진국의 대중국 기술 견제ㆍ제재 조치 강화로 인해 더욱 강한 드라이브가 걸리게 된 중국이 강소기업 육성전략을 추진하면서, 빠르게 성장하는 핵심 신산업 부문의 성장과 수요 확대가 한국 제품의 대중국 수출 증가로 이어지기보다 한국의 대중국 수입 확대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소ㆍ부ㆍ장 산업은 한국의 무역수지 흑자를 견인하는 중요한 산업이며, 중국은 한국의 가장 큰 소ㆍ부ㆍ장 수출 및 수입 상대국이다. 따라서 한국은 소ㆍ부ㆍ장 교역 상대국을 다변화하여 대중국 수출 부진을 해소하려는 노력을 함과 동시에 중국의 소ㆍ부ㆍ장 산업 경쟁력 강화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보고서는 이상의 분석을 바탕으로 몇 가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소ㆍ부ㆍ장 기업의 성장단계별 인증제도의 구체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우리 정부에서는 2019년 ‘소재ㆍ부품ㆍ장비 경쟁력 강화대책(소ㆍ부ㆍ장 1.0)’을 발표한 이래 매년 소ㆍ부ㆍ장 경쟁력 강화 시행계획을 갱신하여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소재부품장비산업법」에서는 ‘특화선도기업’을 제외하고는 정량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하나밖에 제시되지 않아 중앙행정기관의 주관적인 판단이 기업 심사에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소ㆍ부ㆍ장 강화대책 발표 전인 2018년에 실시된 우리나라 강소기업 설문조사에서도 성장단계별 맞춤지원책 부족이 큰 문제점으로 지적된 바 있다. 구체화된 성장단계별 인증제도는 우리 중소기업들이 정부의 정책 의도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며, 정부 차원에서도 단계별 육성정책의 효과를 비교적 용이하게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단계별 구체적인 인증조건을 설계하는 것은 중소기업에 명확한 성장 유인책을 제공하는 동시에 관계부처로 하여금 단계별로 차별적인 육성 목표를 설정하고 지원정책을 추진하는 것이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둘째, 소ㆍ부ㆍ장 중소기업의 기술보호 강화가 필요하다. 본 보고서의 사례분석을 통해서 알 수 있듯이 중국의 강소기업들이 해외기업을 인수하여 획득한 기술을 중국 내 산업생태계 수준을 제고하는 데 활용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우리 소ㆍ부ㆍ장 기업의 ‘기술 유출 방지’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한국은 「국가첨단전략산업법」을 통해 첨단산업 기술인력을 보호하기 위해 기업 신청에 따라 전문인력을 지정하고, 기업-전문인력 간 비밀유지, 이직 제한 등에 대한 계약을 체결할 수 있도록 근거를 마련하는 한편, 기술수출, 기업 인수ㆍ합병 등의 경우 정부지원과 무관하게 산업통상지원부의 승인을 받도록 하는 일부 강화된 보호 조치를 적용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보면 현재 한국은 첨단 전략기술 유출 방지를 위한 법적 보호장치를 잘 갖추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기존의 법에서는 중소기업의 기술보호에 대한 언급은 찾아볼 수 없다. 본 보고서의 사례분석을 통해서 알 수 있듯이 중국 강소기업들이 해외 소ㆍ부ㆍ장 기업 기술 획득에도 눈독을 들이고 있다는 점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첨단 전략기술뿐만 아니라 첨단제품 생산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중소기업들이 기술을 토대로 성장할 수 있도록 기술 보호 및 상용화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한중 경협관계에 대한 발상의 전환 및 신분야 협력 제도 기반 구축이 필요하다. 한중 간 무역 교류 상황이 크게 변화하고 있다. 중국은 여전히 우리의 가장 큰 수출 및 수입 상대국이지만, 2022년부터 대중국 수입 규모가 수출 규모보다 확대되면서 무역수지가 감소하기 시작하여 2023년 11월 말 기준으로 180억 달러의 무역수지 적자를 기록했다. 2022년 기준 우리나라 소ㆍ부ㆍ장 분야의 대중국 수출 비중은 66.9%, 수입 비중은 51%를 차지할 정도로 소ㆍ부ㆍ장 분야가 중국과의 교역에서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런데 이렇게 중요한 소ㆍ부ㆍ장에서 우리의 대중국 수출 경쟁력이 하락하고 있다. 한국과 중국 간 산업 발전 상황의 변화 및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따라 양국간 무역 및 투자가 확장되는 데 한계에 달했다고 볼 수 있으며, 이제는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한중 간 무역 및 산업 구조 변화를 인식하고 양국간 경제 교류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새로운 경협 패러다임을 구성해나가야 한다. 기존의 제조기지로 보았던 중국을 이제는 신산업 분야의 선진국으로 보고 경협 구도를 그려나가야 할 것이다.
ICT 산업 분야에서 중국의 경쟁력은 이미 상당한 수준이다. 세계 최고 기술수준 보유국인 미국의 상대적 기술수준을 100으로 보았을 때, 중국 ICT 산업의 평균 기술수준은 91.8에 달하는 반면 한국은 89.6에 그치고 있다. 미국과의 기술격차를 보아도 중국은 0.8년, 한국은 1.1년을 보인다. 주요 분야별 한중 기술수준을 비교해 보아도 사물인터넷과 스마트 디바이스, SW를 제외하고는 네트워크, 전파ㆍ위성, 자율주행차, AI, 빅데이터, 양자정보통신, 차세대 보안, 블록체인 등 대부분의 영역에서 큰 기술격차를 보이고 있다. 중국은 해당 분야에 경쟁력을 보유한 강소기업의 든든한 지원을 바탕으로 신산업 분야에서 글로벌 선두를 차지할 정도로 성장하였다. 중국의 일부 강소기업은 첨단산업의 소재 부문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기도 하다. 일례로 본 연구의 사례기업 중 Changzhou Tronly는 일본과 한국의 주요 포토레지스트 기업에 화학소재를 공급하고 있다.
이제 중국 강소기업의 성장을 굳이 경계만 할 필요는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중국의 첨단 분야 소ㆍ부ㆍ장 경쟁력 향상에 대비하여 우리의 소ㆍ부ㆍ장 산업 경쟁력 강화를 배가함과 동시에 중국의 소ㆍ부ㆍ장 비교우위를 활용한 양국 협력방안 모색도 필요하다. 그리고 신산업의 발전을 배경으로 한 디지털 전환, 그린 전환 시대에 걸맞은 새로운 분야에서의 한중 협력 기반을 마련하고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신산업 분야에 대한 제도적 협력 기반 구축 노력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China’s policy of nurturing hidden champions is being promoted on the basis of a systematic development system, which has been established by consolidating the economic development policies scattered in each province by linking them to the national strategy. It nurtures hidden champion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to strengthen the foundation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and improve the localization rate of key basic parts and materials by 2025, which is the goal set by the “manufacturing powerhouse” strategy at the national level. After classifying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by growth stage, China is nurturing companies that can supplement the technological gap in the supply chain by focusing technology and capital.
It is also expanding the establishment of a national-level manufacturing innovation center necessary for promoting national strategies. The main areas of establishment are high-tech areas such as optoelectronics, display, robotics, lightweight materials, semiconductors, and batteries. The national-level manufacturing innovation center will receive financi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when it is established. In addition, it is operated in a structure in which everyone enjoys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developed here with the participation of research institutes, universities, and private companies for strategic technology research. In particular, in the semiconductor industry, which has recently increased its strategic importance, three innovation centers are in operation, and core process technologies are being developed by concentrating resources under the leadership of leading companies. In addition, SMEs that participated in this are also building an open system so that they can use the infrastructure and databases of innovation centers.
As of 2023, there are 12,950 hidden champions in China, exceeding the 2025 target of 10,000. In particular, the share of companies in the new materials, next-generation information technology, and advanced mechinery industries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about 17% in 2019 to 25.7% in 2023. This seems to be due to the Chinese government’s expansion of support to sectors that are more exposed to U.S. sanctions.
Financial support strategies for hidden champions are divided into initial government subsidies and tax incentives, and sustainable financial support using private capital. Various methods of financial support are of great importance in that they provide financial resources to SMEs that have a long management period and are difficult to obtain additional support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company and prepare new growth engines.
The Chinese government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financial support process for Hidden Champions. This is because government certification of Hidden Champions is linked to direct and indirect financial support using government and private capital. Since the government certification is to ensure a company’s industrial competitiveness, it is related to both attracting seed investment to companies after direct government incentives and tax incentives, and liquidity support policies through listing on the capital market. Therefore, financial support for SMEs can be interpreted as a strategy to improve corporate competitiveness through investment in government finances and private capital based on government guarantees. And in this process, the Chinese government is expanding its scope from government-led projects to marketization strategies by linking private capital with companies subject to government policy support in addition to government funding.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mpetitiveness of Hidden Champions that the Chinese government is promoting, this report attempted to analyze the management situation and export competitiveness of listed Hidden Champions. The targets of analysis were 692 listed companies that could obtain corporate information among the 12,950 national-level Hidden Champions announced by the Chinese government.
Looking at the distribution by industry in which listed companies are engaged, a total of 563 companies are engaged in 10 industries, including dedicated facility manufacturing, computer, communication, and other electrical equipment manufacturing. Among the above 10 industries, the U.S.-designated core science and technology industries are mainly concentrated in five industries: △ software and ICT service industries, △ computer, communication, and other electronic equipment manufacturing, △ general equipment manufacturing, △ special equipment manufacturing, and △ chemical raw materials and products manufacturing. Accordingly, in this study, the strategy of promoting Hidden Champions promoted by China in response to U.S. technology checks was derived by analyzing the cases of representative excellent enterprises in five industries.
China’s strategy for Hidden Champions, which was derived from the analysis of the case companies, was identified as ① promoting corporate growth through successful localization in response to the U.S. strategy toward China in key technologies, ② fostering enterprises by expanding demand for niche markets following digital and green transformation, ③ promoting mass production of essential materials through cooperation with large companies related to the supply chain, ④ expanding its influence through participation in national industrial standards in China in special fields, ⑤ taking advantage of the domestic capital market through the Beijing Stock Exchange, ⑥ creating a technology ecosystem in China by acquiring foreign enterprises with technology competitiveness, and ⑦ strengthening competitiveness by supporting key enterprises in the global supply chain.
Considering the difficulty of obtaining trade statistics for each detailed item of hidden champions, this study classified the entire trade statistics into materials, parts, and equipment industries where hidden champions are mainly distributed to examine the trade situation and analyze competitivenes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rade statistics of materials, parts, and equipment from 2012 to 2022, when China’s policy of cultivating foster hidden champions was fully implemented, the global trade balance of the China’s materials, parts, and equipment industry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a deficit of $55.6 billion in 2012 to a surplus of $264.1 billion in 2022.
The improvement in China’s competitiveness in the fields of materials, parts, and equipment can also be seen as a change in the trade specialization index (TSI) of the materials, parts, and equipment industries. Looking at China’s global trade specialization index for materials, parts, and equipment, it was import specialized at -0.033 in 2012, but rose to 0.100 in 2022, improving export competitiveness. On the other hand, the trade specialization index for Korea’s materials, parts, and equipment industry with China was found to slow down more significantly from 0.357 in 2012 to 0.139 in 2022.
Among the materials, parts, and equipment industries, in particular, Korea’s imports to China increased and exports to China decreased or export growth slowed as China’s exports increased and import growth slowed, especially in △ semiconductor and display equipment, △ precision processing equipment, △ general machinery parts, △ industrial process equipment, and △ precision equipment parts. The five materials, parts, and equipment industry items mentioned above are related to △computer, communication, and other electronic equipment manufacturing, △ general equipment manufacturing, △ dedicated equipment manufacturing, and △ chemical raw materials and products manufacturing, which are industries related to core science and technology that the United States has designated among the industries that are mainly engaged in China’s hidden champions. This can be interpreted as China replacing foreign import demand with domestic products as the effect of nurturing China’s hidden champions gradually emerges.
The above industries are the areas where China is expanding R&D investment in response to U.S. sanctions, and as the industries where there are already competitive hidden champions, competition with Korea is likely to intensify in the future. Although a more detailed industry-wide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China competitiveness has not been carried out, consider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two countries in the materials, parts, and equipment industries, as measured by trade statistics, suggests that Korea is likely to face a situation where risks outweigh opportunities. This is because Korea’s imports to China are likely to expand rather than exports of Korean products to China increasing due to the rapid growth and demand in key new industries following China’s “hidden champions” strategy, which has been given a boost by strengthening technology controls and sanctions against China by Western developed countries led by the United States.
China is Korea’s largest export and import partner for materials, parts, and equipment, while the materials, parts, and equipment industry is a major contributor to Korea’s trade surplus. As a result, Korea needs to make efforts to address sluggish exports to China by diversifying its trading partners for materials, parts, and equipment and, actively responding to China’s strengthening competitiveness in the materials, parts, and equipment industry.
Korea should recognize the changes in the trade and industrial structure between Korea and China and form a new paradigm of economic cooperation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conomic exchanges between the two countries. China, which used to be seen as a manufacturing base, must now be seen as an advanced country in new industries and the economic cooperation structure must be drawn. China has become a world leader in new industries based on the strong support of hidden champions with competitiveness. Some hidden champions in China also have global competitiveness in the materials sector of high-tech industries.
Now, it is judged that there is no need to be cautious about the growth of China’s hidden champions. In preparation for China’s improvement in the competitiveness of materials, parts, and equipment in high-tech fields, it is necessary to double the competitiveness of our materials, parts, and equipment industries, and to find a way for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by making use of China’s comparative advantage in the materials, parts, and equipment industries.
In addition, against the backdrop of the development of new industries, we need to establish and expand the foundation for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in new areas suitable for the era of digital and green transformation. To this end, efforts to build an institutional cooperation base for new industrial fields must first be strengthened.
It is also expanding the establishment of a national-level manufacturing innovation center necessary for promoting national strategies. The main areas of establishment are high-tech areas such as optoelectronics, display, robotics, lightweight materials, semiconductors, and batteries. The national-level manufacturing innovation center will receive financi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when it is established. In addition, it is operated in a structure in which everyone enjoys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developed here with the participation of research institutes, universities, and private companies for strategic technology research. In particular, in the semiconductor industry, which has recently increased its strategic importance, three innovation centers are in operation, and core process technologies are being developed by concentrating resources under the leadership of leading companies. In addition, SMEs that participated in this are also building an open system so that they can use the infrastructure and databases of innovation centers.
As of 2023, there are 12,950 hidden champions in China, exceeding the 2025 target of 10,000. In particular, the share of companies in the new materials, next-generation information technology, and advanced mechinery industries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about 17% in 2019 to 25.7% in 2023. This seems to be due to the Chinese government’s expansion of support to sectors that are more exposed to U.S. sanctions.
Financial support strategies for hidden champions are divided into initial government subsidies and tax incentives, and sustainable financial support using private capital. Various methods of financial support are of great importance in that they provide financial resources to SMEs that have a long management period and are difficult to obtain additional support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company and prepare new growth engines.
The Chinese government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financial support process for Hidden Champions. This is because government certification of Hidden Champions is linked to direct and indirect financial support using government and private capital. Since the government certification is to ensure a company’s industrial competitiveness, it is related to both attracting seed investment to companies after direct government incentives and tax incentives, and liquidity support policies through listing on the capital market. Therefore, financial support for SMEs can be interpreted as a strategy to improve corporate competitiveness through investment in government finances and private capital based on government guarantees. And in this process, the Chinese government is expanding its scope from government-led projects to marketization strategies by linking private capital with companies subject to government policy support in addition to government funding.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mpetitiveness of Hidden Champions that the Chinese government is promoting, this report attempted to analyze the management situation and export competitiveness of listed Hidden Champions. The targets of analysis were 692 listed companies that could obtain corporate information among the 12,950 national-level Hidden Champions announced by the Chinese government.
Looking at the distribution by industry in which listed companies are engaged, a total of 563 companies are engaged in 10 industries, including dedicated facility manufacturing, computer, communication, and other electrical equipment manufacturing. Among the above 10 industries, the U.S.-designated core science and technology industries are mainly concentrated in five industries: △ software and ICT service industries, △ computer, communication, and other electronic equipment manufacturing, △ general equipment manufacturing, △ special equipment manufacturing, and △ chemical raw materials and products manufacturing. Accordingly, in this study, the strategy of promoting Hidden Champions promoted by China in response to U.S. technology checks was derived by analyzing the cases of representative excellent enterprises in five industries.
China’s strategy for Hidden Champions, which was derived from the analysis of the case companies, was identified as ① promoting corporate growth through successful localization in response to the U.S. strategy toward China in key technologies, ② fostering enterprises by expanding demand for niche markets following digital and green transformation, ③ promoting mass production of essential materials through cooperation with large companies related to the supply chain, ④ expanding its influence through participation in national industrial standards in China in special fields, ⑤ taking advantage of the domestic capital market through the Beijing Stock Exchange, ⑥ creating a technology ecosystem in China by acquiring foreign enterprises with technology competitiveness, and ⑦ strengthening competitiveness by supporting key enterprises in the global supply chain.
Considering the difficulty of obtaining trade statistics for each detailed item of hidden champions, this study classified the entire trade statistics into materials, parts, and equipment industries where hidden champions are mainly distributed to examine the trade situation and analyze competitivenes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rade statistics of materials, parts, and equipment from 2012 to 2022, when China’s policy of cultivating foster hidden champions was fully implemented, the global trade balance of the China’s materials, parts, and equipment industry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a deficit of $55.6 billion in 2012 to a surplus of $264.1 billion in 2022.
The improvement in China’s competitiveness in the fields of materials, parts, and equipment can also be seen as a change in the trade specialization index (TSI) of the materials, parts, and equipment industries. Looking at China’s global trade specialization index for materials, parts, and equipment, it was import specialized at -0.033 in 2012, but rose to 0.100 in 2022, improving export competitiveness. On the other hand, the trade specialization index for Korea’s materials, parts, and equipment industry with China was found to slow down more significantly from 0.357 in 2012 to 0.139 in 2022.
Among the materials, parts, and equipment industries, in particular, Korea’s imports to China increased and exports to China decreased or export growth slowed as China’s exports increased and import growth slowed, especially in △ semiconductor and display equipment, △ precision processing equipment, △ general machinery parts, △ industrial process equipment, and △ precision equipment parts. The five materials, parts, and equipment industry items mentioned above are related to △computer, communication, and other electronic equipment manufacturing, △ general equipment manufacturing, △ dedicated equipment manufacturing, and △ chemical raw materials and products manufacturing, which are industries related to core science and technology that the United States has designated among the industries that are mainly engaged in China’s hidden champions. This can be interpreted as China replacing foreign import demand with domestic products as the effect of nurturing China’s hidden champions gradually emerges.
The above industries are the areas where China is expanding R&D investment in response to U.S. sanctions, and as the industries where there are already competitive hidden champions, competition with Korea is likely to intensify in the future. Although a more detailed industry-wide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China competitiveness has not been carried out, consider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two countries in the materials, parts, and equipment industries, as measured by trade statistics, suggests that Korea is likely to face a situation where risks outweigh opportunities. This is because Korea’s imports to China are likely to expand rather than exports of Korean products to China increasing due to the rapid growth and demand in key new industries following China’s “hidden champions” strategy, which has been given a boost by strengthening technology controls and sanctions against China by Western developed countries led by the United States.
China is Korea’s largest export and import partner for materials, parts, and equipment, while the materials, parts, and equipment industry is a major contributor to Korea’s trade surplus. As a result, Korea needs to make efforts to address sluggish exports to China by diversifying its trading partners for materials, parts, and equipment and, actively responding to China’s strengthening competitiveness in the materials, parts, and equipment industry.
Korea should recognize the changes in the trade and industrial structure between Korea and China and form a new paradigm of economic cooperation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conomic exchanges between the two countries. China, which used to be seen as a manufacturing base, must now be seen as an advanced country in new industries and the economic cooperation structure must be drawn. China has become a world leader in new industries based on the strong support of hidden champions with competitiveness. Some hidden champions in China also have global competitiveness in the materials sector of high-tech industries.
Now, it is judged that there is no need to be cautious about the growth of China’s hidden champions. In preparation for China’s improvement in the competitiveness of materials, parts, and equipment in high-tech fields, it is necessary to double the competitiveness of our materials, parts, and equipment industries, and to find a way for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by making use of China’s comparative advantage in the materials, parts, and equipment industries.
In addition, against the backdrop of the development of new industries, we need to establish and expand the foundation for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in new areas suitable for the era of digital and green transformation. To this end, efforts to build an institutional cooperation base for new industrial fields must first be strengthened.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선행연구 검토
3. 연구의 방법 및 구성
제2장 미국의 대중국 기술 견제
1. 배경 및 목적
2. 주요 견제 분야 및 수단
3. 소결
제3장 중국의 강소기업 육성전략
1. 강소기업 육성전략
2. 강소기업 육성을 위한 금융 지원정책
3. 소결
제4장 중국 강소기업의 경쟁력 분석
1. 중국 전정특신 상장기업 분석
2. 중국 강소기업의 수출 경쟁력 분석
3. 소결
제5장 결론
1. 요약 및 평가
2. 시사점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선행연구 검토
3. 연구의 방법 및 구성
제2장 미국의 대중국 기술 견제
1. 배경 및 목적
2. 주요 견제 분야 및 수단
3. 소결
제3장 중국의 강소기업 육성전략
1. 강소기업 육성전략
2. 강소기업 육성을 위한 금융 지원정책
3. 소결
제4장 중국 강소기업의 경쟁력 분석
1. 중국 전정특신 상장기업 분석
2. 중국 강소기업의 수출 경쟁력 분석
3. 소결
제5장 결론
1. 요약 및 평가
2. 시사점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 232 |
---|---|
판매가격 | 10,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세계지역전략연구
Exploring Urban Perception on Climate Change in Developing Countries
2024-08-29
단행본
2023 KIEP 정책연구 브리핑
2024-06-28
연구보고서
해외직접투자가 기업의 지식재산권 확보와 성과에 미치는 영향
2023-12-29
연구보고서
대러 경제 제재가 러시아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한-러 경제협력 안정화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글로벌 경제안보 환경변화와 한국의 대응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인도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몽골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몽골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전략 추진을 위한 한-태평양도서국 중장기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경쟁에 따른 아세안 역내 공급망 재편과 한국의 대응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남아공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자료
동티모르의 아세안 가입 지원 및 개발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멕시코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멕시코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호주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호주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시대 한ㆍ인도 경제협력의 방향과 과제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 서비스 산업 구조 분석과 한-인도 산업 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일본의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관리와 한·일 간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연구보고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EU의 '개방형 전략적 자율성' 확대에 미친 영향: 에너지 전환, 인적 교류, 안보 통합을 중심으로
2023-12-30
연구보고서
중동부유럽으로의 EU 확대 평가와 향후 전망
2023-12-29
중국종합연구
한중 탄소중립 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2023-12-29
중국종합연구
2023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3-12-29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