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세계지역전략연구

발간물

목록으로
세계지역전략연구 중남미 국가의 FTA 활용 인프라 분석 및 협력 방안 경제협력, 자유무역

저자 정인교, 조정란, 문남권, 김찬우, 김건영 발간번호 21-02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21.12.30

원문보기(다운로드:2,869)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한·미 FTA 협상이 타결된 2007년, 우리나라는 중소기업의 FTA 활용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시작했고, 이후 관련 법과 규정을 통해 다른 국가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정도로 체계적인 FTA 활용 지원체계를 확립했다. FTA 활용지원내용으로는 FTA 활용 정보제공(홈페이지 개설이나 교육·설명회 개최 등), FTA 활용 컨설팅(특혜관세, 원산지, FTA 비즈니스모델 등), FTA 활용 인프라 구축(원산지관리시스템, 통관 및 FTA 특혜관계 연계 등), 전문인력 육성(학부, 대학원 과정 등)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우리나라는 칠레·멕시코 등과 더불어 세계에서 가장 넓은 FTA망을 구축한 국가이지만, 세계무역기구(WTO)의 무기력증, 코로나19 방역조치,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미·중 경제분리(Decoupling) 등 불리하게 전개되는 세계통상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기발효 FTA의 활용도를 높이면서 협정의 업그레이드를 위한 협상과 신규 FTA 추진을 통해 FTA 정책의 내실화를 기해야 한다.
   2004년 칠레와의 FTA를 시발점으로 페루(2011년), 콜롬비아(2016년), 그리고 파나마 등 중미 5개국과의 FTA(2019년)1)를 순차적으로 발효시켰지만, 남미공동시장(MERCOSUR), 태평양동맹(PA) 등 현지 거대 무역협정 가입 협상은 부진한 상황이다. 우리나라가 당면한 FTA 정책과제 중 하나는 중남미 국가와의 FTA 체결 확대이지만 진전이 더딘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남미 국가 중 우리나라와 FTA를 체결했거나 멕시코와 같이 추진 필요성이 제기된 국가에 대한 FTA 활용지원을 위한 경제협력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태평양동맹(PA) 4개 회원국(칠레, 페루, 콜롬비아, 멕시코) 및 중미 6개국(과테말라, 니카라과,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코스타리카, 파나마) 총 10개국을 분석대상으로 설정했다.
   현재 진행 중인 MERCOSUR와의 FTA 협상 타결은 최우선 중남미 통상정책 현안이다. MERCOSUR의 경우, 블록 내 내부 방침이 협상 진전에 더 중요한 요소가 되기 때문에 우리나라와의 FTA에 대한 MERCOSUR 지역 차원의 인식 전환 없이는 경제협력으로 소기의 성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이 김찬우(2021), 윤여준 외(2020), 조정란(2018a) 등의 전문가 및 통상당국의 판단이다. 또한 MERCOSUR와의 경제협력 필요성과 전략에 대한 연구보고서가 이미 다수 발간된 반면, 중남미 중소형 국가에 대한 연구보고서는 드문 상황이어서 MERCOSUR를 제외한 중남미 10개국을 분석대상 국가로 정했다. 또한 우리나라는 멕시코와의 FTA에 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태평양동맹(PA) 준회원국 지위 확보가 중남미 통상정책의 현안이다. 종합하면, 본 연구에서는 중남미 지역 중소형 국가 및 우리나라와의 FTA 논의가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는 멕시코와의 경제협력 강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렇다고 브라질과 아르헨티나 등 MERCOSUR 국가와의 경제협력의 중요성을 결코 경시하는 것은 아니다.
   중남미 국가와의 FTA 경제교류 확대 및 FTA 활용에 대한 현지의 관심을 제고하기 위해 우리나라의 FTA 활용 지원체계를 경제협력 형식으로 현지에 전수시킬 때 상대국의 호응, 협력의 성과 및 지속가능성이 높을 수 있는 우선추진국가를 선정하는 것이 본 보고서의 목적이다. 예산 한계도 있겠지만, 우리나라의 FTA 활용 지원체계는 10년 이상에 걸쳐 한국 상황에 맞게 수정 및 보완을 거쳐 정착된 것이므로 경제협력 성과를 봐가면서 다른 인근 국가로 경제협력을 확대시켜 나가야 함을 전제로 우선추진국가를 선정하는 것이다.
   제2장에서 우리나라 FTA 활용 지원체계의 발전과정과 주요 내용을 정리하였다. 오늘날 우리나라의 FTA 활용 지원체계를 확립하기까지 적지 않은 시행착오를 겪었고, 중남미 국가에 이를 전수해주더라도 기업의 활용과 정책당국의 세밀한 관리가 없다면 경제협력의 성과가 높지 않을 수 있음을 강조하기 위해 관련 법 제정 등에 대해 상술하였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경험을 토대로 현지 여건에 적합한 형태의 지원체계를 중남미 국가에 전수하고 단계적으로 발전시키도록 유도해야 할 것이다.
   제3장과 제4장에서는 FTA 활용지원 경제협력 대상국을 모색하고, 경제협력의 파급영향을 추정하고자 한다. 많은 수의 FTA를 체결하였더라도 자국 기업에 대한 FTA 활용지원 서비스 제공을 하지 않고 있는 국가의 경우 본 경제협력 사업이 순조롭게 진행되기도 어렵겠지만, 우리나라의 지원이 종료된 이후 동 사업이 지속적으로 발전되기 어려울 것이다. 이 점을 염두에 두고 우선추진국가 선정기준을 정했다.
   FTA 활용지원 경제협력을 제공할 경우, 우리나라의 관심은 과연 어느 국가가 높은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인가가 될 것이다. 수출지향적 산업정책을 추구하면서 수출산업과 제조업 기반이 양호한 국가 여부를 첫 번째 기준으로 삼고자한다. 이러한 요건을 충족하는 국가는 GVC 참여 수준이 상대적으로 양호할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다음으로 FTA 활용 관련 정부의 정책이나 지원프로그램을 갖고 있거나 정책적 고려를 하고 있는 국가가 두 번째 기준이 될 수 있다. 그렇지 않다면 우리나라의 FTA 활용지원 경제협력 제안에 소극적이거나 지속가능성이 떨어질 수 있다.
   세 번째 기준은 FTA 활용지원으로 GVC 전후방 효과가 높은 국가이다. 참고로 국제경제기구(World Bank 2017, 2018; UNCTAD 2020 등)는 FTA를 통한 무역자유화가 GVC 참여를 심화시킬 뿐만 아니라, 중간재 교역 활성화로 국내 경제성장에 도움이 된다고 결론 내고 FTA 체결을 통한 GVC 참여 확대를 개도국에게 권고하고 있다. GVC 전후방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국가의 경우, 우리나라의 FTA 활용지원 경제협력 제안을 긍정적으로 검토할 수 있고, 우리나라의 지원을 계기로 자국의 자체 예산을 투입해서라도 FTA 활용지원 프로그램을 유지 및 발전시킬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제5장에서는 제3장과 제4장의 분석을 토대로 FTA 활용지원 경제협력 대상국을 선정하고, 해당국 지원에 중점을 둬야 할 사항을 도출하였다. 경제협력은 상대국의 입장이 중요하므로 경제협력 시작 단계에서 양자 간 협의가 선행되어야 하지만, 본 보고서의 내용은 우선추진 대상국 선정 외에 우리나라 통상당국이 사전에 파악해야 할 경제협력 사항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대부분의 중남미 국가들은 제조업 육성 및 수출품목 다각화 정책을 모색하거나 관심을 보이고 있으나, 실제 산업 현황으로 보면 정책의 실효성을 기대할 수 있는 수출산업과 제조업 기반을 갖춘 국가는 얼마 되지 않는다. 멕시코·콜롬비아·과테말라 등의 국가가 상대적으로 양호한 제조업 기반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중남미 어느 국가도 FTA 활용 지원체계를 갖추고 있지 않다. 자국 정부(공공)기관이나 미주기구(OAS) FTA 종합정보센터(SICE)의 홈페이지를 통해 협정문, 관세양허체계, 품목별 원산지기준 등을 제시하고 있으나, 어느 국가도 공공기관이 FTA 활용지원 컨설팅을 제공하고 있지 않다. 니카라과·엘살바도르·온두라스 등 저중소득국(저소득국)3)은 인터넷을 비롯한 물리적 인프라 부실로 FTA 활용지원 경제협력 추진 애로가 클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수출 활성화를 위한 FTA 정책 차원에서 볼 때, 칠레·페루·콜롬비아·멕시코·과테말라·코스타리카·파나마 등은 FTA 활용지원 경제협력의 성과를 어느 정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GVC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는 기준 3은 부가가치무역 분석모형(GTAP-VA)을 통해 분석했다. FTA 활용지원 경제협력으로 상대국의 GVC 참여 수준을 확대시킬 수 있는 국가는 멕시코·콜롬비아·과테말라·페루·칠레 등이 될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국과 우리나라 양측 모두에게 높은 GVC 참여 확대를 가져다줄 수 있다면 FTA 활용지원 경제협력 논의가 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국가로는 멕시코·콜롬비아·과테말라가 될 수 있고, 이들 국가는 기준 1과 기준 2에서도 상대적으로 양호한 평가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중남미 국가 중 우리나라의 FTA 활용지원 경제협력 우선추진 대상국으로 멕시코·콜롬비아·과테말라를 선정했다.
   본 보고서에서 분석하는 중남미 10개국과의 FTA에 대한 선행연구는 물론이고 우리나라 FTA 정책연구에서 GVC 전후방 영향분석을 체계적으로 한 사례를 찾기 어렵다. 본 보고서는 중남미 국가와 체결한 FTA의 경제성 제고뿐만 아니라 경제협력 내실화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한다.
   In 2007, when the Korea-US FTA negotiations were concluded, the government of Korea started a program to support the utilization of FTAs by SMEs. Since then, through the enactment of laws and the related regulations, it has established a systematic FTA utilization support system that cannot be found in other countries. Korea’s FTA utilization support system has been modified and supplemented for more than 10 years. FTA utilization support includes providing information on FTA utilization (opening a website or holding education and briefing sessions, etc.), consulting on FTA utilization (preferential tariff, country of origin, FTA business model, etc.), and establishment of FTA utilization infrastructure (origin management system, customs clearance and preferential tariff margins with FTAs), and fostering professional manpower (undergraduate, graduate course, etc.).
   No country in Latin America has a comprehensive system to support the use of FTAs. The text of FTAs, the tariff concession schedule, and the rules of origin for goods are presented on the website of the national government (public) institution or the Organization of American States (OAS) FTA Information Center (SICE). Many low-income countries, such as Nicaragua, El Salvador, and Honduras, have a lot of difficulties in promoting the use of FTAs due to poor physical infrastructure including the Internet.
   Recently several countries have shown interests in adopting Korea’s FTA utilization support system. Korea, along with Chile and Mexico, has built the world’s widest FTA network, but there are several factors adverse to its export performance such as WTO’s lethargy, COVID-19 quarantine measures, global protectionism, and decoupling of the US and China economy. In order to respond to changes in the global trade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utilization of the existing FTA and to strengthen the FTA policy by negotiating to upgrade the existing FTAs and promoting new FTAs.
   This study intends to explore economic cooperation measures to support the use of FTAs among Latin American countries that have concluded FTAs with Korea or have raised the need for a new FTA. A total of 10 countri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including 4 member states of the Pacific Alliance (Chile, Peru, Colombia, Mexico) and 6 Central American countries (Guatemala, Nicaragua, El Salvador, Honduras, Costa Rica, and Panama).
   The conclusion of the FTA negotiations with the MERCOSUR, which is currently underway, is the top priority for Korea’s trade policy with Latin American countries. In the case of the MERCOSUR, since internal policies within the block become a critical factor in the process of negotiations, it is difficult to expect the desired results from economic cooperation without a change in the attitude of the MERCOSUR countries (Brazil, Argentina, Uruguay, and Paraguay) at the regional level toward the FTA with Korea. While many research reports on the necessity and strategy of economic cooperation with the MERCOSUR have already been published, research reports on economic cooperation with small and medium-sized countries in Latin America are rare.
   In addition, securing the status of an associate member of the Pacific Alliance (PA), which can have an effect comparable to that of an FTA with Mexico, is an important issue in Korea’s trade policy. This study focuses on research to find ways to strengthen economic cooperation with Mexico, which is not making progress. However, this does not mean to underestimate the importance of economic cooperation with the MERCOSUR countries.
   Through transferring Korea’s FTA utilization support system to the Latin American countries in the form of economic cooperation, it is possible to expand economic gains earned from the FTAs with Latin American countries and to raise local interests toward the FTA utilization.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select a set of countries of priority for economic cooperation in the transfer of Korea’s FTA utilization support system.
   Chapter 2 summarizes the development process and the main contents of Korea’s FTA utilization support system. The enactment of laws and regulations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Korea’s experience, it is necessary to transfer a support system suitable for local conditions in Latin American countries and induce them to develop step by step.
   Chapters 3 and 4 try to find the target countries for economic cooperation supporting the use of FTAs and to estimate the effects of economic cooperation. Even if a large number of FTAs have been concluded, it will be difficult for this economic cooperation project to proceed smoothly in the case of countries that do not provide FTA utilization support services to their own companies. With this point in mind, the criteria for selection of priority countries were established. One of the criteria is the impact on the GVC of Latin American countries, based on the reports by the international economic organizations (World Bank 2017, 2018; UNCTAD 2020, etc.) arguing that FTAs not only deepen participation in GVC, but also help economic growth by activating trade in intermediate goods.
   In Chapter 5, based on the analyses in Chapters 3 and 4, the target countries for economic cooperation to support the use of FTAs have been selected, and accordingly, the policy issues that should be focused on supporting those countries have been derived. In this study, Mexico, Colombia, and Guatemala have been selected as the priority countries for Korea’s FTA utilization support economic cooperation through an analysis of various aspects such as the FTA utilization support infrastructure, industrial base and structure, and the impact of the project on GVC. Finally, the conclusion and policy implications are given at the Chapter 6.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보고서의 장별 주요 내용


제2장 우리나라 FTA 활용지원 발전과정 및 평가

1. 우리나라의 FTA 실적과 추진과정의 특징

2. FTA 활용 지원체계의 발전과정

3. 최근의 FTA 활용 지원실적 및 평가

4. FTA 활용지원 경제협력 사례와 시사점


제3장 중남미 국가의 산업정책 및 FTA 활용지원 현황

1. 중남미 국가의 산업정책 기조

2. 중남미 국가의 산업 현황

3. 중남미 국가의 FTA 활용지원 현황


제4장 FTA 활용지원의 GVC 파급영향과 경제협력 가능성

1. GVC에 대한 FTA의 영향

2. 부가가치 분석모형

3. 분석 시나리오

4. 시뮬레이션 분석 결과


제5장 FTA 활용지원 경제협력 우선추진국가 및 협력방안

1. FTA 활용지원 경제협력 우선추진국가

2. 중남미 국가에 대한 FTA 활용지원 협력방안

3. FTA 활용지원 경제협력에 대한 시사점


제6장 결론


참고문헌


부록. 한·중남미 FTA 활용지원 경제협력 GVC 영향

1. 시나리오 1하의 개별 국가별 영향

2. 시나리오 2하의 개별 국가별 영향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206
판매가격 10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중국종합연구 한중 탄소중립 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2023-12-29 중국종합연구 2023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3-12-29 중국종합연구 탄소중립 시대 중국 동북지역 한중 지역개발 협력방안 : 중국 지린성을 중심으로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한-인도 해운·항만산업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아세안 주요국의 난민지원정책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2023-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중동·북아프리카 식량위기에 대한 역내 인식과 대응 및 협력방안 2023-12-27 단행본 만화로 보는 세계경제 2023 2023-12-23 세계지역전략연구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주요국의 탈탄소 정책과 청정에너지부문 협력 방안 2023-11-29 연구자료 동지중해 천연가스 개발 현황과 한국의 협력 방안 2023-10-20 연구보고서 경제안보 이슈의 부상과 대외협력 방향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주요국의 대남아시아 경제협력전략과 정책 시사점: 중국, 일본, 인도를 중심으로 2022-12-30 연구자료 최근 Mega FTA SPS 규범의 국제논의 동향 및 시사점 2023-05-19 연구보고서 미·중 전략 경쟁 시대 글로벌 기업의 대응과 중국진출 한국기업에 대한 시사점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일본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일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한국-동남아 가치사슬 안정화를 위한 메콩지역 협력 방안 연구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아세안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아세안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글로벌 환경 상품·서비스 시장개방의 경제적 효과와 정책 시사점 2022-12-30 연구자료 무역 자유화와 소비자 후생효과: 품질 다양성을 중심으로 2023-05-25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중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중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자료 방글라데시 기후변화 영향 분석 및 시사점 2022-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