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발간물

목록으로
ODA 정책연구 베트남의 교통분야 개발협력 방안 연구 경제개발, 경제협력

저자 권영인, 안강기, 서영욱 발간번호 ODA 정책연구 19-03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9.12.31

원문보기(다운로드:7,072)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본 연구는 한국의 신남방정책 핵심 협력국가인 베트남의 교통인프라 개발수요에 부응할 수 있는 개발협력 방안을 수립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에 한국과 베트남 간 교통분야 개발협력 동향을 고려하여 베트남의 교통인프라 개발 현황과 개발수요를 분석하였고, 나아가 국제사회의 개발협력 현황을 파악하여 부문별 개발협력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베트남 내 위치한 베트남 교통부, 하노이시 교통국, 호치민시 교통국, KOICA 하노이 사무소 등의 여러 관련 기관을 방문하여 교통부문과 관련된 정책과 향후 계획에 대한 현지자료를 수집하였고, 초청연수 및 워크숍을 개최하여 이에 참여한 베트남 교통부의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함으로써 베트남 정부의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연구의 내용에 포함하였다.
   2장에서는 베트남의 전반적인 국가개발전략, 경제동향 및 전망, 유엔의 지속가능발전목표, 교통부문별 추진체계 현황에 대한 정리 및 분석 자료를 토대로 베트남 교통분야의 개발 현황과 개발수요를 파악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과 베트남 간 개발협력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1절의 경우, 베트남 국가개발전략에 따른 사회경제개발목표, 경제동향에 따른 한국의 우호요인 및 악재요인, UN의 지속가능개발목표 설정에 따른 교통인프라 개발목표 등을 파악하였고, 2절에서는 국내 및 베트남 내 전문가로부터 수집된 여러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도로, 철도, 공항, 항만, 도시교통, 물류와 같은 교통부문별 개발 현황 및 관련 정책을 검토 및 분석하였다. 3절에서는 앞서 조사된 내용들을 바탕으로 크게 경제성장에 대응되는 교통인프라의 절대적 부족, 중단기 계획 미흡 및 교통인프라 사업추진 지연, 교통체계 효율화를 위한 관련 법률 및 계획수립 역량의 부족과 같은 세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3장에서는 베트남의 ODA 수원체계와 주요 공여기관인 6개 은행의 개발협력 사례와 같은 국제사회의 베트남 개발협력 현황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현재 베트남 정부는 우대차관의 도입 및 PPP 사업과 같은 ODA 관련 법령 제정을 주도적으로 교통부문에 대한 개발협력을 우선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현재 베트남 교통분야에 대한 전체 ODA의 약 95%(128억 9,226만 달러)를 지원하고 있는 주요 국제기구와 공여국(세계은행, ADB, 한국, 일본, 프랑스, 독일)의 지원현황을 수집하여 이를 분석하였고, 나아가 주요 공여국에는 포함되어 있진 않지만 베트남의 양랑일권 사업과 밀접하게 연관된 일대일로 사업을 진행 중인 중국의 개발협력 사례도 조사하였다. 3절에서는 조사된 국제사회의 개발협력 자료를 비교ㆍ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베트남과 교통분야 개발협력을 추진함에 있어 베트남 내의 수요뿐만 아니라 개발협력 파트너들의 원조계획을 세밀히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4장의 한국과 베트남 간 협력 현황 분석에서는 한ㆍ베 금융협력협약(2014)과 교통분야 DEEP(Development Experience Exchange Partnership Program) 사업 시행을 분석하였고, 2018년 베트남 하노이 정상회담 이후 한국교통연구원이 공동 운영하고 있는 협력센터를 통해 베트남의 교통사업 지원 및 교통물류 인프라 개발을 위한 협력 현황을 파악하였다. 개발협력 방안 분석에서는 베트남 교통부문 국가협력전략, 연도별 시행계획 및 기관별 협력 현황 및 전략 등으로 구분하여 검토한 결과, 한국의 첨단 IT 기술을 활용한 지능형교통체계(ITS) 및 도로교통시스템을 지원하여 베트남의 도시 경쟁력과 주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기관별 협력 현황의 경우 KOICA, 국토교통부, 국제개발사업협의회 등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는데, 대부분이 교통분야에 대한 지원이 베트남의 지역개발에 실절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후속사업 연계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한국의 국토교통 분야에 대한 경험 및 지식 공유와 현지조사를 통한 정부의 프로그램 발굴 및 추진계획에 대한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현재 베트남은 중소득국으로의 진입에 따라 양허성이 높은 ODA 자금 지원 완료, 국가 공공부채의 상한선 도달로 인한 정부의 재원조달 부족, ODA 관련 총리령으로 인해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나 타당성조사의 착수 전 재원조달 방안을 우선 수립해야 하는 등의 어려움이 있어 ODA 기술협력이 실질적으로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 대한 인식과 상기 조사된 바를 기반으로 한국 정부의 베트남 협력전략에 부응하고, 베트남의 국제개발협력 및 투자정책 방향과 일치하며, 국제사회의 베트남 협력전략과의 차별화 및 베트남의 교통인프라 개발정책의 수요에 대응하여 베트남의 교통분야 개발협력 전략 및 방향과 부문별 협력방안을 5장에서 제시하였다. 또한 한국과 베트남 간 개발협력의 중장기적인 추진전략으로는 협력사항별로 5가지의 목표를 설정하여 각 추진전략을 제안하였는데, 첫째, 체계에 대해서는 협력체계의 강화 및 협력의 틀 마련, 둘째, 유형에 대해서는 협력유형의 다변화ㆍ융복합화ㆍ전문화, 셋째, 방법에 대해서는 협력방법의 다양화, 넷째, 내용에 대해서는 협력 내용의 다각화ㆍ내실화ㆍ모듈화, 다섯째, 주체에 대해서는 협력체계의 지속성 강화를 협력 목표로 설정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development cooperation plan that meets the development needs of Vietnam's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The current status and demands of development in Vietnam's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were analyzed in consideration of development cooperation trends between Korea and Vietnam, and the direction of cooperation in transportation sector development are proposed as well. Our proposals are based on an analysis of assistance from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major donor countries. To this end, local data on policies and future plan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sector were collected from visiting various related agencies located in Vietnam, such as the Ministry of Transport in Vietnam, Department of Transport in Hanoi, and Hanoi office of KOICA located in Vietnam. Also, field research was performed by holding workshops and invitational workshops to identify the needs of Vietnam government in terms of developing the transportation sector, and to collect the latest data in Vietnam. During our field researc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government officials at the Ministry of Transport.
   In the first Chap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ts background, review of pre-research and research method are presented.
   Chapter 2 identifies the development status and development demand of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in Vietnam based on an analysis of the overall national development strategy in Vietnam, economic trends and prospect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of UN, and the status of the promotion system by transportation sector, and also focuses on presenting implications for development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Vietnam. In order to develop the plan, it is necessary to identify various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development goals such as socio-economic development goals based on the national development strategy of Vietnam, factors favorable and unfavorable to Korea according to economic trends, and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of the UN. Following this, the status of development and related policies by transportation sector such as roads, railways, airports, ports, urban transport and logistics were reviewed and analyzed based on various statistical data collected by Korean and Vietnamese experts. As a result, the following three implications were identified: an absolute shortage in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corresponding to economic growth, insufficiency of mid- and short-term plans and delayed implementation of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projects, and the lack of related laws and planning capacity to establish efficient transportation systems.
   The third Chapter surveyed the current status of cooperation in transportation development as they relate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Vietnam, and reviewed the case of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conducted at six banks, which serve as the major donors in Vietnam, and the ODA system of Vietnam. Our analysis showed that currently the Vietnamese government is promoting development cooperation in the transportation sector with the introduction of preferential loans and the establishment of ODA-related laws such as PPP projects. In addition, the status of support by major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donor countries(World Bank, ADB, Korea, Japan, France, and Germany), currently supporting about 95%(12.89 billion US dollars) of the total ODA in Vietnam’s transportation sector, were analyzed. Furthermore, the case of China’s Belt and Road Initiative, which is not included in major donor countries but closely linked to Vietnam’s Two Corridors and One Economic Circle, was investigat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data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it became clear that not only the demand in Vietnam but also the assistance plans of developing cooperation partners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when promoting international cooperation for transportation development in Vietnam.
   Chapter 4 analyzed the implementation of the Korea-Vietnam Financial Cooperation Agreement (2014) and the Development Experience Exchange Partnership Program (DEEP) projects in the transportation sector, also identifying the status of support for transport projects and cooperation in the sector. In particular, we follow the progress of transport logistics infrastructure projects in Vietnam coordinated through the cooperation center jointly operated by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after the 2018 Hanoi summit in Vietnam. Based on the results of our analysis of the country partnership strategy for Vietnam, annual implementation plans, and cooperation status and strategies by institutions, we propose a strategy to support an Intelligent Traffic System(ITS) and road transport system using Korea’s advanced IT technology. Our analysis of the status of cooperation by institutions showed that links to follow-up projects are needed to effectively support regional development by cooperating in the transportation sector. These results, therefore, suggest the need to share experiences and knowledge in the Korean land and transport sector and to pursue government programs and promotion plans based on solid field research.
   Finally,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preceding chapters, Chapter 5 presents the strategies and directions for development cooperation in Vietnam’s transportation sector and cooperation plans by sector. The strategies were proposed in response to the Korean government’s country partnership strategy for Vietnam, Vietnam's current direction in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investment policy, differentiation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strategies for Vietnam, and the demands of Vietnam's transport infrastructure development policy.
   The mid-to long-term strategies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Vietnam proposed in this study by the area of cooperation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establishing an effective system, strengthening the cooperation system and establishing a framework for cooperation should be considered a critical principle; second, the types of cooperation should be diversified, converged, integrated, and specialized; third, cooperative methods should be diversified, through collaboration by agencies; fourth, the contents of cooperation should be diversified, internalized, and modularized; and fifth, the agents of cooperation should pursue strengthening the sustainability of the cooperative system.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주요 내용 및 한계
3. 선행연구 검토 및 차별성
4. 연구의 수행방법


제2장 베트남 교통분야 개발 현황과 개발수요
1. 베트남 국가개발전략 및 교통분야 추진체계
2. 베트남 교통분야 개발 현황 및 정책
3. 교통분야 개발협력에의 시사점


제3장 국제사회의 베트남 교통분야 개발협력 현황과 분석
1. 베트남 ODA 수원체계
2. 국제사회의 베트남 교통분야 개발협력 현황
3. 국제기구 및 주요 공여국의 교통분야 개발협력 비교 분석


제4장 한국과 베트남의 교통분야 협력 현황과 과제
1. 경제협력 현황
2. 개발협력 현황 및 협력방안
3. 교통분야 개발협력 종합검토


제5장 한국의 베트남 교통분야에 대한 개발협력 방안
1. 교통분야 개발협력 전략 및 방향
2. 교통분야 개발협력 부문별 협력방안


제6장 요약 및 정책제언
1. 요약
2. 정책제언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282
판매가격 10,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중국종합연구 한중 탄소중립 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2023-12-29 중국종합연구 2023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3-12-29 중국종합연구 탄소중립 시대 중국 동북지역 한중 지역개발 협력방안 : 중국 지린성을 중심으로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한-인도 해운·항만산업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아세안 주요국의 난민지원정책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2023-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중동·북아프리카 식량위기에 대한 역내 인식과 대응 및 협력방안 2023-12-27 단행본 만화로 보는 세계경제 2023 2023-12-23 세계지역전략연구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주요국의 탈탄소 정책과 청정에너지부문 협력 방안 2023-11-29 연구자료 동지중해 천연가스 개발 현황과 한국의 협력 방안 2023-10-20 연구보고서 경제안보 이슈의 부상과 대외협력 방향 2022-12-30 연구보고서 인도의 주별 인구구조 변화가 노동시장과 산업별 고용구조에 미치는 영향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주요국의 대남아시아 경제협력전략과 정책 시사점: 중국, 일본, 인도를 중심으로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전략 경쟁 시대 글로벌 기업의 대응과 중국진출 한국기업에 대한 시사점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일본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일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한국-동남아 가치사슬 안정화를 위한 메콩지역 협력 방안 연구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아세안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아세안 협력 방안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중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중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자료 방글라데시 기후변화 영향 분석 및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인도의 신·재생에너지 시장 및 정책 분석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경쟁 하 중남미의 GVC 참여와 RVC 구축 연구 2022-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