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보고서 전략적 제휴와 기술혁신의 국제화 기술협력

저자 홍유수 발간번호 94-01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1994.01.31

원문보기(다운로드:821)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기술혁신이 가속화되면서 세계적인 기술경쟁이 격화되고 있으며 국제분업도 고도화되고 있다. 이러한 국제분업체계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기업국제화의 필요성과 더불어 경쟁력의 핵심요소인 기술력의 향상을 위한 국제적인 전략적 제휴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미국-유럽-일본의 삼극적 전략적 제휴를 중심으로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기술경쟁의 격화와 이를 타개하기 위한 새로운 전략으로서의 전략적 제휴의 의의, 특성, 동향 등을 조사/분석하여 한국기업의 전략적 제휴 강화에 도움이 되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전략적 제휴는 세계적 추세인 기업경영 국제화의 핵심전략이 되고 있다. 이자간, 일방적 제휴의 특성을 가진 과거의 제휴와 달리 전략적 제휴는 다자간, 쌍방적 제휴의 특징을 가지며, 특히 기업외부의 경영자원을 일정한 기간, 일정한 목적하에 활용하려는 전략적 특성을 가진다. 전략적 제휴의 동기는 ① R&D 비용 및 위험의 분산, ② 신공정 및 신제품의 신속한 개발 및 확보, ③ 경영자산의 공유, ④ 시장 진입 및 확대, ⑤ 규모의 경제 실현, ⑥ 경쟁방식의 조정 등 매우 다양하다. 제휴의 형태도 과거에는 생산, 판매제휴가 위주였으나, 최근에는 조달, 기술, 생산, 판매 등 경영의 전 과정 및 전 영역을 포함하고 있으며, 참여기업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매우 복잡한 국제적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전략적 제휴가 가장 활발한 산업은 전자, 통신, 컴퓨터, 반도체, 자동차, 항공기 등 첨단기술산업분야이며, 공동기술개발, 교차라이선싱 등 기술제휴의 비중이 가장 높다. 그 이유는 첨단기술의 개발주기가 빨라지고, R&D 투자규모가 증대하고 있어 기업들이 제휴를 통해 위험과 비용을 경감시키기를 원하기 때문이다. 세계의 전략적 제휴는 미-일-유럽 등 삼극간에 집중되어 있으며, 거대한 기술력과 자본력을 가진 선진국 대기업간에 가장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제휴는 중소기업이 특유한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술집약기업이거나 OEM을 담당할 수 있는 생산능력을 보유한 기업인 경우에 대부분 대기업의 주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선진국 기업 위주의 전략적 제휴는 개도국 기업들에 대한 진입장벽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세계 전체로서는 기술과 자본의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전략적 제휴는 손실과 이득을 동시에 수반한다. 각국 정부는 전략적 제휴의 이득이 손실보다 크다는 인식하에 독과점규제법규나 공정거래법규를 느슨하게 적용함으로써 기업의 전략적 제휴를 간접적으로 조장하는 기업환경을 조성하거나, 국가가 관여하는 공동기술개발프로그램을 형성하여 직접적으로 기업간의 기술제휴를 비롯한 각종 형태의 제휴를 유도함으로써 전략적 제휴를 강화하는 정책을 사용하고 있다.한국기업의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경영의 국제화와 기술혁신능력의 제고가 필요하다. 종래와 같은 라이선싱에 의한 첨단/고급기술의 도입이 점차 어려워지고 있으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전략적 제휴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전략적 제휴는 또한 기업경영 국제화의 핵심적 전략이기도 하다. 특히 기술선진국들이 추진하고 있는 전략적 기술제휴 네트워크에 참여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독자적 개발이 불가능한 차세대 첨단기술의 획득이 차단될 우려도 있다. 세계시장과 경영자원을 활용하지 못하면 그만큼 경쟁우위를 상실하게 된다. 선진국 기업의 입장에서 볼 때 반도체, 자동차, 전자산업 등 일부 산업을 제외하면 한국기업은 전략적 제휴의 대상이 되기에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이미 제휴가 추진되고 있는 분야를 강화하는 동시에 비교렬위에 있는 분야에 대한 대책수립이 시급하다. 특히 한국과 경쟁관계에 있는 대만-싱가포르-홍콩 등이 전략적 제휴 면에서 한국을 앞서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필요하다. 선진국에 대해서 한국이 비교우위를 가질 수 있거나 대등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소수의 첨단산업에 집중하도록 하여야 한다.

한편 한국기업은 후발개도국에 대해서 제공할 수 있는 보완적 경영자산 및 노하우, 기술, 자본 등을 많이 가지고 있다. 지금까지의 한국의 해외진출은 동남아와 중국에 집중되어 있으며, 과거 선-후진국간의 일방적, 이자간 제휴의 형태에 머물러 있고 전략적 제휴의 범위에 드는 제휴의 수는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한국의 향후 개도국 진출은 한국이 비록 첨단기술분야에서의 비교우위는 선진국에 비해 미흡하나 후발개도국에 보다 적정한 중급기술, 생산기술 등에서는 유리한 위치에 있으므로 이를 충분히 활용하는 전략적 제휴를 추진하는 방향으로 전개될 필요가 있다.

반도체의 경우와 같이 한국기업들의 제휴는 주로 OEM에서부터 시작하여 도입기술과 생산력의 결합, 국내/외시장과 외국자본 및 국내생산력의 결합을 목적으로 한 합작투자, 자체기술 개발력의 향상에 의한 세계적 기업들과의 전략적 제휴로 발전하는 과정을 밟아왔다.한국의 전략적 제휴는 반도체, 전자/통신산업, 자동차, 기계산업 등에서 상대적으로 활발하였으며, 최근에는 반도체의 예에서 보듯이 한국의 기업들이 선진국 기업들과 상당히 대등한 위치에서 제휴를 맺는 사례도 생기고 있으나 많은 한국기업은 외국기업에 대해 수동적인 제휴관계에 놓여 있다. 그 근본적인 이유는 한국기업들이 전략적 제휴의 요체인 상호교환이 가능한 보완적 자산들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고 있고, 특히 자체기술력이 모자라기 때문이며, 제휴관리의 경험도 일천하기 때문이다.최근 기업경영의 국제화와 전략적 제휴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는 것은 매우 바람직한 현상이라 하겠다. 전략적 제휴의 가장 큰 동기와 목적은 외국기술과 시장의 활용이지만, 이를 활용하기 위해서도 상당한 자체기술을 보유하고 있지 않으면 안된다. 전략적 제휴에 참여할 수 있는 최소한의 기술력 확보를 위해서도 기업들은 자체기술개발이 주력하여야 한다. OEM 수주의 경우도 단순한 생산에 머물러서는 큰 발전이 없고 그것을 기술습득 및 자체 제품개발의 기회로 활용하여야 한다. 외국기업과의 전략적 제휴에 앞서 국내 기업간 전략적 제휴를 활성화함으로써 경쟁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전략적 제휴 관리에 대한 능력과 경험을 축적하여야 한다.

정부가 촉매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상업화 이전단계의 대형 공동기술개발프로그램은 주로 첨단기술산업분야에 종사하는 대기업간에 추진되고 있는데 개발성과를 자신들의 이익만을 위하여 홍보하는 등 협력자세의 미비 및 운영상의 미숙 등이 노출되고 있어 보다 적극적인 협력자세로의 전환이 요구된다. 외국기업과의 전략적 제휴에 있어서도 협력선과 협력사업의 신중한 선택과 아울러 장기적/지속적인 관계 유지/발전이 필요하며 신뢰구축 등 제휴관리능력의 축적이 요구된다.한국기업의 전략적 제휴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먼저 전략적 제휴를 경영전략의 핵심으로 인식하여 장기적인 관점에서 단계화하여 추진하되 최적 대안을 선정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하며, 제휴선 및 제휴수단은 다변화하도록 하여야 한다.

한국기업의 국제화의 수준을 보면, 현재 OEM 수출단계에 대부분이 처해 있으며, 일부 대기업 및 중소기업만이 자가브랜드수출, 해외직접투자에 진출하고 있고 세계적 차원에서의 해외생산거점의 네트워크화라든가 세계적 규모의 현지화 등은 미흡한 형편이다. 해외 R&D 거점도 미국과 일본에 소수의 대기업만이 확보하고 있는 실정이며, 국내 R&D 부문의 개방도 지지부진하다. 민간과 정부가 협력하여 기술혁신의 국제화 및 기업경영의 국제화를 강력히 추진하지 않는다면 한국의 세계의 주류에서 도태될 가능성마저 있다. 아시아의 한국의 경쟁대상국인 대만과 싱가포르의 경우에는 한국보다 훨씬 더 적극적으로 기술혁신 국제화와 전략적 제휴를 추진하고 있는바 한국기업과 정부의 분발이 요구된다. 해외진출 및 기술혁신의 국제화를 위해서 보다 장기적인 국제화전략을 수립하고 그 핵심전략으로서 전략적 제휴를 활용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각 지역, 시장 및 기업들에 대한 정보 수집/분석 기능이 강화되어야 한다. 한편 한국기업의 해외진출을 위해서는 정보의 제공, 해외투자규모의 허용도 확대, 현지 금융의 활용 등 보다 적극적인 정책을 사용하여야 한다. 특히 중소기업의 전략적 제휴 강화를 위해서는 정보 제공, 대기업과의 제휴에 대한 권장 및 유인의 제공 등이 필요하다.전략적 제휴란 민간주도하에 추진되는 것이므로 정부의 정책적 개입의 여지가 많지 않으나, 정부는 한국기업의 국제화와 외국기업의 한국진출 및 제휴 강화/확대를 장려하는 각종 직/간접 지원정책을 사용할 수 있으며, 현재의 각종 부정적 규제정책을 긍정적 규제완화정책으로 신속히 전환함으로써 신경제정책의 취지에 부응하도록 하여야 하겠다.정부는 무엇보다도 우선 민간부문 전략적 제휴의 활성화를 위한 기업환경 및 여건 조성에 기여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공정거래법은 국내기업간의 전략적 제휴를 제한할 정도로 엄격히 운용되고 있지 않으나 기술료 지급의 제한 등 외국기업과의 제휴를 억제하는 요인이 다소 포함되어 있다.

전략적 제휴를 촉진하는 방향으로 규제정책을 전환하는 동시에 제휴 허용의 범위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정부가 촉매역할을 하는 공동기술개발사업의 수를 더 늘리고 UR 등 국제적 규범에 저촉되지 않는 한 지원규모를 확대함으로써 공동기술개발사업을 중심으로 한 국내기업간의 전략적 제휴를 증대시키며, 선진국의 다자간 국제 공동연구개발프로그램에 한국기업도 참여할 수 있도록 과학기술외교를 강화하여야 한다. 현재 추진하고 있는 주요국과의 쌍무적 산업기술협력도 대상국을 좀더 다변화하고 기업간 전략적 제휴가 촉진될 수 있는 사업내용을 많이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최근 정부의 외국인직접투자 유치를 위한 획기적인 조치들과 UR에 의한 시장개방으로 인해 보다 많은 외국기업의 대한진출이 예상된다. 외국기업들과 국내기업들간에 대등한 전략적 제휴가 강화될 수 있도록 한국기업들의 협상력을 제고시키는 동시에 지적재산권 보호의 강화, 공정거래법의 합리적 적용 등을 통해 외국기업과 한국기업에게 모두 유인을 제공하도록 하여야 한다. 아울러 정부 부처내에 기업의 제휴를 지원하고 동향파악 및 정보분석을 담당하는 기능을 보강하여야 한다. 전략적 제휴에 관한 국내기업들의 인식과 정보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이 분야에 대한 연구와 홍보가 절실하며, 선진국 및 경쟁국의 전략적 제휴 동향에 대한 정보수집/확산 등이 정부의 지원하에 추진되어야 할 과제이다. 이 분야에 대한 국내 통계조차 없는 현실에서 정부의 정책방향을 논의한다는 것 자체가 무리이기 때문이다.한국기업에 있어서 전략적 제휴는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새로운 분야라고 할 수 있다. 이를 뒷받침하는 연구가 매우 일천한 것이 현실이기 때문에 한국기업들의 전략적 제휴의 강화를 뒷받침하기 위해서 이에 대한 보다 정확한 현황분석을 비롯하여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As technological development in Korea has been deepened, technological competition has increased and international division of labor has advanced. This study researches and analyses the significance, special features and movements of strategic alliances as a new strategy to prevent excessive competition with the U.S., Europe and Japan. It also looks at ways to strengthen Korea's strategic alliances.

Strategic alliances are motivated by: 1) diversification of R&D investment and risk; 2) swift development and security for new processes in manufacturing; 3) joint ownership of corporate assets; 4) market entry and enlargement; 5) realization of economies of scale; and 6) adjustments as a competitive process. While the alliances of the past were aimed at production and sales, strategic alliance has a multilateral and bilateral focus and is inclusive of all the management process, including supply, technology, production and sales, with particular focus on making use of international management resources. Strategic alliances are becoming essential for the globalization of corporate management. The most active industries for strategic alliances are those concerned with up-to-date-technology such as electronics, communications, computers, semiconductors, cars and aircraft. Of them, a technical tie-up such as the development of joint technology and cross-licensing is given much weight in the total partnership. Since the cycle of up-to-date-technology development is narrowing, companies want to decrease the risk and cost of R&D investment.
머리말

Ⅰ. 序論
1. 硏究의 目的
2. 戰略的 提携의 意義
3. 硏究의 方法

Ⅱ. 戰略的 提携의 理論
1. 戰略的 提携의 背景과 槪念
2. 戰略的 提携의 形態
3. 戰略的 提携와 産業組織
4. R&D의 국제화와 戰略的 技術提携

Ⅲ. 先進國의 戰略的 提携 및 技術革新의 國際化
1. 戰略的 提携의 趨勢와 特性
2. 日本의 戰略的 提携
3. 主要 産業別 戰略的 提携와 政府의 役割
4. 技術革新의 國際化와 示唆點

Ⅳ. 韓國의 戰略的 提携와 技術革新의 國際化
1. 韓國企業의 戰略的 提携 現況
2. 韓國企業의 技術革新 國際化 現況
3. 戰略的 提携와 技術革新 國際化의 經營戰略
4. 政府의 役割과 主要 政策課題

Ⅴ. 要約 및 結論

參考文獻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200
판매가격 5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중국종합연구 중국의 ESG 추진 현황과 한·중 정책 비교 및 대응방향 2023-12-29 연구보고서 ODA 사업의 유형별 평가방법 연구: 기술협력 사업을 중심으로 2022-12-30 연구자료 특허자료를 이용한 중국으로의 지식 확산 경로 분석 연구 2018-12-28 연구자료 한국ㆍ베트남 환경교육협력방안 연구(Ⅰ): 공무원 환경교육 프로그램 작성 및 시범운영 2010-12-30 연구자료 한·중미 IT 산업협력 확대방안 2010-12-30 연구자료 한·중미 중소기업협력 확대방안 2010-12-30 연구자료 인도 권역별 진출환경 평가: 서부 2010-12-30 연구자료 인도 권역별 진출환경 평가: 북부 2010-12-30 연구자료 인도 권역별 진출환경 평가: 동부 2010-12-30 연구보고서 Challenges for APEC in 1997 : A Canadian Viewpoint 1997-12-12 연구보고서 표준ㆍ적합 및 기술장벽 : EU의 경험과 APEC에의 시사점 1996-12-28 연구보고서 공동연구개발과 국제적 라이센스 계약에 관한 주요국의 경쟁정책 1995-11-29 연구보고서 기술표준의 국제적 현황과 정책시사점 1994-12-30 연구보고서 기술장벽에 대한 국제적 논의와 대응방안 : 표준ㆍ기술규정ㆍ인증 등 관련 제도를 중심으로 1991-12-30 연구보고서 韓ㆍ中ㆍ日 IT산업의 戰略的 提携 현황과 향후 전략: 知識連繫를 중심으로 2002-12-30 지역연구시리즈 남북통일에 대비한 정보통신정책 협력방안 2001-12-30 APEC Study Series Digital Divide in the APEC: Myth, Realities and A Way Forward 2000-12-30 APEC Study Series Digital Divide in the APEC: Myth, Realities and A Way Forward 2000-12-30 연구자료 한·러 경제교류 10년의 평가와 러시아 경제의 미래 2000-09-27 연구보고서 21세기를 향한 한.일간 기술분업과 기술협력의 기본방향 1993-12-31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