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연구자료
따라서 본 연구는 인도의 지역적 특색을 파악하기 위해 각 지역별 기초자료를 수집하여 지역별 진출환경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인도를 지역별로 동부, 서부, 남부, 북부 권역으로 나누고 각 권역 안에 속하는 주요 주들을 중심으로 심층적 진출환경 조사를 실시한다. 또한 그 외의 기타 주들에 대해서는 기초적인 진출환경 조사를 실시하였다.
기업들의 해외 진출 시 요구되는 정보는 기업별, 업종별로 매우 다양하고 세부적이기 때문에 모든 정보를 조사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사가 가능한 거시적인 관점에서 공통적으로 필요한 진출환경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에 본 연구는 각 권역별 주요 조사항목을 선정하기 위해 BMO(Bruce Merrifield-Ohe) 테스트, 시장불완전가설(Market Imperfection Hypothesis, Hymer 1976), 내부화이론(Internalization Theory, Rugman 1986), 절충이론(Eclectic Approach, Duuning 1988), UNCTAD (2006)의 해외진출 요소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진출환경 평가를 위한 조사항목 및 요소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조사항목 중 첫 번째는 진출 기본환경이며, 이를 5개의 소주제로 재분류하였다. 5개의 소주제는 역사·문화적 환경, 정치적 상황, 경제동향 및 전망, 인프라현황, 자원현황이다. 두 번째는 생산환경과 시장환경이다. 생산환경은 산업구조, 산업단지 현황, 노동공급현황 등 생산요소로 세분하여 조사하였으며, 시장환경은 각 주별 소득수준과 지출수준 등을 조사하였다. 세 번째는 정책 및 개방환경으로 이를 파악하기 위해 각 주별 투자 인센티브 등을 조사하였으며, 이와 아울러 주별 개방정도에 대해 조사하였다. 네 번째는 이러한 조사를 바탕으로 각 권역의 진출위험과 과제에 대해서 분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각 권역별 평가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조사 진행과정은 크게 3단계로 구분된다. 1단계에서는 조사항목의 선정을 위해 권역별, 주별 자료를 조사 및 정리하였다. 2단계에서는 지역별 생산환경과 시장환경 조사를 위해 13개 주에 대한 인도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 마지막 3단계에서는 정책 및 위험 요소의 파악을 위해 인도 현지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간담회를 통하여 인도 전문가들과 인도에 진출해 있는 우리 기업들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또한 자료의 질적인 면을 높이기 위하여 본 연구에 사용된 각종 지도를 직접 제작하였으며, 사진들도 실사를 통해 직접 촬영한 최신 자료를 사용하였다. 그래프와 표 또한 직접적인 인용보다는 다양한 분석과 비교를 통해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연구방법을 통하여 동부, 서부, 남부, 북부 4권의 시리즈를 제작하였으며, 이 중 본 보고서는 서부권역에 대한 진출환경 평가를 다루고 있다. 즉 본 보고서는 서부권역의 마하라쉬트라(Maharashtra), 구자라트(Gujarat), 고아(Goa) 지역에 대한 진출환경 평가를 담고 있다.
서부권역 중 마하라쉬트라와 구자라트는 인도의 제조업을 이끌고 있는 대표적인 주들이며, 인도 전체 제조업의 절반을 이끌어 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2차 산업의 핵심지역이다. 마하라쉬트라는 인도 전체 경제규모의 13.3%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다른 주들과 큰 차이로 1위를 차지하였으며, 외국인직접투자 유입액 역시 1위로 인도 전체 외국인직접투자 유입액의 1/5을 차지할 정도로 외국기업의 투자 선호도가 높다. 서부권역은 인프라 부분도 인도 전체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인도에서 가장 큰 위험요소로 작용하는 전력 공급이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있어 이 부분에 대한 위험도가 거의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생산환경 부분 중 산업구조는 마하라쉬트라와 구자라트의 1차 산업 비중이 인도 전체에서 각각 3위와 4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마하라쉬트라는 2차와 3차 산업의 비중이 인도 전체에서 1위로 평가되었다. 서부권역은 인도의 다른 주들이 이 지역의 산업단지를 벤치마킹할 정도로 산업단지가 잘 발달되어 있다. 하지만 마하라쉬트라는 이미 대도시 인근 산업단지에는 가용부지가 부족한 실정이다.
시장환경은 고아의 1인당 소득이 인도 전체 평균의 3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나 가장 부유한 주로 평가되었다. 정책적 부분은 고아가 주내총생산 대비 교역량이 3배나 되어 경제규모에 비해 대외거래가 매우 활발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진출위험에 대한 부분에서는 마하라쉬트라의 뭄바이(Mumbai) 지역이 법적 문제의 처리속도가 인도 전체에서 가장 느린 것으로 나타나 이 부분이 위험요소로 평가되었다. 구자라트 지역은 경제성장의 속도가 빠르기는 하지만 종교적 갈등 문제와 노사분규 등이 다른 지역에 비해 높게 나타나 유의해야 할 사항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ssessments on investment environments as well as basic information of Indian regional market. For the first step, we divided India into four parts; East, West, South, and North. And then, advanced market research for major states and basic market research for minor states was conducted according to four parts.
The study is comprised of Basic Investment Environments, Manufacturing & Market Environments, and Political & Economical Openness for each state. And analysis on risk factors and assignments of four parts were conducted based on above market research, and assessment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provided on the last part of each report. For this study, first of all, we collected and classified region-wise and state-wise information. Second, field researches for manufacturing environments and market environments were conducted for major 13 states. Last, in order to understand political environments and risk factors, we gathered opinions from Indian experts and Korean companies in India through interviews and meetings.
This report is a study on Western Part which includes Gujarat, Maharashtra, and Goa. States on the Western Part are major driving force of Indian Economy. Especially Gujarat and Maharashtra are major industrialized states in India and take half of Indian manufacturing industry.
In terms of economy scales, Maharashtra is the largest economy in India with 13.3% of Indian GDP. The FDI inflows into Maharashtra is about USD 14 billion from 1999 to 2007 and it is almost 20% of whole FDI inflows in India. Gujarat is newly industrializing state and very active to attract foreign investment.
In terms of manufacturing environments, Maharashtra and Gujarat are developing the largest number of industrial parks in India. Most of industrial parks in this region are equipped with the best level infrastructures in India and have good accessibility to other regions. As those industrial parks play important role in state export and economy, other states also started to develop industrial parks.
In terms of market environments, income and consumption level of people in western India are higher than other region. Per capita income of Goa is the highest level in India, and it is almost 3 times higher than Indian average.
However, there are also some risk factors in Maharashtra and Gujarat. For Maharashtra, lack of industrial sites near Mumbai and slow treatment of legal claim could be a problem. And For Gujarat, companies should keep in mind religious conflicts and labor disputes in the state.
국문요약
일러두기
약 어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방법
3. 서부권역의 특징
제2장 마하라쉬트라(Maharashtra)
1. 기본환경
가. 사회·문화·역사적 배경
나. 정치 현황
다. 경제 동향 및 전망
라. 인프라 현황
마. 자원 현황
2. 생산환경
가. 주요 산업 현황 및 전망
나. 주요 산업 단지 현황 및 입주 환경
다. 노동력 고용 현황
라. 토지 및 건물의 구입과 임대
3. 시장환경
가. 소득 동향
나. 소비 형태
4. 정책 및 개방 환경
가. 투자 인센티브 및 정책환경
나. 개방환경
5. 진출사례와 위험 및 과제
가. 사회·문화적 리스크
나. 경제·정책적 리스크
제3장 구자라트(Gujarat)
1. 기본환경
가. 사회·문화·역사적 배경
나. 정치 현황
다. 경제 동향 및 전망
라. 인프라 현황
마. 자원 현황
2. 생산환경
가. 주요 산업 현황 및 전망
나. 주요 산업단지 현황 및 입주환경
다. 노동력 고용 현황
라. 토지 및 건물의 구입과 임대
3. 시장환경
가. 소득 동향
나. 소비 형태
4. 정책 및 개방 환경
가. 투자 인센티브 및 정책 환경
나. 개방환경
5. 진출사례와 위험 및 과제
가. 사회·문화적 리스크
나. 경제·정책적 리스크
제4장 고아(Goa)
1. 기본환경
가. 사회·문화·역사적 배경
나. 정치 현황
다. 경제 동향 및 전망
라. 인프라 현황
2. 생산환경
가. 주요 산업 현황 및 전망
나. 주요 산업단지 현황 및 입주환경
다. 노동력 고용 현황
라. 토지 및 건물의 구입과 임대
3. 시장환경
4. 정책 및 개방환경
가. 투자 인센티브 및 정책 환경
나. 개방환경
제5장 종합 및 시사점
참고문헌
부 록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 185 |
---|---|
판매가격 |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