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EC에서 Digital Divide에 관한 논의가 한창이다. 많은 사람들은 Digital Divide가 회원국 간의 경제적 격차를 더욱 확대 재생산할 것이라고 염려한다. 많은 정책 대안이 제시되고 실행되고 있지만 정작 Digital Divide가 과연 존재하는가에 대한 의문을 던지고 이를 규명하려는 학문적 시도는 아직까지 없었다. 본 연구는 장기적, 진화론적인 관점에서 볼 때 우려할 만한 정도의 Digital Divide 가 APEC 에서 존재하는가 하는 의문을 던진다.
인터넷의 급속한 활성화가 최근 현상이며 자료가 불완전할 뿐만 아니라 인터넷 보급의 궁극적인 걸림돌은 통신망임에 비추어, APEC 내에서의 Digital Divide 를 규명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회원국들의 유선 통신망과 무선통신망 보급율에 대한 시계열 자료를 사용하고 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APEC 국가간의 격차는 여전히 상당한 정도 존재하지만 그 격차는 시간이 경과할수록 줄어들고 있다. 특히 유선 전화망에서의 격차는 더 급속히 줄어들고 있다. 경제성장과 통신망 성장이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는 점, 통신망보급이 S자 곡선 형태를 보인다는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갈수록 Digital Divide가 더 심해질 것이라는 일반적인 관측은 근거와 증거가 불충분한 주장이라고 결론을 내린다.
There is a growing concern about the 'Digital Divide' at the APEC. Many are fearful that Digital Divide would worsen the existing gap among the member economies. While many policy prescriptions are suggested and implemented, there is no academic attempt question the validity of the logic of Digital Divide. This paper offers a preliminary attempt to the question from an evolutionary and long-term perspective. Drawing on the time series data on the penetration ratio of fixed and mobile telecommunications lines from the APEC members, it is found that, whereas the current disparities are substantial, disparities in access to information infrastructure have been steadily decreasing and disparities are more rapidly bring declining in fixed network.
The paper concludes that there exist neither firm bases nor compelling evidences which point out the deepening of the Digital Divide over time.
I. Introduction
II. Asking right questions on Digital Divide
III. Access to Internet in the APEC
IV. Current Status of Information Infrastructure at the AP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