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연구보고서
목록으로
본 연구는 우리나라가 개도국에 대해 어떻게 중장기적으로 경제협력(economic cooperation)을 추진해 나갈 것인가 하는 방향 모색과 더불어 경제협력의 규모 및 형태, 경제 협력 진출 전략, 주요 지역별, 국가별 중점지원 대책등을 스케치해 보고 있다. 공적개발원조의 배경에는 나름대로 이론적 근거도 있고, 또한 주요선진제국의 실적도 있는 만큼 이론과 현황, 그리고 주요국의 경제협력 방향을 통해서 우리의 좌표를 모색해 보는 것이 순서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ways in which the Korea government can pursue the medium- and long-term policies for economic cooperation with developing countries. Together, it suggests the scale and formation of cooperation and its strategy by region and country through a comparison with developed countries.
The composi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Section II reviews the theoretical development of economic cooperation and its recent transformation. Section III examines the performance and direction of economic cooperation of advanced nations such as the United States, Japan, Europe, Canada and Australia. Section IV analyzes the problems and the current status of Korea's economic cooperation policy with developing countries. Section V suggests medium- and long-term policies for Korea's economic cooperation with developing countries.
The composi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Section II reviews the theoretical development of economic cooperation and its recent transformation. Section III examines the performance and direction of economic cooperation of advanced nations such as the United States, Japan, Europe, Canada and Australia. Section IV analyzes the problems and the current status of Korea's economic cooperation policy with developing countries. Section V suggests medium- and long-term policies for Korea's economic cooperation with developing countries.
I. 서론
II. 경제협력의 이론적 전개
1. 경제협력의 대표적인 거시이론
2. 경제협력에 있어 전환되고 있는 강조점: 기본수요충족과 구조조정
3. 1990년대에 당면한 주요경제협력 이슈
4. 우리나라의 대개도국 경제협력에 주는 시사점
III. 주요선진국의 대개도국 경제협력실적 및 방향
1. 총괄
2. 미국의 신개발원조
3. 일본의 유상중심 원조
4. 歐羅巴(英, 佛, 獨)의 최빈개도국중심 원조
5. 캐나다 및 호주의 새로운 접근
6. 우리나라의 대개도국 경제협력에 주는 시사점
IV. 우리나라의 대개도국 경제협력의 현황과 문제점
1. 우리나라의 현행 대외경제협력의 목적
2. 우리나라의 대외경제협력 현황
3. 우리나라 현행 대외경제협력의 문제점
V. 우리나라가 과도기적으로 취해야 될 몇가지 조치
1. 현행 우리나라가 원조 프조그램의 합리화 내지 효율화 방안
2. 우리나라가 시험해 볼만한 시범프로젝트
3. 국제개발금융기관과의 협조강화
VI. 우리나라의 대개도국 경제협력 중장기전략
1. 우리나라가 대외경제협력의 장기추진방향
2. 우리나라 대외경제협력의 중장기 추진전략
VII. 결론 및 요약
II. 경제협력의 이론적 전개
1. 경제협력의 대표적인 거시이론
2. 경제협력에 있어 전환되고 있는 강조점: 기본수요충족과 구조조정
3. 1990년대에 당면한 주요경제협력 이슈
4. 우리나라의 대개도국 경제협력에 주는 시사점
III. 주요선진국의 대개도국 경제협력실적 및 방향
1. 총괄
2. 미국의 신개발원조
3. 일본의 유상중심 원조
4. 歐羅巴(英, 佛, 獨)의 최빈개도국중심 원조
5. 캐나다 및 호주의 새로운 접근
6. 우리나라의 대개도국 경제협력에 주는 시사점
IV. 우리나라의 대개도국 경제협력의 현황과 문제점
1. 우리나라의 현행 대외경제협력의 목적
2. 우리나라의 대외경제협력 현황
3. 우리나라 현행 대외경제협력의 문제점
V. 우리나라가 과도기적으로 취해야 될 몇가지 조치
1. 현행 우리나라가 원조 프조그램의 합리화 내지 효율화 방안
2. 우리나라가 시험해 볼만한 시범프로젝트
3. 국제개발금융기관과의 협조강화
VI. 우리나라의 대개도국 경제협력 중장기전략
1. 우리나라가 대외경제협력의 장기추진방향
2. 우리나라 대외경제협력의 중장기 추진전략
VII. 결론 및 요약
판매정보
분량/크기 | 200 |
---|---|
판매가격 | 5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기본연구보고서
일본의 핵심광물자원 확보전략과 한ㆍ일 협력 시사점
2024-12-31
기본연구보고서
한-아프리카 자원 협력을 통한 핵심광물 확보 전략
2024-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인도의 데이터 거버넌스 분석과 한·인도 협력에 대한 시사점
2024-12-31
기본연구보고서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중앙아시아 글로벌 가치사슬 변화 전망과 한-중앙아 협력 시사점
2024-12-30
기본연구보고서
한국의 대중남미 통상환경 평가와 정책 과제
2024-12-30
기본연구보고서
걸프 국가의 아시아 중시 정책과 한국의 대응방안
2024-12-30
기본연구보고서
인도의 국영기업 주도 경제개발전략과 한국-인도 협력 방안
2024-12-31
세계지역전략연구
Exploring Urban Perception on Climate Change in Developing Countries
2024-08-29
기타
2023 KIEP 정책연구 브리핑
2024-06-28
기본연구보고서
대러 경제 제재가 러시아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한-러 경제협력 안정화 방안
2023-12-29
기본연구보고서
글로벌 경제안보 환경변화와 한국의 대응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인도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몽골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몽골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전략 추진을 위한 한-태평양도서국 중장기 협력 방안
2023-12-29
기본연구보고서
미중 기술경쟁 시대 중국의 강소기업 육성전략과 시사점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경쟁에 따른 아세안 역내 공급망 재편과 한국의 대응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남아공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자료
동티모르의 아세안 가입 지원 및 개발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멕시코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멕시코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호주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호주 협력 방안
2023-12-29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