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Working paper Leveraging Technology for Strategic Advantage in the Global Market : Case of the Korean Electronics Industry 산업정책

저자 홍유수 발간번호 93-07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1993.12.01

원문보기(다운로드:733)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오늘날 한국은 세계3대 소비전자제품 및 부품 생산국이다. 그리고 한국 전자제품은 세계 3대 규모의 산업이 되었다. 또한 소비전자제품의 3대 수출국이며 부품과 재수출을 포함하여 5위를 차지하고 있다.
1970년 한국은 세계시장에 55백만 달러 상당의 전자제품을 팔았다. 이십년이 지난 1992년 그 숫자는 세계 시장의 6퍼센트 이상을 차지하며 202억 달러로 급등하였다. 미국과 유럽연합의 증가하는 교역제한에도 불구하고, 한국이 제조한 개인용 컴퓨터와 VCR은 전체생산의 4분의 3이상을 수출하며 세계시장에서 상당한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방법론적인 문제
한국전자 산업이 명백한 후발주자 임에도 그렇게 성공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경향은 지속될 것인가? 한국이 경험한 특별한 경우로부터 다른 산업화 과정에 있는 나라들을 위해서 어떤 교훈을 제공할 수 있을까?
이러한 문제들이 본 연구에서 논의될 것이다. 주제와 관련해 이해를 돕기 위해, 우선 최근 한국 역사에서 전자산업이 다른 산업에 비해 특징적으로 달성한 부분을 이해할 것이다.
Today, Korea is the third largest producer in the world of consumer electronic products and components, and Korean electronics have become the world's third largest industry. It is also the third largest exporter of consumer electronics, but ranks fifth with the inclusion of components and re-exports.
In 1970, Korea sold 55 million U.S. dollars worth of electronics to the world market. In 1992, two decades later, that figure has skyrocketed to 20.7 billion U.S. dollars, over 6 percent of the world market. Despite growing trade restrictions by the U.S. and by the EC, Korean-manufactured personal computers and VCR's now occupy an impressive share of their respective markets all around the globe, with exports representing more than three-quarters of total production.

Methodological Questions
Why has the Korean electronics industry-an obvious latecomer-been so successful? Can this trend continue? And what lessons does this specific case provide, if any, for other industrializing nations?
These are the issues which will be discussed in this paper. But in order to gain a better appreciation for the complexities involved in these topics, one must first understand what has made the consumer electronics industry unique from other industries in recent Korean history.
Contents

I. Introduction

II. History of the Korean Consumer Electronics Industry

III.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the Korean Electronics Industry

IV. Technology Transfer and Technological Dependence

V. Concluding Remarks

References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27
판매가격 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기본연구보고서 자국 중심의 경제안보 전략 대응을 위한 프레임워크 구축방안 연구 2024-12-30 기본연구보고서 북미 3개국 주요 산업별 공급망 연계 강화 정책과 시사점 2024-12-30 기본연구보고서 EU의 기후중립 전략기술 육성 정책이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주는 함의 2024-12-30 기본연구보고서 걸프 국가의 아시아 중시 정책과 한국의 대응방안 2024-12-30 기본연구보고서 인도의 국영기업 주도 경제개발전략과 한국-인도 협력 방안 2024-12-31 연구보고서 글로벌 반도체 산업 경쟁력과 공급망 구조 분석 2024-12-27 기본연구보고서 해외직접투자가 기업의 지식재산권 확보와 성과에 미치는 영향 2023-12-29 기본연구보고서 미중 기술경쟁 시대 중국의 강소기업 육성전략과 시사점 2023-12-29 기본연구보고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EU의 '개방형 전략적 자율성' 확대에 미친 영향: 에너지 전환, 인적 교류, 안보 통합을 중심으로 2023-12-30 Working paper Industrial Policy, Rise of Skilled Labor, and Firm Growth in the Early Stage of Economic Development 2023-12-15 Working paper An Analysis on the Regional Integration of Northeast Asia by Developing NARCI (Northeast Asia Regional Cooperation Index) 2023-10-27 연구자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유럽 주요국의 에너지 위기 대응 정책 분석 2023-08-28 기본연구보고서 한국의 서비스무역 통계 개선 방안 연구 2022-12-30 연구자료 국제사회의 산업부문 탄소중립 추진 동향과 대응방향: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2023-05-28 기본연구보고서 코로나19 위기와 기업경쟁구도 변화: 과거 경제위기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2022-12-30 기본연구보고서 중국 도시의 녹색전환 정책과 시사점 2022-12-30 기본연구보고서 바이든 행정부의 글로벌 공급망 재편 정책과 시사점: 반도체 및 배터리 산업을 중심으로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인도의 농업 경쟁력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아프리카 문화콘텐츠 산업의 발전과 한국에 주는 함의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글로벌 보조금 규제의 새로운 현상: 역외보조금·기후변화 보조금·환율보조금 2021-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