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연구보고서
목록으로
2022년 2월 발발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국제 정치와 경제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 충돌은 전 세계의 공급망에 상당한 타격을 주었고, 특히 에너지와 자원 공급의 안정성에 대한 우려를 증폭시켰다. 이미 다양한 불안정한 상황을 겪고 있던 중동 및 북아프리카(MENA) 지역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식량안보의 불안정성이 심화된 것으로 평가된다. 분쟁 이전에도 인구 증가 및 난민 유입에 따른 식량 수요의 증가, 농업구조의 취약성, 그리고 지속적인 가뭄과 같은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농작물 생산이 감소하였다. 이런 내부적·외부적 요인들이 결합하여 MENA 지역의 식량안보를 위협하는 상황을 창출해왔다. 식량가격 상승은 2011년 소위 ‘아랍의 봄’의 정치적 불안정을 야기한 주요 원인 중 하나였다. MENA 지역의 상황은 국제 식량가격의 변동성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으며, 국제 경제의 불안정성도 이 지역의 식량위기를 악화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MENA 지역의 식량위기에 대한 현지의 인식을 분석하고, 각 국가의 대응과 국제사회와의 협력 양상을 규명함으로써 한국의 MENA 지역 식량안보 협력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특히 식량안보 측면에서 취약성이 높아 보이는 북아프리카 지역의 이집트, 튀니지, 모로코를 중점적으로 조사하였다. 레반트 지역에서는 레바논의 식량안보 위기를 파악하였으며, 걸프 지역에서는 UAE의 식량안보 현황 및 안정화를 위한 전략을 살펴보았다. 이렇게 북아프리카, 레반트, 걸프 지역별 사례 국가에 대한 심층 분석을 통해 MENA 지역의 식량안보에 대한 포괄적 이해를 제공하고자 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2장에서는 선정된 사례 국가들의 식량안보 위기에 대한 구조적 배경을 파악하고, 각국의 식량안보 정책을 분석한다. 연구대상 국가들은 식량 불안정성을 초래할 수 있는 지리적·기후적·사회경제적 조건을 지니고 있다. 사막화와 지속적인 가뭄으로 인한 수자원 부족, 낙후된 농업 기술로 인해 식량 생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UAE를 제외한 대부분 사례 국가들은 빈곤, 높은 실업률, 지속적인 난민 유입, 열악한 인권, 그리고 정치적 불안정 등의 사회경제적 요인과 식량안보 문제가 복합적으로 연계되어 있다. 따라서 규모와 자원의 측면에서 상이성이 나타나고 있을지라도, 연구대상 국가들은 식량안보 불안정성을 타개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들은 식량 자급자족 역량 강화, 구매력 향상을 위한 일자리 창출 프로젝트, 수자원 개발, 그리고 농업 가치사슬의 개선 등에 초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제3장에서는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MENA 식량위기에 대한 역내 인식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례국들의 식량위기와 정치·사회 불안정 간의 연관성을 규명한다. 구체적으로 공기어 분석 및 LDA 기반 토픽 모델링을 사용하여 식량위기와 관련된 핵심 이슈와 원인, 그리고 현상의 트렌드를 상세히 파악했다. 전통적인 미디어와 트위터 분석에 따르면 사례대상 국가들의 식량안보 인식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UAE의 경우 식량안보 주제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공유되고 있으며, 안정적인 식량 공급이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모로코는 중간 수준의 중립적 인식을 가진 것으로 드러났는데, 이는 식량 공급이 비교적 활발한 모로코 농업 분야의 안정성을 반영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반면 튀니지와 레바논에서는식량안보에 대한 높은 위기 인식을 표출하였는데 실제 다양한 분야에서 식량 불안정성이 나타나고 있다. 이집트의 경우 표면적으로는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지만 텍스트 마이닝에서 도출된 핵심 키워드와 제한된 언론 자유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실제 식량안보에 대한 위기의식이 온전히 투영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된다. 실질적으로 이집트는 높은 식량 수입 의존도와 낮은 자급률 등으로 인해 식량안보 불안정성이 큰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제3장의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제4장에서는 연구 대상국들의 식량안보 분야 협력방안을 살펴본다. 유럽연합(EU), 미국, 일본, 중국은 이 국가들과 다양한 식량 관련 협력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협력은 수자원 및 기후변화 대응 역량 강화, 식량생산 및 식량자급률 향상, 농업기술, 식량유통저장 개선 및 소규모 농민 지원, 원조 및 금융 지원 등 다양한 분야를 포괄하고 있다.
제5장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와 사례국가 간의 식량안보 협력방안을 제안하며, 마지막으로 제6장은 결론으로서 연구 결과를 요약하고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현재 우리나라의 MENA 지역 식량안보 협력 규모는 비교적 미흡한 수준이기에 지원 규모를 확대할 필요성이 있으며, 협력 과정에서 수자원과 에너지 분야의 유기적인 연계를 강화해야 한다. 또한 유통구조의 효율성을 높이고, 농업 가치사슬 개선을 위한 협력이 필요하지만, 현지 기득권층의 이해관계를 세심하게 고려한 장기적인 전략이 요구된다.
이외에도 MENA 지역의 식량생산 및 식량자급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농기계, 스마트팜, 아쿠아포닉스 농법과 농업 교육 확대와 같은 농업의 전문화와 기술력 강화를 포함한 다차원적 협력을 추진해야 한다. 또한 정부 차원의 지원과 국제기구, 민간기업과의 협력을 통한 식량 안전 네트워크 강화와 함께 취약국가와 취약계층에 대한 중정 지원방안을 모색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특히 정부와 민간협력(PPP)과 ESG 경영의 접목을 통해 지속가능한 ODA 환경을 구축해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노력이 효과적인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세계식량계획(WFP), 유엔식량농업기구(FAO)와 같은 국제기구와의 긴밀한 소통과 협력이 동반되어야 할 것이다.
Russia’s invasion of Ukraine in February 2022 had a significant impact on international politics and economics. This conflict dealt a significant blow to global supply chains, particularly amplifying concerns about the stability of energy and resource supplies.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MENA) region, already experiencing various instabilities, is estimated to have faced heightened food security concerns due to the Ukraine war. Prior to this conflict, factors such as population growth, refugee influxes, the vulnerabilities of agricultural structures, and the impacts of prolonged droughts caused by climate change had already reduced crop production. A combination of thes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has created a situation threatening the food security of the MENA region. Rising food prices were one of the main causes for the political instability known as the ‘Arab Spring’ in 2011. The situation in the MENA region is closely linked to fluctuations in global food prices, and the instability of the global economy is seen as a major factor exacerbating the region’s food crisis.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to analyze local perceptions of the food crisis in the MENA region, elucidate the responses of individual nations and their patterns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subsequently derive strategies for South Korea’s food security cooperation in the MENA region. Special emphasis was placed on the study of Egypt, Tunisia, and Morocco in North Africa, regions considered to be highly vulnerable in terms of food security. In the Levant, the food security crisis in Lebanon was assessed, while in the Gulf region, strategies for stabilizing UAE’s food security were explored. Through an in-depth analysis of these representative nations from North Africa, the Levant, and the Gulf, this research sought to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food security in the MENA region.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Chapter 2 describes the structural backdrop of the food security crisis in the selected case countries and analyzes their food security policies. These countries have geographic, climatic, and socio-economic conditions that could lead to food insecurity. Challenges such as desertification, prolonged droughts leading to water scarcity, and outdated agricultural practices hamper food production. Furthermore, with the exception of the UAE, socio-economic factors like poverty, high unemployment rates, continual influx of refugees, poor human rights, and political instability are intertwined with food security concerns. Despite their differences in resources and size, these countries are pursuing various strategies to address food security instability. These strategies focus primarily on enhancing self-sufficiency in food production, initiating employment projects to increase purchasing power, developing water resources, and improving agricultural value chains.
Chapter 3 employs text mining techniques to analyze intra-regional perceptions of the MENA food crisis and to establish correlations between food insecurity and socio-political instability. Specifically, using keyword analysis and LDA-based topic modeling, this chapter meticulously identifies core issues, causes, and trends related to the food crisis. Conventional media and Twitter analyses reveal considerable disparities in food security perceptions across these case countries. For instance, the UAE predominantly has a positive perception towards food security, reflecting a stable food supply. Morocco exhibits a moderate, neutral perception, possibly reflecting the stability inherent in its vibrant agricultural sector. In contrast, Tunisia and Lebanon demonstrate heightened crisis awareness and tangible food insecurity across various sectors. While Egypt seemingly projects a positive sentiment, a holistic analysis considering key text-mined terms and limited press freedom suggests a potentially underrepresented food security concern. Predominantly, Egypt’s high reliance on food imports coupled with its low self-sufficiency rate underscores significant vulnerabilities in its food security.
Based on the findings in Chapter 3, Chapter 4 examines potential collaboration avenues for food security with the target countries. The European Union (EU), the USA, Japan, and China are engaged in various food-related cooperation projects with these countries. Such cooperation includes areas such as strengthening capacity to respond to water resources and climate change, enhancing food production and self-sufficiency, agricultural technology, improving food distribution and storage, supporting small-scale farmers, and providing aid and financial support.
Chapter 5 proposes cooperation strategies for food security between South Korea and the case countri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n conclusion, Chapter 6 summarizes and comprehensively evaluates the research findings. South Korea’s current level of food security cooperation in the MENA region is relatively inadequate, emphasizing the need to expand support.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the effective linkage between water resources and energy in the cooperation process.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distribution structures and working together to improve agricultural value chains is necessary, but a long-term strategy that considers the vested interests of local elites is needed.
Moreover, to strengthen food production and self-sufficiency capabilities in the MENA region, multi-dimensional cooperation that includes professionalizing and enhancing the technological capabilities of agriculture, such as agricultural machinery, smart farms, aquaponics farming, and expanding agricultural education, is essential. Additionally, there’s a need to explore support measures for vulnerable countries and groups by strengthening the food security network through government support, cooperation with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private companies. Particularly, the integration of Public-Private Partnership (PPP) and ESG management to create a sustainable ODA environment is crucial. Close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with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the World Food Programme (WFP) and th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AO) are essential for these efforts to yield tangible results.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선행연구
3. 연구 방법론
4. 연구의 구성
제2장 MENA 식량안보 현황과 정책적 대응
1. 식량안보 현황
2. MENA 식량위기의 구조적 배경
3. MENA 식량안보 정책과 제도
제3장 MENA 식량위기에 대한 미디어 인식 분석
1. MENA 식량위기 분석 방법론
2. 북아프리카의 식량안보: 미디어와 대중인식
3. 레반트와 걸프의 식량안보: 미디어와 대중인식
제4장 주요국의 MENA 식량안보 분야 협력
1. 수자원 및 기후변화 대응 역량 강화
2. 식량생산 및 식량자급률 향상
3. 농업기술, 식량유통저장 개선 및 소규모 농민 지원
4. 원조 및 금융 지원
제5장 한국의 MENA 식량안보 분야 협력방안
1. 식량안보 지원 규모 확대 및 유기적 협력방안 마련
2. 장기적 차원에서 유통구조 개선 및 물류 협력 모색
3. 식량 자급자족 역량 강화를 위한 다차원적 협력 추진
4. 식량안보 취약국가·취약계층 중점 지원방안 마련
5. 식량안보 투자 활성화를 위한 정부-기업 협력 강화
6. 국제사회와 지속적인 국제공조 강화
제6장 결론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 193 |
---|---|
판매가격 | 7,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세계지역전략연구
Exploring Urban Perception on Climate Change in Developing Countries
2024-08-29
연구보고서
시진핑 시기 중국의 글로벌 영향력 강화 전략 평가와 시사점
2023-12-29
연구보고서
수출규제의 경제적 함의와 글로벌 공급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23-12-30
단행본
2023 KIEP 정책연구 브리핑
2024-06-28
단행본
미중갈등과 경제안보: 닉슨-저우언라이 회담록을 통한 교훈
2024-07-30
연구보고서
미국의 대중 반도체 수출통제 확대의 경제적 영향과 대응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대러 경제 제재가 러시아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한-러 경제협력 안정화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글로벌 경제안보 환경변화와 한국의 대응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인도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몽골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몽골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전략 추진을 위한 한-태평양도서국 중장기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 기술경쟁 시대 중국의 강소기업 육성전략과 시사점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경쟁에 따른 아세안 역내 공급망 재편과 한국의 대응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남아공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자료
중국 태양광·BESS 산업의 글로벌 시장 독점화와 주요국 대응
2023-12-29
연구자료
동티모르의 아세안 가입 지원 및 개발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멕시코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멕시코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호주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호주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시대 한ㆍ인도 경제협력의 방향과 과제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 서비스 산업 구조 분석과 한-인도 산업 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