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보고서 기후변화에 따른 아프리카·중동의 식량 안보 위기와 한국의 협력방안 ODA, 농업정책

저자 강문수, 한선이, 손성현, 김예진, 정민지, 박규태 발간번호 22-09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22.12.30

원문보기(다운로드:2,079)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에 따라 글로벌 농식품 공급망이 붕괴하면서 특히 아프리카ㆍ중동의 식량안보가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국제사회가 전쟁보다 더 주목하는 것은 기후변화로 인한 식량안보 위기 쪽으로, 실제로 가뭄, 홍수, 열해와 같은 기상이변이 빈번해지면서 아프리카 및 중동 내 식량 수급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2022년 1월 북아프리카에서는 가뭄이 심화되면서 대외 곡물 수입량이 늘어났으며 최근 몇 년 사이 동아프리카에서는 가뭄 발생이 빈번해져 작황이 악화되었다. 이에 따라 기후변화에 따른 식량안보 위기 대응을 위한 국제사회의 공조가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아프리카와 중동에 대한 기후 대응과 식량안보 및 농업 부문에서의 협력을 확대해 가야 할 것이다.

기후변화의 영향은 범분야 및 범국가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기후 회복력이 부족한 아프리카ㆍ중동의 개발도상국은 농업 및 식량 분야에서 기후변화의 영향에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는 그린 ODA 등의 형태로 농식품 분야에 대한 지원 규모를 확대함과 동시에 국제사회의 기후변화 대응 논의를 선도해갈 수 있는 정책을 펼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른 아프리카ㆍ중동 식량안보 위기에 대해 수급과 소비 측면에서 분석하고 협력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식량농업기구(FAO)는 식량안보를 “건강하고 활동적인 삶을 위한 개인의 식이상 필요(dietary needs) 및 선호를 충족할 수 있으면서, 안전하고 영양가 있는 충분한 양의 음식에 모든 사람이 항상 물리적ㆍ사회적ㆍ경제적으로 접근 가능한 상황”이라고 정의한다. 즉 식량안보는 작물 생산부터 소비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 걸쳐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농업 생산과 소비 양 측면에서 아프리카ㆍ중동의 식량
안보 위기 현황 및 식량불안의 원인, 그리고 대응 정책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아프리카 및 중동 지역에서 전반적으로 평균기온이 상승하고 있으며 특히 동아프리카와 북부아프리카를 중심으로 예년에 비해 기온 상승폭이 높게 나타난다. 그뿐 아니라 가뭄과 홍수 역시 빈번해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농업 생산에 지속적인 위협 요인으로 다가올 수 있다. 기후변화가 농업 생산에 미치는 영향은 점진적으로 나타나나, 식량농업기구(FAO), 세계식량프로그램(WFP) 등이 기후변화로 인한 기아 및 영양 부족 인구 증가에 대해 이미 경고하고 있다는 점은 기온 상승 및 빈번한 가뭄 발생이 아프리카ㆍ중동 지역에 점차 더 큰 외부적 충격으로 다가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아프리카ㆍ중동에서 가뭄이 빈번히, 그리고 심하게 발생할수록  옥수수와 쌀을 중심으로 농산물 가격이 상승한다. 아프리카 및 중동의 개발도상국은 수리답보다는 천수답 형태의 농업 생산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아 기상이변에 취약한 구조적 특성을 가진다. 또한 북아프리카를 제외한 대부분의 국가에서 옥수수, 쌀, 수수, 조 등 주곡의 자급률이 높은 데에 반해 비축 역량은 부족해 가뭄 발생 시 완충 역할을 할 수 있는 선택지가 많지 않다는 것이 아프리카와 중동 개발도상국이 가진 문제점이다. 2007~11년 사이 아프리카와 중동에서 식량가격 폭등이 정세 불안정을 야기했던 점, 그리고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에 따라 식품 인플레이션이 높은 국가를 중심으로 민심이 이반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기상이변이나 장기적으로는 기후변화에 따른 식량 가격 상승은 역내 정세 불안정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셋째, 가뭄이나 홍수와 같은 자연재해 발생이 빈번해질수록 영양장애, 발육부진과 같은 소비 측면에서의 문제점이 심화된다. 아프리카ㆍ중동 지역의 영양결핍 인구는 분쟁국(예를 들어 예멘, 이라크 등)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에 따라 지속가능발전목표의 2번 목표인 식량안보 및 지속 가능한 농업 강화 지표가 개선되었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으로 범위를 좁혀보면 특히 아프리카 내 식량위기 인구는 절대인구와 비중 모두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예를 들어 심각한 수준의 식량불안을 경험한 인구 비율은 2018년 최저점을 기록한 이후 급격히 증가했으며, 특히 서아프리카에서는 2014년 10.2%였던 식량불안 인구 비율이 2021년에는 20.7%로 두 배 이상 증가하였다. 특히 가뭄이나 홍수 발생 횟수가 많은 국가일수록 아동의 발육부진과 영양장애가 대체로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나 기후변화가 농업 생산뿐만 아니라 소비 측면에도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국제사회와 아프리카ㆍ중동 주요국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다양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요르단, 이집트, 모로코, 세네갈, 탄자니아 등 5개국은 기후대응 및 수자원 확보를 위한 세부 정책을 수립했으며 국내 취약계층 지원체계 역시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식량안보 대응을 위한 생산 및 비축 정책은 일부 국가에서만 수립한 상태이고 실질적인 기술 역량 역시 부족해 국제사회의 공조가 요구되는 부분이다. 국제기구는 기후대응과 취약계층에 대한 사회적 보호 전략을 수립했다. 아프리카 및 중동 지역에서 기후변화 및 식량안보에 대응하는 기관은 대표적으로 아프리카기후농업혁신미션(AIM for Africa), 아프리카농업기후변화적응계획(AAAI), 아프리카녹색혁명동맹(AGRA), 아프리카녹색만리장성(GGWI) 등이 있으며 국제기구는 FAO, WFP, 세계은행, 국제농업 개발기금(IFAD), 국제농업연구협의그룹(CGIAR) 등이 농식품 분야 기후 대응을 지원하고 있다. 식량안보에 대한 국제사회의 공조 역시 계속 확대되는 추세이며 2021년 외교ㆍ개발장관회의, 2022년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7)에서도 지속적으로 논의되고 있다.

본 보고서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기후변화 및 수자원, 농업 생산 및 비축, 작물 소비 및 취약계층 지원과 같은 분야에 대한 정책을 제언하였다. 첫째, 아프리카ㆍ중동 전반적으로 가뭄, 홍수와 같은 기상이변이 빈번해지고 있으므로 이에 대비해  조기경보체계 도입을 위한 협력이 이뤄져야 할 것이다. 세계은행, 세계기상기구 등은 기후위험 및 조기경보시스템 구상을 통해 60개국에 조기경보시스템을 구축했으며 서아프리카 및 중부아프리카 대다수 국가가 혜택을 받았다. 우리나라도 국내적으로 재해경보시스템이 확대되고 있어 우리나라의 경험을 바탕으로 아프리카ㆍ중동 재해 취약국과의 협력 확대가 기대된다. 또한 저탄소 농업기술 적용을 위한 협력 역시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저탄소 농업 방식에는 혼농임업, 무경운 등이 있는데, 아프리카ㆍ중동에서 농업이 주요 온실가스 배출 요인 중 하나로 지적되고 있는 만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농업기술 도입 협력 역시 필요성이 크다. 농업 생산 분야에서 한-아프리카 및 한-중동이 상호협력할 수 있는 분야는 내열성 및 내재해성 품종 개발을 위한 협력 등이 있으며 중저개발국을 중심으로는 스마트팜 시범 도입도 가능하다.

둘째, 수자원 확보 및 홍수 예방을 위한 협력 확대가 요구된다. 아프리카와 중동에서 수자원 확보를 위해 가장 선행되어야 할 요소는 관개수로 시설 확대라고 볼 수 있다. 특히 파종기 농업용수 확보가 중요해지고 있어 우리나라에서도 코이 카를 중심으로 가나 관개시설 현대화, 에티오피아 관개시설 구축사업 등을 지원하기도 하였다. 향후 우리나라의 대아프리카 및 대중동 개발협력 규모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되므로 수자원 접근성 개선을 위한 관개수로 지원 역시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오폐수 재활용과 담수 확보 역시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셋째, 소비 측면에서는 아프리카 및 중동 지역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이 확대되어야 한다. 우리나라는 농식품부를 중심으로 식량 원조사업을 하고 있으며 2021년에는 6개국에 약 5만 톤의 쌀을 지원하기도 하였다. 아프리카 및 중동의 경우 비축 역량이 부족해 기상이변 발생 시 식량 위기를 겪는 자국민을 지원할 수 있는 대안이 많지 않다. 이에 따라 주요 공여국과 국제기구는 식량 위기 발생 지역에 계속해서 식량을 지원하고 있는 실정이다. 기후변화가 가속화되면 아프리카 및 중동에서 식량불안 및 극심한 식량 부족을 겪는 인구가 증가할 것이므로 이에 대비하기 위해 우리나라 역시 아프리카ㆍ중동 취약계층 지원체계를 사전에 구축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협력체계에 있어서 양자간 협력을 넘어 다자성 양자사업 확대, 국제기구와의 협력 확대가 요구되며, 더 나아가 농촌진흥청을 중심으로 국제사회 연구자와의 기술 연구 협력이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아프리카 및 중동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식량불안 인구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국가는 대부분 취약국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한국이 단독으로 농업 또는 식량 원조 분야 협력 사업을 전개하는 데에는 다양한 측면에서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미 다수 국가에 진출해 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국제기구와의 협력이 요구된다. 또한 CGIAR 산하 연구기관의 경우 아프리카 및 중동 내 농업기술 수요와 관련한 연구를 다수 수행한 경험이 있으므로 농식품부 산하 농업기술 관련 기관이 CGIAR 산하 기관 혹은 국제적 명망이 있는 농업연구기관과 협동 연구를 실시한다면 아프리카 및 중동에서 실질적으로 필요로 하는 농업기술 R&D 프로젝트를 수행하기에 용이할 것이다. 

As a result of the recent outbreak of the Russia-Ukraine war, the global agri-food supply chain has collapsed, thereby raising concerns about food security in Africa and the Middle Eas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paying greater attention to the issue of food security caused by climate change, which is actually affecting food supply and demand in Africa and the Middle East as a result of frequent weather conditions, such as droughts, flooding, and heat waves. As a result of an intensifying drought, North Africa increased its imports of external grain in January 2022, and East Africa has experienced droughts that have adversely affected its crops in recent years. It is therefore increasingly important for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cooperate to respond to the food security crisis resulting from climate change, and Korea should expand its cooperation to address climate change, food security, and agriculture in Africa and the Middle East.

Climate change has both a global and a national impact, and African and Middle Eastern developing countries, especially those with insufficient climate resilience, are particularly vulnerable to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agriculture and food production.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develop policies that can help lead the discussion of climate change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hile also increasing support for the agri-food sector through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funded by Korea.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ood security crisis in Africa and the Middle East caused by climate change from the perspective of supply and demand, and to identify potential areas of cooperation. Th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AO) defines food security as “a situation in which everyone is always physically, socially and economically accessible to a sufficient amount of safe and nutritious food, while meeting individual dietary needs and preferences for a healthy and active life.” Therefore, food security should be considered throughout the entire food production and consumption process, toward which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current state of the African and Middle Eastern food security crisis, causes of food insecurity, and policies to address it.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 first observation is that the average temperature is increasing across Africa and the Middle East, and this represents a higher increase than in previous years, particularly in East and North Africa. Additionally, droughts and floods have become more frequent in recent years, which can pose a threat to agricultural production in the future.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agricultural production is increasing, but the FAO and the World Food Program have already warned of the increase in hunger and undernutrition caused by climate change, which means that rising temperatures and frequent droughts could pose a greater external shock than normal.

Second, when droughts occur frequently and intensify in Africa and the Middle East, agricultural prices generally rise, especially for corn and rice. The agricultural production of developing countries in Africa and the Middle East is largely dependent on natural water rather than irrigation and shows various structural characteristics susceptible to weather changes. Moreover, most countries except North Africa have high rates of self-sufficiency in corn, rice, sorghum, and millet, whereas Africa and the Middle East lack adequate stockpiling capacity to buffer drought. As soaring food prices in Africa and the Middle East between 2007 and 2011 caused instability, and the recent prolonged Russian-Ukraine war caused public discontent, climate change and long-term increases in food prices could also contribute to instability.

Thirdly, as natural disasters such as droughts and floods become more frequent, problems related to consumption such as nutritional disorders and slow development are exacerbated. In Africa and the Middle East, malnutrition has generally declined, with the exception of conflict-affected countries such as Yemen and Iraq. Consequently, indicators also improved in terms of strengthening food security and sustainable agriculture, which are the second goal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There has been a rise in both absolute and proportional food crisis populations in recent years, especially in Africa. In West Africa, in particular, the proportion of the population experiencing serious levels of food insecurity has doubled to 20.7% in 2021, compared to 10.2% in 2014. There is a higher incidence of children’s poor development and nutritional disorders in countries with more droughts or floods, indicating that climate change impacts both agricultural production and consumption.

Four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major African and Middle Eastern countries are taking a variety of measures to combat climate change. Several countries, including Jordan, Egypt, Morocco, Senegal, and Tanzania, have developed comprehensive policies aimed at addressing climate change and protecting water resources, as well as establishing support systems for the vulnerable. Despite this, few countries have developed production and reserve policies to ensure food security, and technological capabilities are lacking, necessitating international cooperation. Climate change response strategies and social protection strategies have been developed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he African Climate Innovation Mission (AIM for Africa), the African Agricultural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 (AAAI), the African Green Revolution Alliance (AGRA), the World Bank, the International Agricultural Development Fund (IFAD), and the International Agricultural GIAR Group are representative organizations addressing climate change and food security in Africa and the Middle East. Likewise, international cooperation on food security is on the rise, and is on the agenda of both the 2021 Foreign Ministers' Meeting and the 2022 United Nations Climate Change Convention (COP27).

Us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is report proposes policies in the areas of climate change and water resources, agricultural production and stockpiling, crop consumption, and assistance for the vulnerable. First, it is important to cooperate to introduce an early warning system during times of drought or flooding throughout Africa and the Middle East, as weather events such as these are becoming more frequent. Climate risk and early warning systems have been established by the World Bank and the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in 60 countries, including most of the countries in West and Central Africa. As Korea expands its disaster warning system domestically, it may be possible to extend its cooperation with vulnerable countries in Africa and the Middle East. Furthermore, cooperation for the application of low-carbon agricultural technology should be expanded. Low-carbon farming methods include mixed farming, forestry, and cultivation, and agriculture is considered one of the major greenhouse gas emission factors in Africa and the Middle East, so cooperation in introducing agricultural technologies to combat climate change should be conducted as well. In areas where Korea can cooperate with either Africa or Middle East in agricultural production, heat-resistant and resistant varieties can be developed, as well as pilot projects for smart farming in low- and medium-sized countries.

Secondly, it is necessary to increase cooperation in order to ensure the security of water resources and prevent flooding. The expansion of irrigation water facilities is the first factor to ensure the security of water resources in Africa and the Middle East. The Korean government has provided support for the modernization of irrigation facilities in Ghana as well as the construction of irrigation facilities in Ethiopia coordinated by KOICA, as securing agricultural water during the sowing season becomes increasingly important. The scale of Korea’s development cooperation with Africa and the Middle East is expected to increase in the future, and Korea should also expand its support for irrigation channels to improve access to water resources. It is also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to ensure fresh water through wastewater recycling and desalination.

The third recommendation is to expand support for the vulnerable in Africa and the Middle East in terms of consumption. Approximately 50,000 tons of rice were provided to six countries by Korea’s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in 2021. Due to a lack of stockpile capacity, there are few alternatives available in Africa and the Middle East to support the residents in these regions in the event of severe changes in weather patterns. Accordingly, major donor countrie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continue to provide food to areas affected by the food crisis. In order to prepare for the rapid increase in food insecurity and severe food shortages occurring in Africa and the Middle East as a result of climate change, Korea will also need to establish a support system in advance for vulnerable groups in Africa and the Middle East.

As a final point, the cooperation system should include not only bilateral cooperation but also multilateral cooperation with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 the area of expanding technical research cooperation with international researchers,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hould assume a more prominent role. The majority of African and Middle Eastern countries are classified as vulnerable countries due to climate change, and accordingly, Korea has limitations in cooperating in agriculture or food assistance alon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operate with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hat have already entered many countries and are carrying out projects in those countries. Moreover, CGIAR research institutes have conducted a number of studies on the demand for agricultural technology in Africa and the Middle East, facilitating the development of agricultur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s in Africa and the Middle East by conducting joint research with CGIARs and internationally recognized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s.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선행연구 현황 및 연구의 차별성
3. 연구의 구성
제2장 식량안보의 개념과 아프리카ㆍ중동의 기후변화 추이
1. 식량안보의 개념 정의 및 현황  
2. 식량안보 위협 요인
3. 기후변화 추이   
4. 가뭄 및 홍수 추이
5. 소결

제3장 권역별 식량 수급 현황 및 기후변화가 농산물 가격에 미치는 영향
1. 국제사회의 주요 작물 생산 및 수급 동향
2. 아프리카ㆍ중동 식량 수급 현황  
3. 기후변화가 농산물 가격에 미치는 영향     
4. 분석모형
5. 분석 결과
6. 소결

제4장 소비 측면의 식량안보
1. 기후변화와 소비 측면의 식량안보
2. 소비 측면의 식량불안이 가져오는 사회경제적 영향
3. 중동ㆍ아프리카 지역의 식량불안
4. 기후변화와 아동의 식량 및 영양 안보
5. 소결

제5장 주요국 및 국제사회의 정책 대응
1. 아프리카ㆍ중동 주요국의 정책 대응
2. 국제사회의 식량안보 위기 대응 정책  
3. 소결
    
제6장 우리나라의 협력 시사점 및 결론
1. 우리나라의 협력 현황
2. 협력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366
판매가격 12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ODA 정책연구 MDB를 활용한 ODA 활성화 방안: PPP를 중심으로 2023-12-29 연구보고서 팬데믹 이후 국제사회의 불평등 현황과 한국의 개발 협력 과제 2023-12-29 연구보고서 대외정책과 연계성 제고를 위한 전략적 ODA 추진방식 개선방안 연구 2023-12-29 연구자료 동티모르의 아세안 가입 지원 및 개발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아세안 주요국의 난민지원정책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2023-12-30 연구보고서 ODA 사업의 유형별 평가방법 연구: 기술협력 사업을 중심으로 2022-12-30 연구보고서 공여국의 ODA정책 결정 과정 비교연구: 국민 인식과 정책 동기 중심으로 2022-12-30 ODA 정책연구 국제사회의 ODA 사업평가 품질관리 현황과 시사점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중앙아시아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중앙아시아 협력 방안 2022-12-30 ODA 정책연구 국외감축을 활용한 NDC 이행방안과 주요 정책과제 2022-12-30 ODA 정책연구 OECD DAC 평가기준 개정안 적용방안에 대한 연구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인도의 농업 경쟁력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2-12-30 중국종합연구 미·중 간 곡물 분쟁 사례와 정책적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글로벌시대의 보호무역에 대한 경제적 비용분석과 정책 시사점 2011-12-30 연구보고서 Benefits and Costs of Agricultural Liberalisation in Korea 1997-12-30 연구보고서 중국의 식량문제와 9.5계획의 농정과제 1996-12-20 연구보고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협상 농업분야 쟁점분석과 대응방안 2007-01-23 연구보고서 주요국 농업정책 변화와 WTO 협상에의 시사점 2001-12-30 연구보고서 농산물 보호비용과 정책시사점 2000-12-30 연구자료 OECD의 권고이행평가 및 향후과제: 농업 2000-11-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