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자료 OECD의 권고이행평가 및 향후과제: 농업 농업정책

저자 송유철, 박지현 발간번호 00-02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00.11.30

원문보기(다운로드:1,044)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OECD의 한국농업에 대한 권고사항은 모든 회원국에 적용되는 OECD의 농업관련 규범과 농업분야에 대한 일반적인 권고사항과 한국농업에 국한된 권고사항으로 나눌 수 있다. 그 중 OECD 농업관련 규범은 총 14개로 11개의 결정(Decision)과 3개의 권고(Recommendation)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국은 OECD 농업관련 규범 중 트랙터의 공인검사제도에만 1995년 12월에 가입하였다. 또한, 1998년 OECD 각료회의 원칙에서 채택된 농업정책의 투명성(transparent), 목표지향성(targeted), 비용최소성(tailored), 신축성(flexible), 형평성(equitable)의 실행기준을 적용하는 것이 OECD 회원국의 농업부문 및 전체 경제의 목표 달성에 중대한 기여를 할 것이라고 권고하고 있다. 한편, OECD는 회원국의 농업정책이 OECD의 농업개혁 원칙과 부합하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회원국별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는데 1999년 3월 30일 한국의 농업정책을 검토한 최종보고서에서 직접소득지불 장려, 환경보전을 위한 농업정책 추구, 시장개방 확대, 지속가능한 농업 촉진, 인프라 구조 개선, 농업구조조정 지속, 규제개혁정책이행의 투명성 제고 등 한국의 농업정책에 대해 권고하고 있다.

규범의 수락/유보의 여부의 판단은 국내 농업부문에 실익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규범부터 수락하되, 각 규범과 관련하여 전문적 지식이나 경험을 축적한 기관과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와 함께 공청회 등을 통하여 각계 의견을 취하여야 할 것이다.한편, 규범을 제외한 다른 권고사항들은 새로운 특정조치를 제안하거나 기존의 어떤 조치를 철폐하는 구체적인 것이 아니라 전반적인 농업의 구조개선과 농산물관련 무역의 증진을 촉진시키기 위한 광범위한 정책을 요구하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이행평가를 내리기는 쉽지 않다. 그러나, OECD의 한국농업 검토에 나타나고 있는 바와 같이 우리의 농업정책은 개선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하지만, 향후 농업사정을 고려한 농업정책의 개선노력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1998년 3월의 OECD 농업각료회의에서 각 회원국 정부는 농업분야가 ▲시장신호에 반응 ▲생산자의 생활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효율적이며 지속가능하고 혁신적인 정책 ▲다자무역체제에의 통합강화 ▲소비자에게 적절하고 신뢰할 수 있는 식량의 제공(안전성과 품질) ▲자연자원과 환경의 질의 지속가능한 관리 ▲농촌지역의 사회경제적 발전에의 기여 ▲국가 및 세계적 차원에서의 식량안보에의 기여 등과 같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적절한 framework를 제공하여야 한다는 것에 합의하였다.이상과 같은 OECD의 정책목표에 맞추어 우리가 21세기를 향한 농정의 기본방향으로 추진중인 "농어촌발전대책과 농정개혁방안"을 통해 국제여건변화에 대응하여 경쟁력을 제고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협동조합의 개혁, 유통혁신 및 양정제도의 개혁 등 현재 운영중인 개혁을 추진하고, 농업지지도 OECD 회원국에서 나타나고 있는 것과 같이 시장가격지지를 축소하면서 직접지불제를 증대시키는 속도를 가속화하여야 할 것이며, 농정개혁은 구조조정을 용이하게 하는 방향에서 추진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교역질서를 왜곡하는 정책의 축소, 정부보조의 축소(투입재 보조 등), 환경농업의 발전, 규제개혁의 촉진, 구조조정 및 농촌개발의 도모 등 전반적인 농업정책의 개선을 도모하여야 할 것이다.OECD의 규범에 가입하는 문제도 우리의 농업현실에 안주하기보다는 향후 우리의 농촌의 전망에 기초한 보다 전향적인 입장에서 검토하여야 할 것이다.
A total of 14 agriculture-related rules in OECD consist of 11 Decisions and 3 Recommendations, out of which South Korea only joined the rule of official inspection of tractors in December, 1995.

In March 30th, 1999, the OECD announced a final report examining Korean agricultural policy. Actually, it has been publishing each member's report on agricultural policy in order to evaluate whether their agricultural policy are consistent with agricultural reform principals of OECD. This report recommended that Korean agricultural policies should encourage direct income payment system, pursu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olicy, expand open market, promote sustainable agricultural development, improve infrastructure, continue to restructure agricultural industry, and enhance transparency in implementing regulatory reform policies. Furthermore, it recommended that transparent, targeted, tailored, flexible, equitable application of standards in practice will excessively contribute to attain OECD members' goals in agricultural sector and overall economy.

In making a decision whether to accept or reserve certain rules, those rules that are viewed to benefit domestic agriculture come first. In doing this, it is important to collect the opinions from institutions or experts with accumulated professional knowledge and experience regarding to the rules. In addition, a member country should listen to voices from various fields through a public hearing.

On the other hand, it is not quite easy to evaluate the implementation of other recommendations that are not rules because those recommendations are not specifically designed to suggest totally new measures or to scrap existing ones. Rather, they require overall improvement in agricultural structure and comprehensive agricultural policies to facilitate trade of agricultural products. However, as shown in the OECD report on Korean agriculture, OECD evaluated that Korean agricultural policies are being improved. Nevertheless, we should continue our efforts to reform agricultural policies in due consideration of hereafter agricultural situations.

Ministers outlined a set of Shared Goals. There was a broad consensus that OECD Member governments should provide on appropriate framework to ensure that the agro-food sector: is responsive to market signals; is efficient, sustainable, viable and innovative, so as to provide opportunities to improve standards of living for producers; is further integrated into the multilateral trading system; provides consumers with access to adequate and reliable supplies of food, which meets their concerns, in particular with regard to safety and quality; contributes to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natural resources and the quality of the environment; contributes to the socio-economic development of rural areas; contributes to food security at the national and global levels.

In line with those policy goals of OECD, we should improve our competitiveness in agricultural industry to cope with changes of international situation by successfully carrying out "Rural Development Plan and Agricultural Reform Policy", which has been implemented as a basic moto of agricultural administration toward 21th century. Especially, we must go ahead with reforms under operation such as reforming cooperative associations, innovating distribution systems and restructuring agricultural production systems.

Moreover, we should accelerate the expansion the direct payment system promoted in OECD members in supporting agriculture, while reducing the support market price and stimulate agricultural policy reform in an attempt to reorganise more easily.

In addition, Korea should make efforts to achieve the improvement of overall agricultural policies such as reducing trade-distortive policies, narrowing government assistance(the assistance with agricultural inputs), recommending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olicies, facilitating regulatory reforms, developing agricultural village, and restructuring agricultural industry.With regard to Korea's accession to OECD rules, we should take a forward-looking stance based on our agricultural outlook, rather than just being content with status quo of current agricultural situation.
I. 서론

II. OECD 권고사항
1. OECD 농업 관련 규범
2. 전반적인 권고사항
3. OECD 한국 농업정책보고서

III. OECD 권고이행
1. 법률 개정
2. 이행 현황

IV. 이행평가 및 향후 추진과제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91
판매가격 5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