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보고서 에너지전환시대 중동 산유국의 석유산업 다각화 전략과 한국의 협력방안: 사우디아라비아와 UAE를 중심으로 경제협력, 에너지산업

저자 이권형, 손성현, 장윤희, 유광호, 이다운 발간번호 21-02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21.12.30

원문보기(다운로드:2,418)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지난 2020년 3월 세계보건기구(WHO)가 팬데믹을 선언한 이후 기후위기에 대한 세계 각국의 공동대응 노력이 강화되었다.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설정함으로써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도를 크게 줄이고 저탄소 에너지원을 더 많이 활용하는 에너지 전환(energy transition)을 추진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석유산업에 대한 의존도가 큰 중동 산유국은 석유산업의 다각화가 에너지전환시대에 생존하기 위한 국가 과제가 되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사우디아라비아와 UAE를 중심으로 석유산업 다각화를 위한 주요 계획, 전략, 추진 동향 등을 살펴보고 대외협력관계 분석에 기초한 협력 수요를 파악함으로써 한-중동 석유산업 다각화 협력 확대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중동 산유국의 핵심 성장동력인 석유산업을 중심으로 미래 협력 가능성을 살펴보고, 향후 보다 심층적인 한-중동 경제협력관계를 구축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또한 그 과정에서 국내 기업이 중동에 진출하여 참여할 수 있는 새로운 사업 기회를 모색하고, 체계적인  진출 전략을 수립하는 데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제2장에서는 세계 석유산업을 둘러싼 글로벌 환경 변화를 살펴보고, 이에 따른 석유산업 다각화 추세와 주요국별 다각화 특징에 대해 분석하였다. 세계 석유산업 다각화를 추동한 요인으로는 국제유가의 변동성 확대와 국제사회의 탄소중립 경제로의 전환을 들 수 있다. 석유산업 다각화는 2014년 하반기 이후부터 국제유가 하락이 장기화되면서 저렴한 원료 공급이 가능해지자 정유 및 석유화학 등 하류 부문에 대한 투자가 증가하는 형태로 나타났다. 더불어 석유산업 전반에서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본격화되면서 천연가스 생산 비중이 증가하고 수소 및 탄소저감 기술에 대한 투자가 확대되었으며, 석유산업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디지털 기술 도입도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주요국별 다각화 특징을 살펴보면, 석유화학 부문에서 미국은 셰일가스를 활용한 에틸렌 생산에 주력하고 있으며 중국은 석유화학 부문 생산 능력을 확대하기 위해 설비를 증설하고 석유화학 원료를 다변화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수소와 탄소저감 부문에서는 미국, 중국, 러시아와 더불어 노르웨이, 독일 등의 유럽 국가에서 수소 활용 및 그린수소 기술 개발에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디지털 기술의 경우, 미국과 노르웨이 등지의 다국적 석유기업이 유전 탐사 및 개발, 수송 및 저장 등의 부문에서 디지털 오일필드 기술을 활발하게 도입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제3장에서는 중동 산유국의 석유산업 다각화 전략과 주요 사례, 부문별 강점 및 위험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사우디아라비아와 UAE는 핵심 산업인 석유 부문이 지나치게 원유 생산에 치우친 구조를 개편하기 위해 향후 탄소중립 시대에도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는 석유화학 부문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외국기업과의 합작기업 설립을 포함한 다양한 투자를 통해 기초유분 및 범용제품의 생산 능력을 확대하고 있다. UAE는 천연가스 원료와 제품 생산 능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하지만 플라스틱과 비료 등 생산 제품의 다양화를 추진하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와 UAE는 전 세계 수소 수요 증가 전망에 따라 블루 및 그린수소 생산능력도 확대하고 있다. 특히 사우디아라비아 정부는 아람코를 통해 블루수소 수출을 추진하면서 그린수소의 생산 가능 시점도 앞당겨 수소 시장을 선점하고자 한다. UAE는 아직은 블루수소의 생산량 확대에 중점을 두고 있으나 그린수소에도 높은 가격경쟁력이 있으며, 원전을 활용한 핑크수소 생산도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아울러 사우디아라비아와 UAE는 석유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위해 석유 부문 디지털 서비스 또는 솔루션 도입과 활용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양국 모두 수소 생산, 디지털 전환, 탄소포집 등에서 전반적인 기술력이 부족하여 경쟁력 확보 및 기술 개발을 위해 외국 기업과의 협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제4장에서는 중동 산유국의 석유산업 다각화를 위한 대외협력 방향을 검토하고 석유화학, 수소, 탄소포집, 디지털 기술 등 부문별로 구체적인 사례를 분석하였다. 사우디아라비아와 UAE는 석유의 안정적인 수출 및 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해외 주요 수출거점 국가에서 합작투자기업을 설립해 공동으로 추진하는 석유화학 또는 정유 프로젝트를 늘려나가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자국산 원유의 안정적 판로 확보 측면에서 해외 주요 정유사와 석유화학기업의 지분을 인수하거나 합작투자를 확대해왔는데, 한국기업에 대한 지분투자 및 합작투자회사 설립도 추진한 바 있다. UAE는 석유화학 부문에서 해외 유망시장으로의 진출을 추진하는 한편 외국기업의 자국 유치를 강조하고 있다. 또한 사우디아라비아와 UAE 모두 풍부한 천연가스 및 재생에너지를 바탕으로 수소 개발협력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양국은 자국에서 생산된 수소의 가격경쟁력을 바탕으로 수소 수출에 중점을 두고 협력을 추진 중인데, 특히 양국의 주요 원유 수출국인 한국, 일본과의 협력이 확대되고 있다. 디지털 기술 도입에서는 미국 및 유럽 기업과의 협력이 두드러졌다. 사우디아라비아와 UAE는 생산 최적화, 통합 공급망 관리, 자산 모니터링 및 예측 분석, 안전 및 효율성 향상 등을 위한 솔루션을 주로 미국 및 유럽 기업을 통해 제공받아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국은 글로벌 기업과의 현지 합작투자기업 설립 및 공동 R&D 등을 확대하여 자국 산업을 육성하고 고용 창출도 늘려나갈 계획이다.

제5장에서는 한국과 중동 산유국 간의 석유산업 다각화 협력 확대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중동 산유국과 한국은 석유산업이 처한 환경이 서로 다르고, 각국 석유기업의 사업 및 수익구조도 상이하지만 세계 석유산업이 공통적으로 직면한 생존 방식의 압력과 경쟁 아래에 놓여 있다. 따라서 한-중동 에너지협력은 향후 새로운 글로벌 에너지 환경에서 공동으로 에너지 안보를 제고할 수 있는 신에너지협력 파트너십을 구축해야 한다. 즉 신에너지안보 상황을 고려하여 에너지산업 경쟁력을 제고하면서 에너지 전환과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새로운 한-중동 경제협력관계가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저탄소 에너지원의 안정적 공급이 이루어져야 한다. 향후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수소경제가 확대되어야 하고, 이때 필요한 수소는 국내에서 모두 생산되지 않는 한 수소 생산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중동 산유국에서 도입하게 될 것이다. 또한 중동 산유국의 유전을 활용한 탄소저장소를 확보해야 한다. 이를 위해 국내 건설사들이 갖고 있는 중동 산유국의 인프라 구축 노하우와 기술을 활용하여 현지에 수소 생산 및 탄소 저장 인프라를 구축하고, 이와 동시에 수소의 안정적 도입과 탄소저장소 활용을 위한 중장기 계약을 체결할 필요가 있다. 국내 기업에 대한 금융지원을 위해서는 ‘한-중동 탄소중립 펀드(가칭)’을 조성하는 방향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에너지전환시대에는 에너지 전기화가 확대되고, 에너지 효율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에너지신산업이 확대될 것이다. 따라서 에너지신산업은 우리나라와 중동 산유국 간에 중요한 산업협력 대상이 될 수 있다. 또한 중동 산유국은 전력망 확충과 에너지 효율 개선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이는 국내 기업의 기술력과 경험을 토대로 중동지역에 진출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가 될 것이다.국내 기업의 전력 부문 에너지신산업 진출은 전력 인프라 개선을 위한 부문별 계획과 마스터플랜 수립 등 컨설팅 사업 추진으로부터 시작할 수 있다. 이후 중소도시를 선정하여 실증시범사업을 추진하거나 공동 R&D 사업을 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지능형 원격검침설비(AMI), 신재생에너지 발전과 연계된 에너지저장시스템(ESS) 등의 수출 또는 현지 생산도 검토할 수 있다. 마스터플랜 수립에서 실증시범사업, 그리고 본격적인 인프라 구축사업에 이르는 과정은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양국간 신뢰관계를 토대로 해야 하기 때문에 민간 기업의 적극적인 진출 전략 이외에도 정부 또는 공공기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국내 기업과 현지 기업 간 합작기업 설립 및 기술 전수 등의 과정을 통해 협력사업을 확대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에너지전환시대에는 수소 생산, 탄소저감, 에너지 효율 제고 등에 사용되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므로 이에 대한 공동개발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2050 탄소중립을 위해 가장 기초적으로 확보되어야 할 것이 바로 경제성 있는 탄소저감 기술이다. 원유 및 납사의 대체원료 개발이나 신재생에너지 저장기술, 수소 생산기술, CCUS 기술, 디지털 기술 등 아직 상용화 단계에 이르지 못한 많은 기술이 있다. 한국과 중동 산유국은 먼저 기술 개발 및 R&D 투자를 위한 공동연구협정(JSA: Joint Study Agreement)을 체결하고, 공동기술개발센터 등 상호 기술 수요를 파악하면서 관련 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공동연구 플랫폼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2단계는 연구 성과를 토대로 실증사업을 실시하고 기술적 성과를 확인해야 한다. 3단계는 실증사업 결과를 토대로 개발된 기술의 상용화를 추진해야 한다. 앞서 1단계에서는 정부의 역할이 상대적으로 크지만, 3단계에서는 민간기업간 계약이 중요하기 때문에 정부의 개입은 줄어들 수밖에 없다. 또한 3단계까지 나아가기 위해서는 2단계에서 신뢰관계가 확보되어야 한다. 신기술 개발로 새로운 사업이 가능하다면 국내 기업과 현지 기업 간 합작기업을 설립하고, 부품 및 원료 공급망과 판매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한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various mid-to-long term plans, policies, and business cooperation cases to promote diversification in the Middle Eastern petroleum industry, suggesting policy proposals for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the Middle East to deepen industrial diversification in the region.

Chapter 2 analyzes global factors that have influenced the oil industry, and examines the trends of diversification in the oil industry and characteristics of diversification in major countries. Increasing oil price volatility and the expanding effort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make a transition to a carbon-neutral economy have acted as a factor in diversifying the oil industry. As the trend of low oil prices has continued since the second half of 2014, the raw materials for manufacturing petrochemical products have become available at cheaper prices, and this has led to increased investment in downstream sectors such as oil refining and petrochemicals. In addition, as efforts to reduce carbon emissions in the oil industry have expanded, the share of natural gas production increased, investment in hydrogen and carbon reduction technology expanded, and digital technology was actively introduc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oil industry operations. In the downstream sector, the United States is focusing on ethylene production using ethane derived from shale gas, and China is continuing its efforts to expand facilities and diversify feed stocks to improve its own production capacity. In the area of hydrogen and carbon reduction, European countries such as Norway and Germany, along with the United States, China, and Russia, are increasing investments in hydrogen utilization and green hydrogen technology development. Efforts in the area of digital technology can be characterized by the introduction of oil field technology in segments such as oil field exploration and development, transportation and storage by multinational oil companies in the United States and Norway.

Chapter 3 examines government policies, competitive advantage, and risk factors for the diversification of the oil industry in the Middle East. Saudi Arabia and the UAE are engaged in various mid to long-term plans and strategies aimed at reorganizing the structure of the oil industry, recognizing it as a key industry that is overly biased toward the upstream sector. First of all, the two countries are investing in the petrochemical sector, which is expected to increase in demand even in the era of carbon neutrality. Saudi Arabia is expanding its production capacity of basic and intermediate chemicals through various investments,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joint ventures with foreign companies. The UAE has a relatively low production capacity for feedstock and basic chemicals, but has the advantage of diverse products such as plastics and fertilizers. Saudi Arabia and the UAE are also expanding their blue and green hydrogen production capabilities in line with the global demand for green energy. In particular, the Saudi government intends to move early into the hydrogen market by pushing for blue hydrogen exports through Aramco while also advancing the possible production time of green hydrogen. The UAE is still focusing on expanding the production of blue hydrogen, but it has the advantage of having high price competitiveness in green hydrogen and the capacity to produce pink hydrogen using nuclear power. In addition, Saudi Arabia and the UAE are actively promoting the introduction and utilization of digital services or solutions for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the oil industry. However, due to the lack of overall technology to diversify the oil industry in both countries, cooperation with foreign companies is necessary to secure competitiveness and develop technologies.

Chapter 4 reviews the direction of external cooperation for diversification of the oil industry and examines specific examples by sector such as petrochemical, hydrogen, CCUS, and digital technology. Saudi Arabia and the UAE are increasing petrochemical or oil refining projects jointly promoted by establishing joint ventures in major overseas export base countries to stably export oil and create added value. Saudi Arabia has acquired stakes in major overseas oil refiners and petrochemical companies or expanded joint investments to secure a stable market for its own crude oil, and has also pushed for equity investments and joint ventures in Korean companies. The UAE is promoting entry into promising overseas markets in the petrochemical sector, while focusing on attracting foreign companies into its domestic market. In addition, both Saudi Arabia and the UAE are actively developing hydrogen based on abundant natural gas and renewable energy. The two countries are promoting cooperation with a focus on exporting hydrogen, based on the price competitiveness of hydrogen produced in their own countries. As major crude oil importers of the two countries, Korea and Japan have been important partners of this cooperation. In the introduction of digital technology, cooperation with US and European companies has been remarkable. Saudi Arabia and the UAE are found to be mainly utilizing solutions for production optimization, integrated supply chain management, asset monitoring and predictive analysis, and safety and efficiency improvement through US and European companies. The two countries plan to foster their own industries and increase job creation by establishing local joint venture companies with global companies and expanding joint R&D.

Chapter 5 suggests cooperation policy proposals to further promote industrial diversification in the Middle Eastern petroleum industry. Although Korea and Middle Eastern oil exporters have different industrial environments in the sector, they pursue the same policy goal to attain carbon neutrality. This is the common foundation on which both regions could establish a new energy security cooperation regime. First, stable supply and demand of low carbon energy resources such as hydrogen should be established between Korea and Middle Eastern oil exporters for carbon neutrality and hydrogen economy. For this, both regions need to establish long-term supply contracts on the condition that Korean companies construct the hydrogen production facilities involved. Establishing a Korea-Middle East carbon neutrality fund would ease the financial burden for construction projects. Second, new energy businesses responding to the electrification of energy should be promoted to enhance energy efficiency in national power systems. Consulting projects to establish master plans for efficient power infrastructure and demonstration projects to evaluate consulting results should be conducted, as infrastructure remodelling consumes large amounts of financial resources. Moreover, these projects will require government-to- government cooperation based on mid-to-long term mutual interests. Third, technology collaboration between the two regions should be advanced to attain carbon neutrality. More technological breakthroughs in the sectors of hydrogen production and carbon reduction need to be obtained for future cooperation. Joint study agreements for technology development and a joint research platform should be established for active interaction and mutually beneficial assistance between the two regions. This could be developed into a joint venture for production and sales. 

국문요약

제1장 머리말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론
3. 연구의 구성 및 차별성

제2장 세계 석유산업의 다각화 추세와 주요국별 특징
1. 석유산업을 둘러싼 글로벌 환경 변화
2. 석유산업의 다각화 추세
3. 주요국별 석유산업 다각화 특징
4. 시사점

제3장 중동 산유국의 석유산업 다각화 전략과 경쟁력 분석
1. 석유산업 다각화 배경 및 주요 계획
2. 부문별 다각화 추진 전략과 주요 사례
3. 부문별 강점 및 위험요인 분석
4. 시사점

제4장 중동 산유국의 대외협력 방향 및 사례 분석
1. 석유산업 다각화를 위한 대외협력 방향
2. 사우디아라비아의 부문별 대외협력 사례 분석
3. UAE의 부문별 대외협력 사례 분석
4. 시사점

제5장 한-중동 석유산업 다각화 협력 확대방안
1. 분석 내용과 시사점 종합
2. 국내 에너지 전환 정책과 석유산업의 대응 방향
3. 중동 산유국과의 다각화 협력 확대방안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205
판매가격 10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자료 중국 전기차 배터리 기업의 해외 진출 사례 연구 및 시사점 2024-03-27 중국종합연구 한중 탄소중립 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2023-12-29 중국종합연구 2023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3-12-29 중국종합연구 탄소중립 시대 중국 동북지역 한중 지역개발 협력방안 : 중국 지린성을 중심으로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한-인도 해운·항만산업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아세안 주요국의 난민지원정책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2023-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중동·북아프리카 식량위기에 대한 역내 인식과 대응 및 협력방안 2023-12-27 단행본 만화로 보는 세계경제 2023 2023-12-23 세계지역전략연구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주요국의 탈탄소 정책과 청정에너지부문 협력 방안 2023-11-29 연구자료 동지중해 천연가스 개발 현황과 한국의 협력 방안 2023-10-20 연구자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유럽 주요국의 에너지 위기 대응 정책 분석 2023-08-28 연구보고서 경제안보 이슈의 부상과 대외협력 방향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주요국의 대남아시아 경제협력전략과 정책 시사점: 중국, 일본, 인도를 중심으로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전략 경쟁 시대 글로벌 기업의 대응과 중국진출 한국기업에 대한 시사점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일본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일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한국-동남아 가치사슬 안정화를 위한 메콩지역 협력 방안 연구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동아프리카 그린에너지 협력방안 연구 2023-06-08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아세안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아세안 협력 방안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중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중 협력 방안 2022-12-30 전략지역심층연구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중동부유럽 주요국의 지정학적 위기 대응 전략: 에너지 이슈를 중심으로 2022-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