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연구보고서
목록으로
1. 서론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 이후 아시아 지역내 금융시스템의 강화와 외환시장의 안정을 위한 역내 금융협력의 중요성이 강조되어 왔다. 그러나 동북아(한·중·일) 3국간 금융협력은 현재까지 독자적인 협의체를 구성하지 못하고 있어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논의의 단계에 접어들지 못한 상태에 있다. 다만 ASEAN+3, APEC 등 동아시아, 아·태지역으로 확대된 대화채널을 통해 지역금융협력의 강화를 위한 다양한 논의에 3국이 참여하고 있다.
본 연구는 동북아 3국간 실질적인 금융협력 실행방안 도출을 위한 공식협의체의 출범을 준비하는 사전 작업으로서 ▶ 동북아 금융협력의 필요성, ▶ 동북아 금융협력의 장기적 비전, ▶ 동북아 금융협력의 주요 장·단기 실행계획 등을 중점적으로 점검하고 있다.
2. 동북아 금융협력의 필요성 동북아 금융협력은 위기예방 및 위기대응 능력의 제고 차원에서 모색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북아 역내 교역의 증대 및 역내 투자활성화를 위한 금융인프라의 구축, 동아시아 금융시장의 연계성 증가와 더불어 역내 자본시장의 발전 및 역내 금융시스템의 강화라는 차원에서 접근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위기의 전염이 가장 빠른 속도로 전파되는 외환시장의 안정성 제고를 위해서는 역내 환율안정을 위한 제도적 장치도 아울러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동북아 금융협력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배경으로는 ① 동북아 역내교역 및 투자의 증가, ② 동아시아 금융시장의 연계성 강화, ③ 역내환율안정과 전염효과의 최소화, ④ 유동성 부족 문제의 해결을 위한 위기대응능력의 배양 등을 지적할 수 있다.
3. 동북아 금융협력의 장기적 비전가. 점진적 통화협력의 기반 구축 장기적인 동북아 금융협력을 위한 비전으로 우선 통화협력을 통한 역내 환율안정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역내환율의 급격한 변동에 따르는 거시경제 불안정과 경쟁적인 평가절하(competitive devaluation)를 근본적으로 완화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가 동아시아 국가들 사이의 국제적 협력을 통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지역차원에서 환율제도의 완전한 조화를 모색하기보다는 각국의 현행 환율제도의 다양성을 기본적으로 유지하면서 완전자유변동환율제도와 고정환율제도(통화위원회제도 포함)로 대표되는 소위 兩極解(Two-corner solutions) 사이의 다양한 중간제도(intermediate regimes)를 고려할 수도 있을 것이다. 자본자유화의 정도가 미흡한 체제전환적 성격의 국가들(중국, 베트남 등)은 자본자유화의 순차적 추진과 병행하여 보다 신축적인 환율제도로의 이행을 점진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며, 이미 자본자유화가 상당히 진척된 국가들(한국, 태국 등)은 실질실효환율의 균형이탈이 급속한 자본유출입에 의해서도 야기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원칙적으로 환율이 시장에서 신축적으로 결정될 수 있도록 하되 안정적인 적정환율제도를 지속적으로 모색해야 할 것이다.
나. 위기재발방지체제의 구축 역내 위기의 전염효과를 사전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역내 국가들은 각자 금융시스템의 개선 및 거시경제정책의 일관성과 건전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해야 할 것이다. 또한 내재적 결함을 개선함과 동시에 일국의 금융위기를 방관할 것이 아니라, 상호 예방하고 위기의 확산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의 마련이 필요하다.
다. 금융산업의 발전 및 역내 금융시스템의 강화 역내 금융산업의 발전 및 역내 금융시스템의 강화를 위해서는 동아시아 개별 국가 차원에서 직접금융시장의 장기적 발전을 위한 계획을 마련함과 동시에 역내 개별국가의 금융시장을 상호연계하여 동아시아 차원의 채권 및 공동주식 시장의 활성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또한 동아시아 국가 전역에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쟁력 있는 국제민간상업은행 및 투자은행의 출현이 요구된다. 즉 아시아를 대표하는 다국적 금융기관의 출현을 위해 금융산업의 인수·합병을 촉진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라. 무역 및 투자활성화를 위한 금융인프라의 구축 무역 및 투자활성화의 차원에서도 금융협력은 적극 추진되어야 한다. 무역은 쌍무적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외환위기시 무역 상대국의 무역금융지원 협조체제는 위기극복 차원에서 바람직한 대안으로 강구될 수 있을 것이다. 중장기적으로 무역 및 투자활성화를 지향하기 위해서는 역내 자유무역지대(FTA) 창설의 필요성을 아울러 검토해야 할 것이다. 무역 및 투자활성화를 지원하는 금융인프라로는 우선 무역분야에 있어서는 결제통화로서 아시아통화단위(ACU)의 창설을 비롯하여, 역내 인터넷 상거래의 확산에 따른 새로운 결제시스템의 구축 등이 요구되며, 투자분야에 있어서는 투자재원의 확보 차원에서 동북아 투자은행의 설립 등이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4. 동북아 금융협력의 단계별 심화·확대 전략가. 통화협력 및 적정환율제도의 모색 통화협력을 통한 역내 환율안정화는 최장기적 비전으로 상정될 수 있다. 이는 통화통합이 경제통합의 가장 고도의 협력형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존의 환율제도를 유지하면서 유럽이 단일통화를 출범시키기까지 추진해 왔던 통화협력의 경험을 면밀히 분석하여 동아시아에 적합한 환율제도 및 통화협력의 실효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전제조건의 충족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통화협력의 기반조성을 위해 공동의 노력을 펼치는 것은 금융협력을 강화할 수 있는 계기로 작용할 수 있다. 한편 각국의 경제적 여건, 특히 자본자유화의 정도에 따라 다양한 환율제도의 운용이 용인될 수 있지만, 적정환율제도의 모색을 위한 공동의 노력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가장 바람직한 환율제도는 실질실효환율의 균형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시장기능을 제고하되, 급격한 자본유출입에 의해 환율의 지나친 변동성이 야기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특히 엔/달러 환율의 변동에 의해 아시아 각국의 경제가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점을 감안하여 일본이 추진하고 있는 엔 국제화가 이에 기여할 수 있도록 협력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나. 역내 독자적 유동성지원장치의 구축 위기재발 방지체제의 구축은 비교적 중기적 관점에서 추진될 수 있는 공동협력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우선 아시아통화기금(AMF)과 같은 지역통화기금의 창설은 단기적으로 창설 가능성이 희박하므로, 역내 위기발생에 대비하여 동북아 각국이 보유한 외환보유고를 활용하여 단기적으로 유동성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볼 수 있다. 현 단계에서 실현 가능한 대안으로는 한·일 중앙은행간 신미야자와 구상하에 추진된 양자간 SWAP이 한·중 또는 일·중간에 확대되어 체결되거나, 이를 3국간에 확대한 지역차입협정의 형태로 추진될 가능성도 있다. 한편 동북아 3국이 이미 ASEAN 국가들간에 실시되고 있는 아세안 감시체제(ASP)에 대만, 홍콩 등과 공동으로 참여하는 문제도 현 단계에서 공감대만 형성된다면 그다지 어려운 과제는 아닐 것이다. AMF를 대신하게 될 역내 지역차입협정은 국제사회에서 시장친화적 유동성 지원장치로 평가받고 있는 민간의 예방적 자금지원(private contingent credit line)장치가 약정비용(commitment fee)이 비교적 높기 때문에 현실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이미 Manila Framework에서 논의된 바 있는 2선자금지원제도를 1선자금지원제도로 전환하여 공적인 예방적 자금지원체제를 구축하는 것을 의미한다. 동 차입협정은 도덕적 해이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IMF의 CCL과 마찬가지로 사전적인 자격요건(prequalification)을 설정하고, ASP와 같은 지역감시체제를 가동하여 수시로 심사를 함으로써 사전적으로 위기재발을 예방할 수 있다. 사전적 자격요건을 갖춘 국가에 대해서 동 유동성지원장치는 IMF의 conditionality와 같은 자금수혜국에 대한 정책권고를 포함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지원하게 되며, 사전적 자격요건을 갖추지 못한 국가는 자금지원을 받지 못하게 된다. 동 유동성지원장치는 동북아 3국의 합의를 기초로 동아시아 전역으로 확대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유동성지원장치의 효율적 운용과 사전적인 자격요건의 심사를 위해 사무국을 설치하고, 동 사무국내에 역내 금융협력을 위한 연구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이와 같은 역내 유동성 지원장치는 IMF를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동북아 내지 동아시아 전역의 금융시스템을 강화하는 계기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IMF를 보완하는 장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다. 자본시장의 발전과 금융시스템의 강화 동북아 3국의 자본시장의 발전 및 금융시스템의 강화는 21세기 동북아 3국이 지속성장의 기반을 마련함에 있어서 필수적인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아시아 채권시장의 발전은 다소 시일이 걸리겠지만 우선적으로 엔표시 채권시장의 발전과 궤적을 같이 하면서 발전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역내 금융시스템의 강화를 위해서는 현재 동북아 3국이 추진중인 금융개혁을 지속적으로 추진함과 동시에 경험을 상호 공유함으로써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동북아 3국의 금융시장이 발전하고, 금융시스템이 강화되면 동북아 3국을 연결하는 금융센터가 동경·서울·홍콩(상해) 등으로 연계되면서 국제금융시장에서도 막강한 힘을 발휘할 가능성도 있다.
라. 무역 및 투자활성화를 위한 금융인프라의 구축 무역 및 투자활성화를 위한 금융협력 차원에서 동북아 3국을 연결하는 FTA의 창설은 단기적으로 실현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지만, 창설 필요성이 검토된다면 APEC 보고르 선언에서 제시한 2020 이전에 창설되어야 실질적으로 의미가 있다. 또한 상호무역결제는 위기발생시 무역금융의 원활화를 위해 고려될 수 있는 것으로, 쌍무지불협정(BPA)의 가능성 및 실효성은 그다지 높지 않고, 다만 수출상호신용보증은 일본 및 중국과의 체결에 대해 그 필요성을 검토할 수 있을 것이다.
5. 결론 동북아시아의 금융협력을 위한 현안 및 향후 과제는 실로 방대하다고 할 수 있다. 동북아 3국이 우선적으로 노력해야 할 일은 동북아 3국간의 정규적인 대화채널의 확립을 통해 장기적 비전을 설정하고, 향후 어떤 방향성을 가지고 협력사업을 구체화시킬 것인가에 대한 공감대를 구축하는 것이다. 동북아 3국의 금융협력 분야는 동북아 3국이 외환위기와 같은 경제위기의 재발 방지 및 건실한 금융체제의 확립을 위한 협력사업에 우선적으로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아울러 단기적으로 금융협력의 과제를 지속적으로 발굴하면서, 각국이 상대국의 모범사례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특히 과거의 정책성과를 공유함으로써 실패와 성공이 동 지역의 공동번영의 달성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연구기관 및 민간의 빈번한 회의 및 접촉을 장려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동북아 3국간 실질적인 금융협력 실행방안 도출을 위한 공식협의체의 출범을 준비하는 사전 작업으로서 ▶ 동북아 금융협력의 필요성, ▶ 동북아 금융협력의 장기적 비전, ▶ 동북아 금융협력의 주요 장·단기 실행계획 등을 중점적으로 점검하고 있다.
2. 동북아 금융협력의 필요성 동북아 금융협력은 위기예방 및 위기대응 능력의 제고 차원에서 모색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북아 역내 교역의 증대 및 역내 투자활성화를 위한 금융인프라의 구축, 동아시아 금융시장의 연계성 증가와 더불어 역내 자본시장의 발전 및 역내 금융시스템의 강화라는 차원에서 접근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위기의 전염이 가장 빠른 속도로 전파되는 외환시장의 안정성 제고를 위해서는 역내 환율안정을 위한 제도적 장치도 아울러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동북아 금융협력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배경으로는 ① 동북아 역내교역 및 투자의 증가, ② 동아시아 금융시장의 연계성 강화, ③ 역내환율안정과 전염효과의 최소화, ④ 유동성 부족 문제의 해결을 위한 위기대응능력의 배양 등을 지적할 수 있다.
3. 동북아 금융협력의 장기적 비전가. 점진적 통화협력의 기반 구축 장기적인 동북아 금융협력을 위한 비전으로 우선 통화협력을 통한 역내 환율안정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역내환율의 급격한 변동에 따르는 거시경제 불안정과 경쟁적인 평가절하(competitive devaluation)를 근본적으로 완화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가 동아시아 국가들 사이의 국제적 협력을 통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지역차원에서 환율제도의 완전한 조화를 모색하기보다는 각국의 현행 환율제도의 다양성을 기본적으로 유지하면서 완전자유변동환율제도와 고정환율제도(통화위원회제도 포함)로 대표되는 소위 兩極解(Two-corner solutions) 사이의 다양한 중간제도(intermediate regimes)를 고려할 수도 있을 것이다. 자본자유화의 정도가 미흡한 체제전환적 성격의 국가들(중국, 베트남 등)은 자본자유화의 순차적 추진과 병행하여 보다 신축적인 환율제도로의 이행을 점진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며, 이미 자본자유화가 상당히 진척된 국가들(한국, 태국 등)은 실질실효환율의 균형이탈이 급속한 자본유출입에 의해서도 야기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원칙적으로 환율이 시장에서 신축적으로 결정될 수 있도록 하되 안정적인 적정환율제도를 지속적으로 모색해야 할 것이다.
나. 위기재발방지체제의 구축 역내 위기의 전염효과를 사전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역내 국가들은 각자 금융시스템의 개선 및 거시경제정책의 일관성과 건전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해야 할 것이다. 또한 내재적 결함을 개선함과 동시에 일국의 금융위기를 방관할 것이 아니라, 상호 예방하고 위기의 확산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의 마련이 필요하다.
다. 금융산업의 발전 및 역내 금융시스템의 강화 역내 금융산업의 발전 및 역내 금융시스템의 강화를 위해서는 동아시아 개별 국가 차원에서 직접금융시장의 장기적 발전을 위한 계획을 마련함과 동시에 역내 개별국가의 금융시장을 상호연계하여 동아시아 차원의 채권 및 공동주식 시장의 활성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또한 동아시아 국가 전역에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쟁력 있는 국제민간상업은행 및 투자은행의 출현이 요구된다. 즉 아시아를 대표하는 다국적 금융기관의 출현을 위해 금융산업의 인수·합병을 촉진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라. 무역 및 투자활성화를 위한 금융인프라의 구축 무역 및 투자활성화의 차원에서도 금융협력은 적극 추진되어야 한다. 무역은 쌍무적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외환위기시 무역 상대국의 무역금융지원 협조체제는 위기극복 차원에서 바람직한 대안으로 강구될 수 있을 것이다. 중장기적으로 무역 및 투자활성화를 지향하기 위해서는 역내 자유무역지대(FTA) 창설의 필요성을 아울러 검토해야 할 것이다. 무역 및 투자활성화를 지원하는 금융인프라로는 우선 무역분야에 있어서는 결제통화로서 아시아통화단위(ACU)의 창설을 비롯하여, 역내 인터넷 상거래의 확산에 따른 새로운 결제시스템의 구축 등이 요구되며, 투자분야에 있어서는 투자재원의 확보 차원에서 동북아 투자은행의 설립 등이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4. 동북아 금융협력의 단계별 심화·확대 전략가. 통화협력 및 적정환율제도의 모색 통화협력을 통한 역내 환율안정화는 최장기적 비전으로 상정될 수 있다. 이는 통화통합이 경제통합의 가장 고도의 협력형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존의 환율제도를 유지하면서 유럽이 단일통화를 출범시키기까지 추진해 왔던 통화협력의 경험을 면밀히 분석하여 동아시아에 적합한 환율제도 및 통화협력의 실효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전제조건의 충족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통화협력의 기반조성을 위해 공동의 노력을 펼치는 것은 금융협력을 강화할 수 있는 계기로 작용할 수 있다. 한편 각국의 경제적 여건, 특히 자본자유화의 정도에 따라 다양한 환율제도의 운용이 용인될 수 있지만, 적정환율제도의 모색을 위한 공동의 노력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가장 바람직한 환율제도는 실질실효환율의 균형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시장기능을 제고하되, 급격한 자본유출입에 의해 환율의 지나친 변동성이 야기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특히 엔/달러 환율의 변동에 의해 아시아 각국의 경제가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점을 감안하여 일본이 추진하고 있는 엔 국제화가 이에 기여할 수 있도록 협력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나. 역내 독자적 유동성지원장치의 구축 위기재발 방지체제의 구축은 비교적 중기적 관점에서 추진될 수 있는 공동협력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우선 아시아통화기금(AMF)과 같은 지역통화기금의 창설은 단기적으로 창설 가능성이 희박하므로, 역내 위기발생에 대비하여 동북아 각국이 보유한 외환보유고를 활용하여 단기적으로 유동성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볼 수 있다. 현 단계에서 실현 가능한 대안으로는 한·일 중앙은행간 신미야자와 구상하에 추진된 양자간 SWAP이 한·중 또는 일·중간에 확대되어 체결되거나, 이를 3국간에 확대한 지역차입협정의 형태로 추진될 가능성도 있다. 한편 동북아 3국이 이미 ASEAN 국가들간에 실시되고 있는 아세안 감시체제(ASP)에 대만, 홍콩 등과 공동으로 참여하는 문제도 현 단계에서 공감대만 형성된다면 그다지 어려운 과제는 아닐 것이다. AMF를 대신하게 될 역내 지역차입협정은 국제사회에서 시장친화적 유동성 지원장치로 평가받고 있는 민간의 예방적 자금지원(private contingent credit line)장치가 약정비용(commitment fee)이 비교적 높기 때문에 현실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이미 Manila Framework에서 논의된 바 있는 2선자금지원제도를 1선자금지원제도로 전환하여 공적인 예방적 자금지원체제를 구축하는 것을 의미한다. 동 차입협정은 도덕적 해이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IMF의 CCL과 마찬가지로 사전적인 자격요건(prequalification)을 설정하고, ASP와 같은 지역감시체제를 가동하여 수시로 심사를 함으로써 사전적으로 위기재발을 예방할 수 있다. 사전적 자격요건을 갖춘 국가에 대해서 동 유동성지원장치는 IMF의 conditionality와 같은 자금수혜국에 대한 정책권고를 포함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지원하게 되며, 사전적 자격요건을 갖추지 못한 국가는 자금지원을 받지 못하게 된다. 동 유동성지원장치는 동북아 3국의 합의를 기초로 동아시아 전역으로 확대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유동성지원장치의 효율적 운용과 사전적인 자격요건의 심사를 위해 사무국을 설치하고, 동 사무국내에 역내 금융협력을 위한 연구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이와 같은 역내 유동성 지원장치는 IMF를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동북아 내지 동아시아 전역의 금융시스템을 강화하는 계기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IMF를 보완하는 장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다. 자본시장의 발전과 금융시스템의 강화 동북아 3국의 자본시장의 발전 및 금융시스템의 강화는 21세기 동북아 3국이 지속성장의 기반을 마련함에 있어서 필수적인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아시아 채권시장의 발전은 다소 시일이 걸리겠지만 우선적으로 엔표시 채권시장의 발전과 궤적을 같이 하면서 발전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역내 금융시스템의 강화를 위해서는 현재 동북아 3국이 추진중인 금융개혁을 지속적으로 추진함과 동시에 경험을 상호 공유함으로써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동북아 3국의 금융시장이 발전하고, 금융시스템이 강화되면 동북아 3국을 연결하는 금융센터가 동경·서울·홍콩(상해) 등으로 연계되면서 국제금융시장에서도 막강한 힘을 발휘할 가능성도 있다.
라. 무역 및 투자활성화를 위한 금융인프라의 구축 무역 및 투자활성화를 위한 금융협력 차원에서 동북아 3국을 연결하는 FTA의 창설은 단기적으로 실현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지만, 창설 필요성이 검토된다면 APEC 보고르 선언에서 제시한 2020 이전에 창설되어야 실질적으로 의미가 있다. 또한 상호무역결제는 위기발생시 무역금융의 원활화를 위해 고려될 수 있는 것으로, 쌍무지불협정(BPA)의 가능성 및 실효성은 그다지 높지 않고, 다만 수출상호신용보증은 일본 및 중국과의 체결에 대해 그 필요성을 검토할 수 있을 것이다.
5. 결론 동북아시아의 금융협력을 위한 현안 및 향후 과제는 실로 방대하다고 할 수 있다. 동북아 3국이 우선적으로 노력해야 할 일은 동북아 3국간의 정규적인 대화채널의 확립을 통해 장기적 비전을 설정하고, 향후 어떤 방향성을 가지고 협력사업을 구체화시킬 것인가에 대한 공감대를 구축하는 것이다. 동북아 3국의 금융협력 분야는 동북아 3국이 외환위기와 같은 경제위기의 재발 방지 및 건실한 금융체제의 확립을 위한 협력사업에 우선적으로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아울러 단기적으로 금융협력의 과제를 지속적으로 발굴하면서, 각국이 상대국의 모범사례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특히 과거의 정책성과를 공유함으로써 실패와 성공이 동 지역의 공동번영의 달성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연구기관 및 민간의 빈번한 회의 및 접촉을 장려해야 할 것이다.
There have been many calls for financial cooperation at the regional level since the Asian financial crisis broke out. However, there has been, as of yet, no tangible cooperative framework for regional financial cooperation among the three key countries in Northeast Asia: China, Korea, and Japan. Hence, the discussion on regional financial cooperation has not entered into the stage of practical and specific policy formation. The three countries engage in dialogue only through various broad Asia-Pacific channels such as ASEAN+3, the Manila Framework, and APEC. This study is a precursor to the inception of an enhanced cooperative body that will bring forth concrete plans for practical financial cooperation among these three Northeast Asian countries. The study deals extensively with the necessity for financial cooperation in the region, long-term visionary goals, and the action agendas for execution of this financial cooperation in stages.
Financial cooperation in Far-East Asia does not only have implications for crisis prevention and management. It can also lay the foundation for establishing a financial infrastructure that promotes regional trade and investment, strengthens linkages in the East Asian financial markets, develops the regional capital markets, and reinforces the regional financial system.
Furthermore, in an effort to stabilize the foreign exchange market, where contagion is most rampant, we should explore the feasibility and viability of a systematic device for stemming vulnerable intra-regional exchange rate fluctuations. The framework for successful regional financial cooperation is as follows: first, there should be an increase in trade linkages through the expansion of intra-regional trade and investment; second, there should be a consolidation of the financial linkages in the region; third, there is a need for minimizing regional exchange rate instability and contagion effects; and finally, there is a need for fostering crisis management capabilities to resolve problems such as illiquidity in emergency situations.
With respect to the visionary goals of long-term regional financial cooperation, it is first essential to draw a road-map for monetary cooperation. In this regard, the issue of a single Asian currency or a regional monetary arrangement could be worthy of consideration. However, practically speaking, the current economic divergence in this region would appear to preclude the sort of policy coordination that would be required to launch a regional monetary arrangement. In addition, a single currency implies a degree of political cooperation that is not currently conceivable in Northeast Asia. Nonetheless, more active macroeconomic policy coordination would contribute to the stability of exchange rates by mitigating the macroeconomic instability accruing from external shocks or by stemming competitive devaluation. Instead of pursuing a complete and consolidated monetary arrangement, a broader form of cooperation would be able to sustain the existing and various exchange rate systems and to consider adopting intermediate regimes in between the two extremes; floating and fixed.
Second, it is crucial to establish a system that will prevent the recurrence of a crisis. At the national level, each country in the region must maintain consistency and coherence in macroeconomic policies and improve the soundness of the financial systems through restructuring. Without strong and sound economic fundamentals in place, countries cannot effectively stem contagion in the region. While addressing internal deficiencies, we must not merely be bystanders to the financial crises of our neighbors, but should instead devise a system that will protect one another and minimize the spread of these crises.
Third, we should develop the financial markets and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financial industry. To do so, each country should endeavor to create a blueprint for long-term development of the financial markets and foster mutual linkages to integrate the markets in the region. The development of Asian bond markets and the opening of a common stock market will contribute to the reduction of the region's heavy dependence on the bank-centered indirect financing of corporations. In addition, more competitive private financial institutions in the region must appear so that they can provide better financial services to corporations in the region at large.
Fourth, we should also enhance financial cooperation in order to promote trade and investment flows in the region. Because of the reciprocity involved in trade flows, a cooperative financial arrangement for preventing the disruption of trade credits should prove to be a suitable solution in times of an emergency. In the medium to long-term, a regional Free Trade Area, or Agreement, will enhance trade and investment cooperation in the region. As core infrastructures, various financial innovations will appear to support trade and investment flows. The ACU (Asian Currency Unit), as a regional currency, and a new payment settlement system, through the internet, will reinforce the ever expanding real sector cooperation. Region-wide commercial and investment banks will also emerge to secure sufficient funds for investment and development.
With respect to the four aforementioned visionary goals for Northeast Asian financial cooperation, we must pursue the following action plans. First, the ultimate vision for regional financial cooperation lies in monetary cooperation, as currency integration is the most advanced form of economic integration. Therefore, while maintaining the existing exchange rate regimes, we must carefully explore means by which to achieve monetary cooperation in stages by reexamining the pros and cons of previous monetary arrangements experimented with when the Euro was developed. Then, we must strive to meet the conditions for ensuring the most appropriate form of monetary cooperation.
Exchange rate cooperation, through the internationalization of the Japanese Yen, mostly driven by the market forces, can be seen as one form of monetary cooperation that has already begun. In the short-term, such monetary cooperation seems feasible in the region, as the overall effects look positive.
Second, the establishment of a credit support arrangement that helps prevent the recurrence of crises, and which more effectively manages any crises that may occur, can be revisited in the medium term. The launch of a regional monetary fund, such as an AMF (Asian Monetary Fund) is far-fetched.
Nevertheless, East Asia, including China, Japan and Korea, can pursue other types of credit support arrangements by utilizing a portion of their foreign reserve holdings. Current workable proposals include expanding bilateral SWAP arrangements, or developing this back-up facility into a region-wide arrangement. These credit support facilities, or arrangements, will be reinforced by the regional surveillance mechanism.
Third, in order to ensure a strong foundation for sustainable growth in the three countries in the reg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domestic and regional capital markets and to strengthen financial systems. The development of long-term, domestic currency denominated securities will require stable and consistent macroeconomic policies, a strong supervisory and regulatory framework for financial institutions, and a proficient administrative capacity to enforce such prudential supervision and regulations effectively. However, fully-fledged capital markets will take some time to develop, although most countries in the region are now moving in the right direction. The three countries in the region should continue to work on financial sector reform through a mutual exchange of knowledge and experience. When the financial markets and the financial systems in the region mature, we will be able to envision the creation of an influential international financial hub that links the three financial centers in the region, Tokyo, Seoul, and Hong Kong (or Shanghai).
Fourth, we should seriously consider creating a Free Trade Area, or Agreement, that consolidates the trade and investment links among the three countries in the region. Although not likely in the near future, the creation of an FTA, if pursued, will have practical significance as long as it is carried out by the year 2020, as proposed in the APEC Bogor Declaration. Furthermore, emergency trade financing schemes should be considered, if not immediately implemented. At this moment, the feasibility of a Bilateral Payment Agreement is questionable, however, mutual credit guarantee schemes for exports may be worthy of examination.
Finally, as discussed in this report, the current and impending issues, and future agendas concerning regional financial cooperation, indisputably cover a broad range of topics. First and foremost, an appropriate regional dialogue framework should be established to promote a regular channel of communication among the three countries, and to enhance mutual understanding. A shared long-term vision, based on this understanding, should then be constructed. Financial cooperation will form the backbone of the implementation of this vision and it is imperative that the initial focus of this cooperation is centered on the prevention of future financial crises. By re-examining the fundamental causes of the last crisis, and by striving to serve as a role model to the others while simultaneously learning from each others' past policy successes and mistakes, the path to future successes and achievements will be set.
Financial cooperation in Far-East Asia does not only have implications for crisis prevention and management. It can also lay the foundation for establishing a financial infrastructure that promotes regional trade and investment, strengthens linkages in the East Asian financial markets, develops the regional capital markets, and reinforces the regional financial system.
Furthermore, in an effort to stabilize the foreign exchange market, where contagion is most rampant, we should explore the feasibility and viability of a systematic device for stemming vulnerable intra-regional exchange rate fluctuations. The framework for successful regional financial cooperation is as follows: first, there should be an increase in trade linkages through the expansion of intra-regional trade and investment; second, there should be a consolidation of the financial linkages in the region; third, there is a need for minimizing regional exchange rate instability and contagion effects; and finally, there is a need for fostering crisis management capabilities to resolve problems such as illiquidity in emergency situations.
With respect to the visionary goals of long-term regional financial cooperation, it is first essential to draw a road-map for monetary cooperation. In this regard, the issue of a single Asian currency or a regional monetary arrangement could be worthy of consideration. However, practically speaking, the current economic divergence in this region would appear to preclude the sort of policy coordination that would be required to launch a regional monetary arrangement. In addition, a single currency implies a degree of political cooperation that is not currently conceivable in Northeast Asia. Nonetheless, more active macroeconomic policy coordination would contribute to the stability of exchange rates by mitigating the macroeconomic instability accruing from external shocks or by stemming competitive devaluation. Instead of pursuing a complete and consolidated monetary arrangement, a broader form of cooperation would be able to sustain the existing and various exchange rate systems and to consider adopting intermediate regimes in between the two extremes; floating and fixed.
Second, it is crucial to establish a system that will prevent the recurrence of a crisis. At the national level, each country in the region must maintain consistency and coherence in macroeconomic policies and improve the soundness of the financial systems through restructuring. Without strong and sound economic fundamentals in place, countries cannot effectively stem contagion in the region. While addressing internal deficiencies, we must not merely be bystanders to the financial crises of our neighbors, but should instead devise a system that will protect one another and minimize the spread of these crises.
Third, we should develop the financial markets and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financial industry. To do so, each country should endeavor to create a blueprint for long-term development of the financial markets and foster mutual linkages to integrate the markets in the region. The development of Asian bond markets and the opening of a common stock market will contribute to the reduction of the region's heavy dependence on the bank-centered indirect financing of corporations. In addition, more competitive private financial institutions in the region must appear so that they can provide better financial services to corporations in the region at large.
Fourth, we should also enhance financial cooperation in order to promote trade and investment flows in the region. Because of the reciprocity involved in trade flows, a cooperative financial arrangement for preventing the disruption of trade credits should prove to be a suitable solution in times of an emergency. In the medium to long-term, a regional Free Trade Area, or Agreement, will enhance trade and investment cooperation in the region. As core infrastructures, various financial innovations will appear to support trade and investment flows. The ACU (Asian Currency Unit), as a regional currency, and a new payment settlement system, through the internet, will reinforce the ever expanding real sector cooperation. Region-wide commercial and investment banks will also emerge to secure sufficient funds for investment and development.
With respect to the four aforementioned visionary goals for Northeast Asian financial cooperation, we must pursue the following action plans. First, the ultimate vision for regional financial cooperation lies in monetary cooperation, as currency integration is the most advanced form of economic integration. Therefore, while maintaining the existing exchange rate regimes, we must carefully explore means by which to achieve monetary cooperation in stages by reexamining the pros and cons of previous monetary arrangements experimented with when the Euro was developed. Then, we must strive to meet the conditions for ensuring the most appropriate form of monetary cooperation.
Exchange rate cooperation, through the internationalization of the Japanese Yen, mostly driven by the market forces, can be seen as one form of monetary cooperation that has already begun. In the short-term, such monetary cooperation seems feasible in the region, as the overall effects look positive.
Second, the establishment of a credit support arrangement that helps prevent the recurrence of crises, and which more effectively manages any crises that may occur, can be revisited in the medium term. The launch of a regional monetary fund, such as an AMF (Asian Monetary Fund) is far-fetched.
Nevertheless, East Asia, including China, Japan and Korea, can pursue other types of credit support arrangements by utilizing a portion of their foreign reserve holdings. Current workable proposals include expanding bilateral SWAP arrangements, or developing this back-up facility into a region-wide arrangement. These credit support facilities, or arrangements, will be reinforced by the regional surveillance mechanism.
Third, in order to ensure a strong foundation for sustainable growth in the three countries in the reg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domestic and regional capital markets and to strengthen financial systems. The development of long-term, domestic currency denominated securities will require stable and consistent macroeconomic policies, a strong supervisory and regulatory framework for financial institutions, and a proficient administrative capacity to enforce such prudential supervision and regulations effectively. However, fully-fledged capital markets will take some time to develop, although most countries in the region are now moving in the right direction. The three countries in the region should continue to work on financial sector reform through a mutual exchange of knowledge and experience. When the financial markets and the financial systems in the region mature, we will be able to envision the creation of an influential international financial hub that links the three financial centers in the region, Tokyo, Seoul, and Hong Kong (or Shanghai).
Fourth, we should seriously consider creating a Free Trade Area, or Agreement, that consolidates the trade and investment links among the three countries in the region. Although not likely in the near future, the creation of an FTA, if pursued, will have practical significance as long as it is carried out by the year 2020, as proposed in the APEC Bogor Declaration. Furthermore, emergency trade financing schemes should be considered, if not immediately implemented. At this moment, the feasibility of a Bilateral Payment Agreement is questionable, however, mutual credit guarantee schemes for exports may be worthy of examination.
Finally, as discussed in this report, the current and impending issues, and future agendas concerning regional financial cooperation, indisputably cover a broad range of topics. First and foremost, an appropriate regional dialogue framework should be established to promote a regular channel of communication among the three countries, and to enhance mutual understanding. A shared long-term vision, based on this understanding, should then be constructed. Financial cooperation will form the backbone of the implementation of this vision and it is imperative that the initial focus of this cooperation is centered on the prevention of future financial crises. By re-examining the fundamental causes of the last crisis, and by striving to serve as a role model to the others while simultaneously learning from each others' past policy successes and mistakes, the path to future successes and achievements will be set.
Ⅰ. 서론
Ⅱ. 동북아 금융협력의 필요성
1. 동북아 역내교역의 증대
2. 동아시아 금융시장의 연계성 강화
3. 역내환율안정의 필요성
4. 유동성 부족문제의 해결
Ⅲ. 동북아 금융협력의 장기적 비전
1. 통화협력을 통한 역내 환율안정화
2. 위기재발 방지체제의 구축
3. 역내 금융산업 발전 및 금융시스템의 강화
4. 무역 및 투자활성화를 위한 금융협력
Ⅳ. 동북아 금융협력의 추진 전략
1. 통화협력 및 역내 환율안정화 방안
2. 위기재발 방지체제의 구축 방안
3. 금융산업 발전 방안
4. 무역 및 투자 활성화를 위한 금융협력
Ⅴ. 동북아 금융협력의 단계별 심화/확대 전략
1. 한-중-일 금융협력의 전략
2. 한-중 금융협력의 전략
3. 한-일 금융협력의 전략
Ⅵ. 결론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Ⅱ. 동북아 금융협력의 필요성
1. 동북아 역내교역의 증대
2. 동아시아 금융시장의 연계성 강화
3. 역내환율안정의 필요성
4. 유동성 부족문제의 해결
Ⅲ. 동북아 금융협력의 장기적 비전
1. 통화협력을 통한 역내 환율안정화
2. 위기재발 방지체제의 구축
3. 역내 금융산업 발전 및 금융시스템의 강화
4. 무역 및 투자활성화를 위한 금융협력
Ⅳ. 동북아 금융협력의 추진 전략
1. 통화협력 및 역내 환율안정화 방안
2. 위기재발 방지체제의 구축 방안
3. 금융산업 발전 방안
4. 무역 및 투자 활성화를 위한 금융협력
Ⅴ. 동북아 금융협력의 단계별 심화/확대 전략
1. 한-중-일 금융협력의 전략
2. 한-중 금융협력의 전략
3. 한-일 금융협력의 전략
Ⅵ. 결론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 185 |
---|---|
판매가격 | 7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세계지역전략연구
Exploring Urban Perception on Climate Change in Developing Countries
2024-08-29
단행본
2023 KIEP 정책연구 브리핑
2024-06-28
연구보고서
대러 경제 제재가 러시아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한-러 경제협력 안정화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글로벌 경제안보 환경변화와 한국의 대응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인도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몽골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몽골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전략 추진을 위한 한-태평양도서국 중장기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 기술경쟁 시대 중국의 강소기업 육성전략과 시사점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경쟁에 따른 아세안 역내 공급망 재편과 한국의 대응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남아공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자료
동티모르의 아세안 가입 지원 및 개발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멕시코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멕시코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호주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호주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시대 한ㆍ인도 경제협력의 방향과 과제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 서비스 산업 구조 분석과 한-인도 산업 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일본의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관리와 한·일 간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연구보고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EU의 '개방형 전략적 자율성' 확대에 미친 영향: 에너지 전환, 인적 교류, 안보 통합을 중심으로
2023-12-30
연구보고서
중동부유럽으로의 EU 확대 평가와 향후 전망
2023-12-29
중국종합연구
한중 탄소중립 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2023-12-29
중국종합연구
2023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3-12-29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