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보고서 부패 방지의 국제적 논의와 무역비용 개선의 경제적 효과 경제개혁, 경제협력

저자 김상겸, 박순찬, 강민지 발간번호 17-05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7.11.24

원문보기(다운로드:3,420)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세계화가 진전되고 경제통합이 심화되면서 부패의 폐해는 국제교역에서 준수되어야 하는 공정경쟁 질서의 파괴로 이어지고 있다. 2017년 5월 세계은행(World Bank)은 세계 GDP의 2%에 해당하는 미화 1조 5,000억 달러가 매년 부패 용도로 낭비되고 있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이와 같이 부패로 파생되는 경제적 손실과 교역질서 왜곡 현상을 예방하고 시정하기 위해 OECD(뇌물방지협약, 1997)와 UN(반부패협약, 2003)은 부패 방지를 위한 협약을 제정하여 국제사회의 지원과 동참을 촉구하고 있다.
  한국은 OECD, UN, G20, APEC 등 국제사회의 부패 방지 활동에 동참하고 있으며 2016년 청탁금지법 도입으로 공직사회의 부패 척결 의지를 대내외적으로 강력하게 천명하고 있다. 그러나 대내적으로는 정경유착의 전형인 정치권과 대기업이 연계된 부패 관련 스캔들이 끊이지 않고 발생하고 있으며, 한국의 부패 수준에 대한 국제사회의 평가 역시 긍정적이지 않다. 일례로 국제투명성기구에서 2016년 발표한 한국의 부패인식지수(CPI)는 전년대비 15단계 하락한 52위로 아프리카 소국 ‘르완다’보다도 청렴도가 낮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부패는 추가적인 사회적 경제적 비용 발생과 자원 배분의 왜곡 현상을 촉발하기 때문에 국가 이미지 형성과 국제경쟁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연구는 한국경제의 지속적인 성장과 국제경쟁력 제고라는 정책수요에 부응하기 위하여 부패행위가 국제교역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고찰하고 시사점을 도출할 목적으로 추진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부패가 경제적 비효율성을 증가시켜 공정한 경쟁구도를 왜곡한다는 논리에 근거하여 부패 방지 정책의 성공적인 이행 시 기대되는 무역증대 효과와 후생효과를 추정하고 이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할 예정이다. 동 결과는 부패 척결의 유익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 형성과 관계부처의 부패 방지 정책 좌표 설정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2장에서는 부패 방지를 위한 국제사회에서의 논의 흐름과 협력과제를 살펴보았다. OECD 뇌물방지협약(OECD Anti-Bribery Convention) 및 UN 반부패협약(UN Convention against Corruption) 등 부패 방지 관련 법안이 제정되고 이행을 촉구하고 있으며, 또한 APEC, G20 등에서도 반부패 작업반을 구성하고 행동계획을 채택하여 부패 방지를 위한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WTO에서는 반부패 관련 규범을 수립하지는 못하였으나 정부조달협정 및 무역원활화협정에서 부패를 줄이기 위한 규정을 마련하였고 미국은 한ㆍ미 FTA, TPP 등의 자유무역협정에 반부패 관련 규범을 포함시키고 관련 규정을 심화ㆍ발전시키고 있다. 경제, 사회적으로 국제사회의 통합이 심화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할 경우 부패 방지를 위한 초국가적 협력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제3장에서는 효율적인 부패 통제의 효과 추정과 정책적 함의 도출을 위해 한국의 부패 인식 수준을 조망하고 부패 방지 정책의 효율적인 운영을 저해하는 원인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국제투명성기구(TI: Transparency International)의 2016년도 부패인식지수(CPI: Corruption Perceptions Index)와 국제경영개발원(IMD: International Institute for Management Development), 세계경제포럼(WEF: World Economic Forum) 등 국제적인 부패 평가기관의 조사와 한국 국민권익위원회의 부패인식도 조사 결과를 검토하였다. 종합 분석 결과 ① 정부 부패 방지 정책 추진의 비효율성 ② 일반 국민의 낮은 부패 방지 참여 의식 ③ 기업의 윤리의식 결여 등이 한국 부패 방지 제도의 효율성을 저해하는 핵심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제4장에서는 Novy(2013)의 방법에 따라 무역비용의 대용변수를 마련하고 부패가 무역비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부패 통제와 무역비용의 상관관계는 국제투명성기구의 부패인식지수를 대용변수로, 세계은행의 부패통제지수는 대안지수로 설정하고 중력모형을 활용하여 추정하였다. 추정 결과에 의하면 부패인식지수가 1% 증가하면 무역비용이 0.406%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부패에 대한 대안지수로 세계은행의 부패통제지수를 이용한 결과, 통제지수가 1포인트 증가하면 무역비용은 21.7% 감소한다는 결과가 추정되었다. 부패통제지수는 –3∼3의 값을 갖고 있는데, 2011년 우리나라의 부패통제지수는 0.461이고 미국의 부패통제지수는 1.265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부패통제지수가 1포인트 증가하기 위해서는 부패가 상당 수준으로 감소해야 함을 의미한다.
  제5장에서는 계산 가능한 일반균형(CGE) 모형을 활용하여 부패가 무역 및 후생에 미치는 경제적 효과 추정을 위한 실증분석을 시도함으로써 국제교역의 흐름에 영향을 미치는 부패의 경제적 효과를 도출하였다. 먼저 우리나라 부패 방지 수준이 APEC 국가의 평균 수준으로 향상된다고 가정한 시나리오에서 우리나라의 실질 GDP는 최대 2.4% 증가하고 수출은 중장기적으로 3.84%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우리나라 부패 방지 수준이 OECD 평균으로 상승하여 무역비용이 11.973% 절감될 경우 실질 GDP가 8.36% 증가하고, 후생 증가의 금액은 약 1,583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자본 축적에 따른 추가적인 효과를 고려하면 실질 GDP는 약 23% 증가한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제6장에서는 앞선 분석을 바탕으로 부패 척결을 위한 유효하고 실행 가능한 다음의 개선과제를 제시하였다. 첫째, 한국기업의 윤리경영원칙 확립과 국제사회에서의 보다 능동적인 책임 준수와 기여가 요구된다. 둘째, 미국의 FCPA 및 우리 형법보다 엄격한 영국의 양형 기준과 무관용 처벌 기준을 참고하여 한국의 부패 방지 제도를 재정비하는 기회로 삼아야 할 것이다. 셋째, 싱가포르와 홍콩과 같이 부패 방지 전담기구에 강력한 권한을 위임하고 부패의 폐해에 대한 교육 강화를 통하여 효율적인 부패 방지 시스템을 구축한다. 마지막으로 내부고발 제도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익명신고 제도 확충, 공익신고자 대상 확대와 함께 내부고발자의 전직, 승진, 특별채용, 보상금 증액 등의 보상체계 강화를 위한 정책적 고려가 요망된다.
  본 연구는 부패 수준과 무역비용, 무역의 상관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경제적인 효과를 추정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으로 기여하고 있으며 한국이 국제사회에서 청렴하고 공정한 국가로 인정받기 위해서 국민, 정부, 기업이 혼연일체가 되어 추진하여야 하는 정책과제와 그 해법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활용한 CGE모델은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계량분석에서 사용한 변수의 구조와 특성에 따라 기술적으로 포착하지 못한 현상의 해석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보다 현실에 접근한 실증분석 시도를 위해 부패 발생의 새로운 영역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접근과 기업의 책임경영 의식 부재와 연계되어 불공정하게 발생하는 부가가치 요소를 감안한 GVC 부패 index 개발을 추후 과제로 남겨 둔다.
  아울러 본 연구는 부패인식지수와 부패통제지수를 이용하여 각 국가의 부패가무역과 무역비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러나 한 국가의 부패 수준은 국가의 개발 정도, 제도(institution) 등과 밀접한 연관이 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국가 발전 정도에 따른 그룹별 차이, 제도와 부패 수준의 상호작용이 무역비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도 추후 과제로 남아 있다. 

  The World Bank estimates that US $1.5 trillion, or 2 percent of global GDP, is paid each year in bribery. Moreover, as globalization advances and economic integration deepens, this corruption undermines and distorts fair competition in international transactions as it induces misallocation of resources. The OECD (Anti-Bribery Convention of 1997) and the UN (Anti-Corruption Convention of 2003) have established legally binding standards to fight against corruption. Korea is a party to the OECD (United Nations) Anti-Bribery (Corruption) Convention, and is actively engaged in anti-corruption activitie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cluding the G20 and APEC. However, over the years Korea has been ceaselessly embroiled in bribery scandals, which has damaged its global image and reputation. According to the 2016 survey of CPI (Corruption Perception Index) conducted by Transparency International, Korea ranked 52nd place out of 176 countries, a rank plunge by 15 steps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examine how corruption affects trade, economic growth and welfare. Based on these empirical findings, polic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anti-corruption policy will be drawn. These evidence-based analyses and policy suggestions can then be used to form a public consensus on the benefits of successfully implementing anti-corruption policy.
  Chapter 2 explores anti-corruption efforts taking place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members of the OECD concluded the 1997 OECD Anti-Bribery Convention and 2009 Recommendation. In addition to these measures, the OECD published the Guidelines for Multinational Enterprises to combat bribery in international business transactions. In 2003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against Corruption (UNCAC) was concluded at the UN, making it the most comprehensive and universal of international anti-corruption instruments, and currently state members are undergoing Implementation Review. The G20 is biannually publishing the G20 Anti-Corruption Action Plan and has been releasing its High-Level Principles series on several anti-corruption issues. The APEC, OAS, EU have also been contributing to the enhancement of anti-corruption policies and capacities in the region. The WTO failed to conclude anti-corruption norms but some regulations in the Government Procurement Agreement and Trade Facilitation Agreement have been designed to improve transparency and tackle corruption. Free trade agreements initiated by the U.S. such as the KORUS FTA and TPPA include anti-corruption provisions and the contents of those provisions have evolved over time.
  In Chapter 3, we attempted to examine the inefficient and ineffective elements embedded in Korean anti-corruption policy and its implementation. We also utilize the outcome of surveys produced by the Transparency International (TI), the International Institute for Management Development (IMD), World Economic Forum (WEF) and Korea’s Anti-Corruption and Civil Rights Commission. The results of the analyses are as follows: ① Inefficiency of government anti-corruption policy, ② Low public awareness of anti-corruption participation, and ③ Lack of ethical awareness of corporations are identified as the key factors that hinder the efficiency of anti-corruption systems.
  In Chapter 4, we use the Novy (2013) model to empirically measure the effect of corruption on trade costs. The correlation between corruption control and trade costs was estimated using the corruption perception index of the Transparency International as a proxy variable and the corruption control index of the World Bank as an alternative index. According to the estimation outcome, the trade cost decreased by 0.406% when the corruption perception index increased by 1%. On the other hand, when we apply the World Bank’s Corruption Control Index as an alternative index, a one-point increase in the control index is expected to yield a 21.7% reduction in trade costs.
  In Chapter 5, we attempted to measure the economic effects of corruption on trade and welfare by using a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CGE) model. In the first scenario, in which we assume an improvement in Korea’s level of anti-corruption to the average level of APEC economies, exports are expected to increase by 3.84% over the medium to long term. Meanwhile, when Korea’s anti-corruption level rises to the OECD average, in which scenario trade cost is assumed to be reduced by 11.973%, real GDP increased by 8.36% and the welfare increase amounted to about $158.3 billion. Also, taking into account the additional effects of capital accumulation, real GDP gain could reach up to 23%.
  In Chapter 6, based on the previous analysis, we propose the following policy suggestions. First, Korean businesses should establish ethical management principles to correct illicit business behavior. In addition, as addressed by the OECD Policy Framework for Investment, Korean companies should be more actively responsive to societal expectations communicated for instance by inter-governmental organizations, within the workplace, by local communities and trade unions, or via the press. Second,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take concrete steps to fight corruption, and take the UK Anti-Corruption Plan and US FCPA and Criminal Code as reference points for establishing “zero tolerance” practices. Third, the Korean government may consider delegating a powerful level of authority to corruption prevention organizations in the manner of Singapore and Hong Kong, and building an effective anti-corruption system by reinforcing education on the harmful effects of corruption. Finally, there is a need for policy consideration to provide stronger protection for so-called “whistleblowers” to facilitate the process of reporting cases of public and private corruption and foreign bribery.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academia in that it is the first attempt to estimate the correlation between levels of corruption, trade costs and trade. However, despite the many advantages of the CGE model, it is inevitably subject to interpretation of the estimates, which in turn cannot be technically captured by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variables used in the quantitative analysis. In order to conduct an empirical analysis which is more realistic in its approach, we will continue to develop a GVC corruption index that takes an in-depth approach to new areas of ​​corruption occurrence and value added factors.
  In addition, while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corruption on trade and trade costs using the corruption perception index and corruption control index, we cannot rule out the possibility that corruption levels in a country bear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stage of development or institutions of the country. The challenge of analyzing the effect that interactions between the system and level of corruption have on trade costs remains a task for future study. 

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목적과 방법
3. 연구의 차별성과 보고서의 구성


제2장 국제사회의 부패 방지 논의 동향

1. 국제기구에서의 부패 방지 활동
    가. OECD
    나. UN
    다. G20
    라. 지역기구
    마. 소결
2. 무역협정에서의 논의 현황
    가. WTO
    나. FTA
    다. 소결


제3장 한국의 부패 수준에 대한 국제적 평가와 과제

1. 한국의 부패 수준에 대한 국제사회의 평가
    가. 한국의 부패 방지 제도
    나. 한국의 부패 인식 수준에 대한 국제사회의 평가
2. 부패 방지 제도의 효율성 저해요인
    가. 정부 부패 방지 정책 추진의 비효율성
    나. 일반 국민의 낮은 부패 방지 참여 의식
    다. 기업의 윤리의식 결여
3. 소결


제4장 부패와 무역 및 무역비용

1. 부패와 무역 및 무역비용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배경
2. 무역비용의 도출
    가. 무역비용의 도출
    나. 무역비용 현황
3. 부패가 무역에 미치는 영향
    가. 실증분석모형과 데이터
    나. 분석 결과
4. 부패가 무역비용에 미치는 영향
    가. 실증분석모형과 데이터
    나. 기본 분석 결과
    다. 강건성 검증(robustness check)


제5장 부패 방지의 경제적 효과 분석

1. 실증분석을 위한 시나리오 구상
    가. 시나리오 구상을 위한 고려사항
    나. 시나리오 설정
2. 부패 방지의 경제적 효과 분석
    가. 시나리오의 설정의 경제적 함의
    나. 분석모형 및 데이터
3. 분석 결과


제6장 결론 및 정책제언

1. 부패 방지 정책의 경제적 효과 및 정책 함의
2. 부패 문제 해결을 위한 개선과제
3. 부패 방지 정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정책제언
    가. 부패 방지 제도 개선을 위한 외국의 모범사례 활용
    나. 국제공조 확대
4. 맺음말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182
판매가격 7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중국종합연구 한중 탄소중립 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2023-12-29 중국종합연구 2023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3-12-29 중국종합연구 탄소중립 시대 중국 동북지역 한중 지역개발 협력방안 : 중국 지린성을 중심으로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한-인도 해운·항만산업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아세안 주요국의 난민지원정책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2023-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중동·북아프리카 식량위기에 대한 역내 인식과 대응 및 협력방안 2023-12-27 단행본 만화로 보는 세계경제 2023 2023-12-23 세계지역전략연구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주요국의 탈탄소 정책과 청정에너지부문 협력 방안 2023-11-29 연구자료 동지중해 천연가스 개발 현황과 한국의 협력 방안 2023-10-20 연구보고서 경제안보 이슈의 부상과 대외협력 방향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주요국의 대남아시아 경제협력전략과 정책 시사점: 중국, 일본, 인도를 중심으로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전략 경쟁 시대 글로벌 기업의 대응과 중국진출 한국기업에 대한 시사점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일본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일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한국-동남아 가치사슬 안정화를 위한 메콩지역 협력 방안 연구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아세안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아세안 협력 방안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중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중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자료 방글라데시 기후변화 영향 분석 및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인도의 신·재생에너지 시장 및 정책 분석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중국 도시의 녹색전환 정책과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경쟁 하 중남미의 GVC 참여와 RVC 구축 연구 2022-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