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연구보고서
2016년 포스트 나이로비 DDA 협상의 동향을 감안할 때 사실상 기존 DDA는 명맥만 유지한 채 새로운 DDA가 시작된 것으로 판단된다. 기존 핵심 협상의제인 농업이나 NAMA, 서비스 등의 협상은 사실상 중단된 상태이며, 특정 이슈에 대한 복수국간협상만이 진전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다자접근방식(multilateral approach)보다 복수국간접근방식(plurilateral approach)이 협상의 대세로 자리잡았고, 또한 협상도 복수국간협상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한편 전자상거래 등 새로운 DDA 의제 도입 논의는 초기이지만 전자상거래만큼은 대부분의 WTO 회원국이 참여하여 입장을 제시할 정도로 적극적이다. 이러한 점들로 미루어볼 때 비록 공식적으로는 기존 DDA의 중단을 말할 수 없어도 사실상 새로운 성격의 DDA가 개시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가운데 글로벌 통상환경은 2008~09년 세계경제위기를 계기로 크게 변하였다. 최근의 세계무역 증가율은 이전 기간(1987~2007년까지의 30년 평균)에 비해 절반 가까이 떨어졌으며, 세계 GDP 증가율을 하회하는 구조적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최근 브렉시트나 미국 대선과정에서 나타난 반무역자유화 정서 내지 보호무역주의 경향으로 인해 세계적으로 확산되어온 무역자유화 정책에 대한 재검토가 불가피하게 되었다. 한편 그동안 큰 관심을 두지 않던 기후변화문제도 2015년 12월 파리 기후변화협약이 도출되면서 조만간 국제적인 감시와 권유를 통해 구속력 있는 감축의무가 구체화될 전망이다.
포스트 나이로비 DDA 전개방향에 대한 이러한 불확실성 증대와 새롭게 나타나기 시작한 국제무역 및 글로벌 통상환경의 구조적 변화는 우리나라의 DDA 협상 대책은 물론 WTO 중심의 다자통상정책의 새로운 방향 설정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국제통상환경의 변화라는 큰 틀 속에서 포스트 나이로비 DDA 대책을 포함한 우리나라 다자통상정책의 방향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단기 DDA 협상 대책 및 중장기 다자통상정책의 방향으로 요약할 수 있다.
먼저 단기 포스트 나이로비 DDA 협상의 의제별 대책으로 농업은 시장접근분야 및 보조감축에 중점을 두되 시장접근분야에서 관세감축방식이 다시 논의될 경우 우리나라는 평균감축방식을 지지할 필요가 있다. 이는 수입국 입장에서 농업부문에 고율관세를 유지하는 데 기존의 구간별 감축방식보다 평균감축방식이 더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국내보조는 향후 품목별 보조정책의 원활한 운용을 위해서 품목별 감축보조의 지급상한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국내 쌀 가격이 하락하면 쌀의 변동직불금이 급증해 쌀은 물론 우리나라 전체로도 보조감축 이행이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에 품목별 보조감축의 신축성 확보에 노력해야 한다.
NAMA는 복수국간협상이 우세하기 때문에 큰 진전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산품 관세감축방식이 논의될 경우 기존의 스위스공식보다 평균감축방식이 우리나라의 수출시장 확보에 유리하기 때문에 평균감축방식을 지지할 필요가 있다. 단 최소감축률을 높이는 데도 신경을 써야 한다. 수산물의 경우 계수 20의 스위스공식 적용에 따른 두 종류의 신축성은 관세감축 측면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소수의 특정 품목에 대한 관세감축 면제가 유리한지 아니면 대상품목을 늘리되 대신 감축 면제가 아닌 감축폭 우대가 유리한지의 정책적 선택이 중요하다.
수산보조금의 경우 미국 중심의 복수국간협상이 활성화될 경우 이에 적극 참여하여 초기의 기술 및 규율 논의단계에서부터 우리의 입장을 적극 반영시켜야 한다. 보조금 규제 논의는 파리 기후협약 합의를 활용하여 ① 먼저 유해한 수산보조금에 대한 예시목록을 도입해 실제 보조 내용과 수준을 확인하고 ② 구체적인 감축방안은 각국 정부에 일임하되 대신 WTO 차원에서 사후 검토를 통해 그 결과를 확인하여 이행을 촉구하는 방안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접근방식은 각국이 취할 정책수단이 타당성과 합법성을 갖는 동시에 정책재량권(policy space)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선진국과 개도국 간 타협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중장기 다자통상정책의 방향으로는 첫째, 무역자유화 혜택의 재분배(중소기업과 중산층을 위한 무역자유화) 둘째, 복수국간협상의 확산에 전략적으로 대응 셋째, 기후변화체제와의 조화 넷째, 다자 및 양자 통상의 조화 등을 제시하였다.
다자통상정책의 기본 방향은 국제경쟁력을 가지고 있으면서 해당국의 국내규제 때문에 실질적 시장접근에 애로를 겪고 있는 중소기업을 위해 국경 너머의 통관절차와 각종 인?허가, 규제 등의 투명성을 높여 그것이 가지고 있는 장벽으로서의 영향력을 낮추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이를 위해 무역 및 통관과 관련해 불필요하거나 복잡한 절차, 관행 등을 간소화 또는 제거하여 교역을 확대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이때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기타결된 무역원활화 협정이고, 따라서 무역원활화 협정의 조기발효를 적극 추진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상품에서의 무역원활화 못지않게 서비스분야에서의 무역원활화도 필요하다. 제도적 측면에서 서비스분야의 관련 규제개혁을 의제로 제시, 서비스분야의 무역원활화를 적극 추진해볼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향후 실질적 무역장벽은 눈에 보이는 관세보다는 비관세 장벽이 실질적 애로로 다가올 것이다. 이에 따라 다자 차원에서 비관세장벽의 조화를 추구하는 것이 중요하며, 초기 관련 데이터베이스 구축부터 우리나라가 주도해나갈 수 있는 대표적인 의제이기도 하다.
한편 복수국간협상 확산에 전략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1단계로 모든 제조업분야에서 무세화 가능분야를 선정해, 우리나라가 적극적으로 복수국간협상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특히 복수국간협상을 상품분야에 한정할 필요는 없다. 규제프리(regulation free) 내지 규제개선(regulation improvement) 개념을 확산시켜 특정 서비스분야나 관세 이외 영역에서 ‘규제철폐’ 내지 ‘규제개선’을 통해 규제의 장벽효과를 대폭 낮추고 그 투명성을 크게 높일 필요가 있다.
무역과 환경의 경우 기후변화대응체제와 조화로운 무역규범을 수립하는 것이 핵심이다. 특히 현 WTO 보조금협정의 개정을 통해 환경보조금 등을 허용화하는 방안을 추진해볼 필요가 있다. 아울러 잠정적으로 WTO 각료회의를 통해 기후변화대응 공동행동(collective action)과 같은 각료합의를 이끌어내 환경보조금을 상호 허용하는 방안을 생각해볼 수도 있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WTO의 무역정책검토(TPR)를 활용하여 환경과 무역 간 상충문제를 논의해, 각국이 기후변화대응을 목적으로 도입?활용하는 환경 관련 조치의 영향을 투명하게 평가하고, 이를 적절한 수준에서 제도적으로 허용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글로벌 통상환경의 변화를 감안한 다자통상정책의 방향은 내부적으로 양자 및 지역 통상, 복수국간통상과의 조화를 통한 시너지 극대화 측면도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도 날로 복잡해지고 있는 원산지규정을 하나의 큰 틀에서 조화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며, 그동안 동시다발적으로 체결한 양자 특혜관세를 감안하여 다자 차원의 관세 조정작업도 병행해서 이루어져야 한다.
The WTO’s Tenth Ministerial Conference, held in Nairobi on December 2015, concluded with the adoption of the “Nairobi Package”, several ministerial decisions on agriculture, cotton and least-developed countries. The Nairobi Package includes a historic decision to eliminate agricultural export subsidies, the most important reform of international trade rules in agriculture since the WTO was founded. The biggest disagreement among WTO members, however, goes beyond specific substantive issues: it is about the future of the Doha agenda and the WTO’s negotiating function itself. While developing countries wished to continue with negotiations, industrialized nations, chief among them the United States, called for an end to the Doha Round. The Nairobi Ministerial Declaration also acknowledges that WTO members “have different views” on the future of the Doha Round negotiations but notes the “strong commitment of all members to advance negotiations on the remaining Doha issues”.
In this situation, there have been significant changes in international trade since recent decades. First, trade growth has been anaemic since 2010. Already before the 2008 Global Crisis hit, the rate of growth of the ratio of global trade to GDP had slowed considerably. Most recent data show trade values declining. Second, plurilateral negotiations are rapidly widespread in the WTO. In particular, developed members have pushed for more sectoral deals like the ITA-II. Currently, a similar deal on tariff reductions for environmental goods is being negotiated. More sectoral tariff liberalization of this sort might be a good area to pursue. Along the same lines, the trade in services talks going on in Geneva could be brought formally into the WTO framework.
Third, at the Paris climate conference (COP21) in December 2015, 195 countries adopted the first-ever universal, legally binding global climate deal, which is expected to affect a significant impact on global trade. At the heart of the Paris climate agreement are national-level plans, called Intended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s (INDCs), to reduce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Although these INDCs are voluntary, they are considered a critical first step for an agreement designed to progressively ratchet up national commitments to collectively limit a global temperature rise to 1.5 degrees Celsius above pre-industrial age levels. It is now time that we have to design a harmonization between trade and environments.
Finally, increasing anger over globalization would rapidly spread. The unhappiness is evident in Britain's vote in June 2016 to leave the European Union and in the U.S. presidential campaign of Republican Donald Trump.
Under the above situations, the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as new directions of Korea’s multilateral trade policy. First, New multilateral trade policies should aim to spread benefits of trade liberalization out whole people, particularly focusing o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SMEs) and the middle class. Small businesses often find the playing field for trade is not level. While the market is generally open with no tariffs, small businesses face a strong thicket of domestic regulations and non-tariff barriers, which are hardly to be overcome by SMEs. In this respect it is important to effectuate the trade facilitation agreement at 2013 Bali Ministerial as soon as possible.
Second, Korea should prepare for the proliferation of plurilateral negotiations led by developed countries. With the WTO now reaching 164 members, we will rarely agree on all aspects of even one issue. That means we will likely also have to be flexible on who participates. In some cases, we will have to work on trade deals between smaller groups of countries as well―so-called plurilateral agreements. At the same time, it is highly projected that various plurilateral negotiations appear in near future within the framework of the WTO, since developed countries, in particular, the U.S. pursued continuously several plurilateral negotiations such as EGA, TiSA, Fishery subsidies. Prior to joining the plurilateral negotiations, a detailed examination for the economic impacts of plurilateral negotiations should be completed.
Third, it should fully consider free trade’s negative impact on climate. Climate change is the biggest sustainable development challenge that the international communityhas had to tackle to date. Korea joined 175 countries in signing the United Nations Paris climate agreement setting a path forward to reduce global greenhouse gas emissions. Thus, it is time that we should think how to harmonize trade policies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policies. We have to think about environmental subsidies as green subsidies, which are allowed in the WTO system.
Finally, Korea also should pursue the harmonization among bilateral, plurilateral, and multilateral trade policies. Particularly, long-run multilateral trade policies need to pursue the harmonization of preferential ROOs consistent with WTO rules.
To break the current deadlock of WTO negotiations, both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must commit to working together to prevent the re-emergence of protectionism, and strengthening of the rules based trading system, in a way that is fair, development oriented and inclusive. This is the only basis to resolve the current crisis in the multilateral trading system and create a more secure and peaceful world. Losing the WTO as an effective forum for trade liberalization would be a setback for free trade. Despite its existing successes, there is much more the WTO could achieve, as trade liberalization is most beneficial when carried out multilaterally. It is therefore in the interests of all governments to make the WTO work by committing to trade liberalization in relation to their own protectionism. Trade is critical to development and growth. The world needs a WTO that can effectively develop global rules on the issues that matter to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alike. Whether Doha is dead or alive, the WTO needs to spur growth and support development.
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주요 연구내용과 연구의 추진도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제2장 글로벌 통상환경의 변화와 다자통상정책 방향에 주는 시사점
1. 글로벌 통상환경의 변화
가. 글로벌 무역 감소와 원인
나. 복수국간통상협상의 확산
다. 신무역이슈의 부상
라. 기후변화협약의 이행
마. 반무역자유화 정서와 보호주의 경향의 확산
2. 다자통상정책 방향에 주는 시사점
가. 제조업 중심에서 서비스 및 전자상거래 중심으로 전환
나. 복수국간협상에 효과적으로 대응
다. 기후변화협정의 조화로운 이행
라. 중소기업과 중산층을 위한 무역자유화 혜택 확대
제3장 나이로비 각료합의의 평가와 포스트 나이로비 DDA 전망
1. 나이로비 각료합의의 평가
가. 각료회의 직전까지의 DDA 경과
나. 분야별 합의 도출과정과 주요 합의내용
다. 나이로비 각료 결정의 평가
라. DDA 전망에 주는 시사점
2. 포스트 나이로비 DDA 전망
가. 개괄
나. 주요 의제별 전망
다. 종합: DDA 2.0 출발의 서곡
제4장 포스트 나이로비 다자통상정책
1. 단기 DDA 협상 대책
가. 농업
나. NAMA
다. 규범: 수산보조금
2. 중장기 다자통상정책의 방향
가. 무역자유화 혜택의 재분배: 중소기업과 중산층을 위한 무역자유화
나. 복수국간협상 확산에 효율적으로 대응
다. 기후변화 대응체제와 조화
라. 양자 및 지역 통상과 조화를 통한 시너지 극대화
제5장 정책 제언
1. 포스트 나이로비 WTO 대책
가. 농업
나. NAMA
다. 규범: 수산보조금
2. 중장기 다자통상정책의 방향
가. 무역자유화 혜택의 재분배: 중소기업과 중산층을 위한 무역자유화
나. 복수국간협상 확산에 효율적으로 대응
다. 기후변화 대응체제와 조화: 환경정책과 무역규범의 조화를 위한 다자통상정책
라. 양자 및 지역 통상과 조화를 통한 시너지 극대화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 184 |
---|---|
판매가격 | 7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