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세계지역전략연구 포스트 코로나 시대 아프리카 ICT 국제개발 협력수요 및 한국의 협력방안 경제관계, 경제협력

저자 최영출, 김태성, 권유경 발간번호 20-13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21.06.21

원문보기(다운로드:4,922)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본 연구는 2020년 초에 시작된 전 세계적인 코로나 팬데믹이 아프리카 국가들에 미치고 있는 생활상의 변화를 다양한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파악하고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여, 한국의 ICT를 활용한 공적개발원조(ODA) 정책의 새로운 전략적 방향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공공행정, 보건의료, 농업, 금융, 교육 분야에서 한국의 우수한 ICT를 활용하는 경우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아프리카에 대한 ODA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여지가 많다고 보이며 이를 위한 전략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위에서 제시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아래와 같은 연구방법을 활용한다. 첫째, 국내외 코로나 관련 통계 및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통계자료를 활용한다. OECD, IMF, World Bank, WHO, KOICA, ITU, African Union 등 국내외 기관들에서 발간한 통계자료를 활용한다.
둘째, 서적, 논문, 인터넷을 활용한 온라인 자료 등을 활용한다. 온라인 자료는 인터넷 조사를 통한 자료 및 유튜브의 동영상 자료 및 아프리카의 신문도 분석한다. 코로나 이후 아프리카 주민들의 생활상이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에 대한 상황 분석을 위하여 유튜브의 내용을 분석한다. 분석내용은 제4장의 수요예측을 위한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형 설정에 반영한다.
셋째, 아프리카 출신 학생들에 대한 서면조사 및 인터뷰 조사를 실시한다. 코로나로 인하여 아프리카 현지 출장이 어려우므로 이에 대한 보완책으로 한국에 유학 중인 아프리카 학생들을 대상으로 서면 설문조사 및 Zoom을 이용한 인터뷰를 실시한다. 이는 코로나 이후 아프리카의 사회·경제적 생활상의 변화를 예측하고, 확인 및 보완하는 데 활용한다. 넷째, 사회연결망(Social Network) 분석방법, AHP(Analytical Hierarchy Process), 시스템 다이내믹스 방법(System Dynamics)을 활용한다. 코로나 이후 아프리카 주민들의 사회·경제적 수요를 파악하는 방법으로 트윗 자료와 아프리카 인터넷 신문(Africa News)의 신문기사를 활용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다. 네트워크 분석결과는 시스템 다이내믹스에 의한 모형설정에 활용한다. 최근에 외국의 연구자들은 사회연결망 분석과 시스템 다이내믹스 방법의 결합을 통하여 더욱 정교한 방법론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이러한 시도를 한 연구가 거의 없다. 아울러,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AHP 분석을 실시한다. 아프리카를 대상으로 한 ICT ODA 사업이나 연구 경험이 있는 전문가 5인을 선정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하여 ICT ODA의 향후 우선순위 분석 및 그간에 이루어진 사업들에 대한 성과평가 등에 대한 전문가용 분석을 실시한다. 아울러, 분야별로 사회·경제적 수요에 바탕을 둔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수요를 파악하고 이를 정책방향 설정에 활용하기 위하여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활용한다.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아프리카 대륙 국가 54개국을 대상으로 한다. 이 54개 국가들을 공통으로 다루면서도 동시에 이 중에서 한국의 ODA 중점협력대상 국가인 가나, 모잠비크, 우간다, 에티오피아, 르완다, 탄자니아, 세네갈 등 7개 국가에 대해서 보다 세부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다만, 본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 제3기 중점협력국가들이 새로 선정되었다. 새로 선정된 국가들은 이집트, 가나, 르완다, 세네갈, 에티오피아, 우간다, 탄자니아 등으로 모잠비크 대신에 이집트가 새로 선정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7개 국가를 주요 대상으로 하기로 한다.
본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아프리카 ODA 관련 최근 10년 통계를 주로 활용하지만 코로나 사태가 가져올 영향은 코로나 이전 시대와는 큰 차이가 있기 때문에 2020년 이후를 예측한 통계를 주로 다루고자 하며 특히 새로운 CPS (Country Partnership Strategy) 적용시기인 2021~25년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내용적 범위로는 아프리카의 ICT와 관련한 정부의 국제개발협력 활동을 포함한다. 즉 KOICA 활동뿐만 아니라 다른 중앙정부기관 및 지방정부의 ODA 사업도 포함된다. 여기서 ICT란 OECD 내의 원조기관을 관리하는 위원회인 DAC(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에서 원조 공여국들에 원조 관련 보고서 제출을 위해서 규정해 두고 있는 CRS(Creditor Reporting System) 코드상의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ICT, 22040)에 포함된 사업을 말한다. 따라서 국가별 ICT ODA 규모를 비교할 때에는 이 코드에 포함된 사업들을 분류하여 적용하였다. 아울러, 한국의 ODA 사업에서 ICT는 독자적인 분류체계를 가지고 있지 못하고 농촌개발, 공공행정, 보건, 교육 등의 사업에 포함되어 지원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KOICA에서는 ICT가 ODA 사업에 포함되어 있는 정도를 0에서 2까지 마커를 부여하여 분류하고 있다. 따라서 0점을 제외하고 1과 2를 부여받은 사업들을 ICT ODA 사업으로 분류하여 본 연구의 분석에 적용하였다.
한편 민간부문의 ICT 관련 활동도 중요한 영역이기는 하나, 본 연구에서는 아프리카의 코로나 팬데믹이 가져온 생활상의 변화에 대하여 국제개발협력활동(ODA) 차원에서 향후 어떻게 접근해야 할지에 초점을 둔다. ODA 관점에서 아프리카의 코로나 사태와 ICT의 역할, ODA 분야별로 최근까지 주로 수행되어온 ICT 적용사례, ODA 분야별 ICT 수요 추정, ICT를 적용한 한국 ODA 평가, 그리고 향후 ICT를 활용한 ODA 정책방향 등을 주로 다루도록 한다.
본 연구의 내용 요약과 결론을 간추리면 다음과 같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아프리카에서 ICT ODA와 관련하여 변화할 수요 양상은 아래와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아프리카의 경우 2020년을 기준으로 볼 때, 경제성장률 면에서 –3% 이상 역성장 가능성이 있으며, GDP 기준으로 본다면 약 1,400억 달러에서 1,800억 달러 이내의 손실이 예상된다. 이러한 손실은 사회 내의 전 분야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 예상된다. 아울러, 많은 국제기관들은 백신과 치료제 개발에 따라 다르겠지만, 향후 적어도 2024년까지는 회복하는 데 시간이 소요될 것이고 크고 작은 영향이 미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둘째, 분석결과 코로나로 인하여 가장 크게 타격을 입을 분야는 보건 분야일 것으로 예상되며 농업 분야와 교육 분야도 큰 타격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셋째, 아프리카의 경우 ICT 인프라 부족으로 인하여 취약계층에 있는 사람들이 더욱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 이로 인하여 빈곤자, 장애인, 고령층, 이주민, 실향민(displaced people), 노숙자 등은 극심한 피해를 입을 것이 예상되며, 이 계층에 속한 사람들의 사망자 수가 늘어날 것으로 추정된다. 넷째, 아프리카의 사회·경제적 변화 양상을 추정해 볼 때, ICT의 역할이 중요할 것으로 예상되며 한편으로는 단기적으로 시급한 보건 분야의 원조가 늘어나야 할 것이고, 중장기적으로는 ICT 인프라에 대한 구축 지원, 인력양성 등이 뒤따라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수요 변화에 대응하여 인과지도 분석에 따른 ICT ODA를 통한 정책 지렛대를 고려해 본다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정책 지렛대는 핵심적인 문제에 대응하여 효과를 크게 할 수 있는 정책수단을 의미한다.
   이와 관련하여 첫째, 의료정보와 원격의료를 활용한 ICT 접목 수요의 중요성이다. 인과지도 분석을 통해서 나타난 바와 같이, 원격의료에 대한 ICT 접목은 디지털 업무 → 디지털 서비스 활용자 수 → 정보화 지수 → 의료대응능력 → 사망자 수로 이어지는 관계 속에서 선순환적 영향을 미친다. 이 과정에서 의료정보와 원격의료 방식의 접목에 ICT가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ICT는 사회생활 전 분야에 대한 적용의 필요성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측된다. 인과지도 분석에서 보듯이, 분야별 ICT 활용정도는 디지털 업무 수의 증감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다시 인터넷 보급률을 거쳐서 다양한 분야, 특히 보건, 농업, 공공행정, 교육 부문에서 ICT의 활용을 가속화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셋째, ICT를 활용한 적정기술의 적극적 보급의 필요성이다. 인터넷 보급이 늘어나고 개인용 스마트폰 이용자 수도 증가하겠지만, 아프리카 국가들의 경우 ICT 기반의 미흡으로 인하여 ICT에 기반한 적정기술 수요가 늘어날 것이고 이로 인한 일자리 창출의 가능성이 커질 수 있다. 한국의 적정기술 중에서 ICT를 활용한 다양한 유형의 기술 보급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넷째, 디지털 농업기술의 수요 증대이다. 유튜브 분석과 인터뷰 분석에서도 나타나듯이, 농업 부문에서도 대면접촉 기회가 줄어들게 되면서, 비대면 업무 수요가 증가하고, 농사 및 농산물에 대한 문자 서비스 수요, 그리고 농작물에 대한 정보 활용의 필요성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는 다시, 농업 소득과 GDP로 이어지게 되는 등 농업 분야의 ICT 접목 필요성의 증대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ICT에 의한 교육기회의 증대 필요성이다. 감염 가능성의 증대는 대면접촉기회의 축소로 이어지고 이는 다시 ODA 사업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며, ICT 기반시설과 ICT 교육기회로 이어지게 된다. 즉, 이는 교육 분야에서 ICT의 역할 증대를 가져오게 된다. 그러나 아직 아프리카 국가들의 경우 ICT 교육 인프라가 잘 갖추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이는 시간을 요하는 과제가 될 것이다.
   여섯째, 인터넷 보급과 확대를 위한 ODA 필요성이다. 인터넷 보급이 늘어나는 경우, 이는 결국 정보화 지수로 연결된다. 이 과정에서 온라인 교육 이용자 수 및 디지털 서비스 활용자 수의 증대도 동시에 수반된다.
   일곱째, 아프리카 국가들 간 국경검역소의 대응역량 필요성이다. 코로나 확산에 따라서 국경검역소의 취약한 검역시설 및 국경인력의 검역 및 방역 대응역량강화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를 위해서 ICT가 활용될 필요성이 있다.
   한국이 그간 아프리카에서 수행한 ICT ODA 사업에 대하여,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성과평가를 해 보았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먼저, 기존에 연구된 아프리카 ICT ODA에 대한 평가보고서들이 많이 지적하는 사항은, 사업형성단계에서 현지 환경에 대한 타당성 분석의 미흡, 추진과정에서 사업 지연 문제, ICT의 유지·보수 문제와 이로 인한 지속가능성 문제, 현지 인프라 부족에서 오는 적용상 문제, 민간부문과 연계협력의 미흡 문제 등이다. 한편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그간 사업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점수는 100점 만점에 약 67점 수준으로서 비교적 미흡한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ICT 사업유형 중에서는 ICT 비즈니스 육성이 가장 낮게 나타나며, 반대로 ICT 자원봉사단 파견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이고 있다. 아울러, 향후 코로나 이후의 상황을 감안해 볼 때, 필요성, 실현 가능성, 파급효과 등에서 비교적 높은 점수를 받고 있는 분야는 ICT 인프라 구축과 ICT 시스템 보급과 같은 사업유형이다.
   본 연구의 결론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ODA 분야상으로 놓고 볼 때 코로나 이후 아프리카에 대한 ICT ODA의 우선적인 지원 분야는 보건의료이고 그다음은 농업, 공공행정 등의 순으로 중요도를 두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전문가들에 의한 AHP 분석과 시뮬레이션 등을 통한 분석결과 등을 종합해서 볼 때 전체 자원을 100으로 가정한다면 보건의료 분야에 약 28%, 농업 부문에 20%, 공공행정에 약 18%, 긴급구호에 약 17%, 교육에 약 12%, 그리고 기술환경 분야에 약 5% 정도의 예산 배분이 가능할 것이다. 물론 이 예산비율을 엄격히 지켜서 배분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은 아니나 대체로 우선순위와 예산의 배분비율을 참고할 필요성은 있다고 하겠다. ODA는 기본적으로 N–2 원칙에 의해서 2년 전에 설정되고 아울러, 수원국의 PCP에 기초하며 수원국의 요구사항에 기반을 두어야 하기 때문에 공급자 측면에서 이러한 원칙을 적용하는 것은 무리일 수 있다. 그러나 수원국의 요구사항이 경합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배분비율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며, 향후에 효과성의 극대화라는 측면을 고려하여 볼 때, 아프리카 국가들에 대한 새로운 CPS 수립이나 수정 시에 이러한 방향성을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이와 함께, 사업 형태별로 볼 때 각 사업 분야 내에서 코로나 이후의 필요성, 실현 가능성, 파급효과, 그간의 사업형태에 대한 성과점수 등을 고려해서 성과를 가장 극대화해 줄 수 있는 사업형태별 배분비율도 중요하다. 이는 코로나 이후에 사업 현장 방문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 사업 현장에서 주민들의 새로운 수요에 대응한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노력 필요성, ICT라는 특성상 현장에서 적용 가능해야 하는 점, 그리고 코로나 이후 상황에서의 파급효과 등을 고려해야 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이다.
   최적함수 값 도출과 이의 활용을 통한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에 의해서 최적화된 자원배분 비율을 도출해 보았다. 이는 같은 자원으로 제약된 조건 속에서(총액은 동일) 관련 변수들을(필요성, 실현 가능성, 파급효과) 고려하여 가장 성과점수를 크게 해주는 최적의 목적함수 값을 도출하는 과정이다. 이 분석결과 제일 많은 자원배분을 해야 할 사업 형태는 ICT 시스템 보급 분야로서 전체 예산을 100으로 가정할 때 52% 정도, ICT 인프라 구축에 25%, ICT 교육 및 훈련에 8%, ICT 컨설팅에 8%, ICT 자원 봉사단 파견에는 5%, 초청연수 2%, 그리고 ICT 비즈니스 육성은 아주 낮게 배분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에 해왔던 자원배분 비율과는 차이를 보이는 것이다. 즉, 이러한 자원배분 비율을 과거와 다르게 하는 것이 성과 면에서 양호하다는 점을 제시해 준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이 분석결과는, 전문가들에 의한 AHP 분석과도 어느 정도 일치한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코로나로 인하여 아프리카 현지 방문과 한국에 대한 초청이 어려운 점을 감안한다면 이러한 형태의 사업유형 선정도 타당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예산배분 비율로 사업유형을 조정한다면 기존의 성과보다 약 9~10% 향상되는 결과를 가져올 것으로 추정된다.
   위에서 설정한 기본 방향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세부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점협력국가에 적용될 수 있는 각 분야별 ICT 유망사업을 우선 설정해 보았다. 이 사업들은 하나의 예시를 든 것이며, 이를 국가적 특성을 감안하여 응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사업들은 코로나 대응을 위한 정부-병원 정보 공유 시스템 구축, 언택트 경제체제를 이끌어 갈 아프리카 ICT 창업교육 및 인큐베이팅 지원사업, 아프리카 지역 초·중등 어린이들을 위한 이러닝 콘텐츠 개발, 안전한 모바일 뱅킹 환경 구축을 위한 역량강화 사업, 사이버 보안 전문가 양성 및 직업훈련 사업, 아프리카 지역 스마트팜 교육센터 구축 및 역량강화 사업, 전자상거래 앱 개발 콘테스트, 아프리카 국립병원의 코로나 대응 도우미 로봇 도입사업, 모바일 헬스케어 환경 구축을 위한 ICT 인프라 역량강화 사업, ICT 기반의 국경검역소 스마트 검역 시스템 사업 등이 포함된다.
   둘째, ICT 직접 사업에 더하여 ICT 기반의 적정기술 사업도 아프리카에서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를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 가칭 ‘ICT 적정기술 지원센터’를 한국의 대학 같은 기관에 설립하여 플랫폼 역할을 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기관은 한국의 특허청에 등록된 특허 등 지적재산권 중에서 기간이 만료되어 누구든지 사용할 수 있는 특허(현재 약 2백만 건 활용 가능)를 해당 국가의 특성에 맞게 매치하고, 이를 해당 국가에서 사업화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는 역할을 담당하게 하면 될 것이다. ICT 기반의 적정기술은 한국이 지적재산권 면에서 세계 4위라는 강점을 활용하고, 이를 수원국 수준에 맞게 접목시킨다는 점에서 대단히 큰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수행방식에 있어서 멀티바이(multi-bi) 사업방식의 적극적 활용이다. 당분간, 코로나로 인하여 현지 방문사업이 원활하지 못할 것에 대비하여 프로젝트 사업을 위해서는 국제기구를 활용하는 다자성 양자 사업방식을 채택하여 추진하는 것도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2018년 기준으로 한국의 국별 협력사업 내 멀티바이 사업 비중은 9.7% 수준이며, OECD DAC 평균은 약 14%이다. 이러한 점에서 직접 현지에서 수행하는 방식보다는 멀티바이 방식의 적극적 활용을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
   넷째, 현지 컨설턴트 훈련과 화상회의 방식의 적극적 활용이 필요하다. 코로나로 인하여 한국 사업 담당자들의 현지 방문을 통한 사업 추진이 어려울 것이므로 현지의 컨설턴트를 교육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방식도 향후에는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유관인력을 교육하고 양성하는 대학이나 관련 연구소와 협력할 수 있는 방안을 사전에 마련하고 이러한 현지 인력을 적극 활용하는 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현지 사무소의 업무와 유관한 지식을 가진 기관들, 가령 아프리카 개별 국가 내의 주요 대학교, 관련 연구기관, 타 국제기관 근무 경험자 등에 대한 인력 풀 작성, 유관기관 간 인력활용에 대한 MOU 체결, 이들에 대한 역량강화, 수당체계, 이들에 대한 인센티브 제도 등 인사관리 측면에서 접근이 요구된다. 이에 더하여 Zoom과 같은 화상회의 방식을 활성화하고 이를 통해서 현장을 모니터링하면서, 소통할 수 있는 비대면 방식도 적극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
   다섯째, 중점협력국 변경과 관련된 사항 및 프로그램 중심으로의 전환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향후에 적용될 제3기 중점협력국은 서론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2기와 일부 달라지며, 따라서 국가협력전략(CPS)이 새로 작성될 것이 예정되어 있다. 본 연구는 제2기 중점협력국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으나 아프리카 국가들의 전반적 수준과 특성상 제안내용의 적용 가능성 면에서 큰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하지는 않는다. 새로 선정된 중점협력국에는 해당 국가의 특성을 반영하여 적용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아울러, 지금까지는 ODA 사업이 개별 프로젝트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특히 ICT ODA 사업의 경우에는 개별 단발성 프로젝트보다는 유기적으로 연계된 프로그램 중심으로의 전환이 효과성 면에서 더 나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This study seeks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lifestyles affected by the global Coronavirus pandemic that began in early 2020 in African countries. It uses various research methods and pursues a new strategic direction of the Korean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policy using ICT in response to such change. It is believed that the use of Korea’s remarkable ICT in the fields of public administration, welfare and medicine, agriculture, finance, and education could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ODA for Africa in the post-Covid era, and a strategic direction is therefore proposed.
For the research objective above, this study will use the following research methodology. First, statistical data using domestic and foreign Covid-related statistics and databases are to be used. This includes the statistical data published by domestic and foreign organizations, such as OECD, IMF, World Bank, WHO, KOICA, ITU, and the African Union.
Second, books, articles, and online data are to be used. Specifically, with regard to online data, data obtained by internet searches, YouTube videos, and African news will also be analyzed. To analyze the situation of how the lives of the African residents have changed in the post-Covid era, YouTube videos will be analyzed. The content of analysis will reflect the system dynamics model for a prediction of demand in Chapter 4.
Third, surveys and interviews will be conducted on African students. Since it is difficult to visit Africa due to the pandemic, written surveys and interviews using Zoom will be conducted on African students currently studying in Korea as a countermeasure. The results will be used to predict, verify, and supplement the changes in the African social and economic life in the post-Covid era.
Fourth, social network analysis, AHP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nd system dynamics are to be used. As a method of ascertaining the African resident’s social and economic demands in the post-Covid era, social network analysis using news articles of the African internet news and tweets will be used. The result of network analysis will be used in the setting of the model by system dynamics. Recently, foreign researchers have conducted more precise methodology research through a combination of social network analysis and the system dynamics method. No such attempts have yet been made in Korea. Thus, an integrated system dynamic method will be used in this analysis. Five specialists with experience in ICT ODA projects or research on Africa will be selected, to conduct a specialist analysis regarding the achievements of the projects performed so far and future priorities of ICT ODA. Furthermore, the ICT demands based on social and economic demands in each field will be apprehended and system dynamics will be used to use this for setting the direction of policies.
The spatial scope of this study included 54 countries on the African continent. Although all of these 54 countries will be dealt with, 7 countries (Ghana, Mozambique, Uganda, Ethiopia, Rwanda, Tanzania, and Senegal) which are the core countries of ODA partnership with Korea will be dealt with in more detail. However, the third core countries of partnership were newly selected in the process of conducting the study. The newly selected countries are Egypt, Ghana, Rwanda, Senegal, Ethiopia, Uganda, and Tanzania, with Egypt newly selected in place of Mozambique. However, this study will use the existing 7 countries as the key subjects.
The scope of time of this study will generally use the African ODA-related statistics of the past 10 years. However, since the effects of the Covid-19 pandemic will differ greatly from the pre-Covid era, the statistics predicted after 2020 will be primarily analyzed, with particular focus on 2021-2025, the period of focus of the new CPS (Country Partnership Strategy).
As the scope of content,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ctivities of the government related to the African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will be included. That is, the activities of the KOICA, as well as the ODA projects of central government organizations and district governments are included. In this regard, ICT refers to the project included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CT, 22040) of the CRS (Creditor Reporting System) code prescribed for the submission of aid-related reports from the DAC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the committee that manages aid organizations within OECD countries, to aid donor countries. Accordingly, when comparing the scale of ICT ODA of each country, the projects included in this code were classified and applied. Furthermore, during ODA projects in Korea, ICT is not considered an independent classification system, and supported by being included in the projects of agricultural development, public administration, welfare, and education. To resolve this problem, KOICA grants a marker from 0 to 2 to classify the degree of inclusion of the ICT in the ODA project. Accordingly, the projects that have been granted 1 and 2 were applied to the analysis of this study by being classified as ICT ODA projects.
Meanwhile, although ICT-related activities of the private sector are an important factor, this study focuses on how to approach the changes in life brought by the Covid-19 pandemic in Africa in terms of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activities. In terms of ODA, the role of ICT and the pandemic in Africa, cases in which ICT has been applied in each field of ODA, estimated ICT demands of each field of ODC, an evaluation of Korean ODA that applies ICT, and the future direction of ODA policies that use ICT will be analyzed.
A summary of the content and conclusion of this study are provided below.
The changes in demands in relation to ICT ODA in Africa after the Covid-19 pandemic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view of 2020 in Africa, there is a possibility of a reverse growth of -3% or more in terms of economic growth, and a loss in GDP of 140 billion to 180 billion dollars is expected. Such loss is expected to have a negative effect in all fields within the society. In addition, there will be changes in international organizations depending on the development of vaccinations and treatments, but it will likely take until at least 2024 to recover, and it is expected to cause many great and small effects. Secon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t is expected that the field that will be the most affected by Covid-19 is the welfare field, and the agriculture and education fields will also be greatly affected. Third, in Africa, it is likely that minorities will be greatly affected due to a lack of ICT infrastructure. Because of this, it is expected that the poor, the disabled, the elderly, migrants, the displaced, and homeless will be extremely affected, and that the number of deaths within these groups will increase. Fourth, in view of the social and economic changes in Africa, it is expected that the role of ICT will be important. Meanwhile, assistance in the welfare field will need to increase, as a sector that requires urgent assistance in the short-term, and in the mid-to-long term, it is expected that support for the construction of ICT infrastructure and the nurturing of manpower will follow.
The leverage of ICT ODA policies through a causal map analysis in response to such changes in demands is considered below. In this regard, the leverage of policies refers to a means of policies that can greatly increase the effects in response to core problems. First, the importance of the demand of incorporating ICT using medical information and telemedicine. As displayed through a causal map analysis, an effect of a virtuous cycle is achieved in a relationship of incorporation of ICT in telemedicine -> digital work -> number of digital service users -> informatization index -> medical response capacity -> number of deaths. In this process, ICT can greatly contribute to the incorporation of the method of telemedicine and medical information. Second, it is expected that the need of applying ICT in all fields of social life will greatly increase. As shown in the causal map analysis, the degree of use of ICT in each field may affect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digital works, and again pass through the internet supply rate to achieve the effect of accelerating the use of ICT in various fields, particularly welfare, agriculture, public administration, and education. Third, the need of an active distribution of suitable technologies that use ICT. Internet supply and the number of personal smart phone users will increase, but for African countries, the demand of suitable technologies based on ICT will increase due to a lack of ICT-based technologies, and thereby the possibility of the creation of employment may also increase. It is determined that the supply of various types of technologies that use ICT among suitable technologies will be needed in Korea. Fourth, an increase in the demand of digital agricultural technologies. As shown in YouTube analysis and interview analysis, as the opportunity of face-to-face contact decreases in the agricultural field, the demand of non-contact work will increase, which will lead to the need for text services in farming and farm produce, and the use of information on crops. This will then lead to an effect on farming income and GDP, thereby needing a consideration of an increase in the need of incorporating ICT in the agricultural field.
   Fifth, the need of an increase in the opportunity of education by ICT. An increase in the possibility of infection will lead to a reduction in the opportunity of face-to-face contact, which will affect ODA projects and lead to the opportunity of ICT-based facilities and ICT-based education. That is, this will produce an increase in the role of ICT in the education field. However, since ICT-based education infrastructures are not yet well-established in African countries this will be a task that requires time. Sixth, the need of ODA for the supply and expansion of the internet. When internet supply increases, it will ultimately be connected to the informatization index. This process accompanie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online education users and the number of digital service users. Seventh, the need for a capacity to respond to border quarantine stations between African countries. The need to reinforce the capacity of weak quarantine facilities and border workforce in taking action with quarantines at border quarantine stations is required according to the spreading of Covid-19. To achieve this, the use of ICT will be needed.
   The achievements of Korea’s ICT ODA projects performed in Africa so far were evaluated largely using two methods, and the results of such evalu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matters that are pointed out the most by evaluation reports on previously studies of African ICT ODA includes insufficient analysis on the feasibility of the local environment in the project formation stage, the problem of project delay in the initiation stage, the problem of sustainability due to the problem of maintenance and repairs of ICT, the problem of applicability based on a lack of local infrastructures, and the problem of a lack of connection with private sectors. Meanwhile, the combined score of evaluating the specialists involved in the projects so far is approximately 67 out of 100, which is relatively poor. The nurturing of ICT business has the lowest score out of the types of ICT projects, and the dispatch of ICT volunteer groups has the highest score.
In addition, in view of the post-Covid situation, the fields with relatively high scores in terms of need, feasibility, and ripple effect are the project types, such as the construction of ICT infrastructure construction and ICT system distributi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With regard to ODA fields, the prioritized field of the support of ICT ODA in Africa in the post-Covid era would be welfare and medicine, followed by agriculture and public administration. Upon combination of the analysis results through AHP analysis and simulation by specialists, the budget could be distributed into approximately 28% in the welfare and medical field, approximately 20% in the agriculture field, approximately 18% in the public administration field, approximately 17% in the emergency aid field, approximately 12% in the education field, and approximately 5% in the technology and environment field. Of course, it is not necessary for such distribution of the budget to be followed strictly, but it would be necessary to establish priorities and take the distribution of the budget into consideration. An ODA must be established two years prior by the N-2 rule, and be based on the PCP and the demands of the recipient country, and thus, it may be difficult to apply these rules on the supplier. However, when the demands of the recipient country contest with one another, such distribution ratio may be applied, and considering the future optimization of effect, it will be necessary to review such direction when establishing or revising a new CPS for African countries.
The distribution ratio would also be important for each type of project that could optimize achievements considering the score of achievements of each type of project so far, the ripple effects, feasibility, and the need in the post-Covid era in each business sector. This is because there is a need to consider the difficulty of visiting the sites of projects in the post-Covid era, the need for an effort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new demands of the residents at the project site, the applicability of ICT to the site, and the ripple effect in the post-corona era.
   The optimum function value was derived and the resource distribution ratio optimized by the Monte Carlo simulation was derived. This is the process of deriving the optimum objective function value that increases the achievements scores by considering the related variables (need, feasibility, ripple effect) in a condition (with the total amount being identical) that is restricted by the same resources. The result of the analysis proposes that the type of project that requires the most distribution of resources is the field of ICT system supply, requiring approximately 52%, followed by 25% in the construction of ICT infrastructure, 8% in ICT education and training, 8% in ICT consulting, 5% in the dispatch of ICT volunteer groups, 2% in invited training, and a very low distribution in the nurturing of ICT business. This result displays a difference from past distribution ratios of resources. T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distribution ratio of resources and the past distribution ratio of resources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poses satisfactory achievements.
   This analysis result, to a degree, is consistent with the AHP analysis performed by specialists.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it is difficult to visit Africa and invite specialists to Korea due to restrictions created by the pandemic, this selection of projects would be feasible. It is estimated that adjusting the types of projects based on this distribution ratio of resources would result in an approximately 9-10% enhancement compared to previous achievements.
   The details for effectively initiating the basic direction are proposed below.
   First, prospective ICT projects in each field that could be applied in the core partnership countries were established. These projects are one example, and may be applied considering the properties of each countries. These projects include the construction of a government-hospital information sharing system for handling the Covid-19 pandemic, an African ICT venture education and incubating support project to lead the untact economic system, the development of e-learning contents for middle school students, a capacity reinforcement project for the construction of a safe mobile banking environment, a cyber security specialist nurturing and occupational training project, smart farm educational center construction and capacity reinforcement project in the African region, electric commerce application development contest, robot introduction project for handling coronavirus in African national hospitals, ICT infrastructure reinforcement project for constructing the mobile healthcare environment, and, among things, a smart quarantine system project at ICT-based borderline quarantine stations.
   Second, it will be necessary to initiate ICT-based suitable technology projects in Africa in addition to direct ICT projects. To effectively initiate such projects, the so-called 'ICT Suitable Technology Support Center' should be established in such organizations as universities in Korea to perform the role of a platform. This organization merely need to perform the function of matching patents (approximately 2,000,000 currently usable cases) that have expired and can be used by anyon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levant country, and to support the commercialization of such patents in the countries. ICT-based suitable technologies have significance in that Korea ranks 4th in the world in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in incorporating technology to suit the level of the recipient countries.
   Third, the active use of multi-bi project methods. In preparation of the difficulty of local visits, selecting and initiating the multi-bi project method that use international organization may be an alternative means for projects. The ratio of multi-bi projects among the cooperation projects in Korea as of 2018 is 9.7%, compared to the OECD DAC average of approximately 14%. Based on this, it will be necessary to review the active use of the multi-bi method rather than the method of direct local initiation.
   Fourth, there is a need for the active use of consultant training and video conferences. Since it will be difficult to initiate projects through local visits by the Korean project managers due to pandemic restrictions, it will be necessary to actively consider the method of educating local consultants and using them. To achieve this, it will be necessary to prepare a means of cooperating with universities and relevant research institutes that educate and nurture related specialists and actively use such local specialists. This requires an approach in terms of the organizations that have knowledge related to the work of the local offices, the talent pool of those with work experience in the main universities, related research institutes, and other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 the individual countries of Africa, the conclusion of an MOU for the use of manpower between related organizations, the reinforcement of the capacity of these talents, the wage system, and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such as their incentive policy. In addition, there is a need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methods by activating video conferences such as Zoom, and monitoring the sites through such means.
   Fifth, the conversion into program-focused means and terms related to the modification of the core collaborating countries will need to be considered. The third core partner countries to be applied will partially change from the second countries as stated in the introduction section, and the national partnership strategies (CPS) will also be newly prepared.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second core partner countries. However, there would b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the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content and the overall standards of African countries. It is also determined that application to the newly selected core partner countries would be possible by reflecting the properties of the relevant countries.
   In addition, so far, ODA projects have been focusing on individual projects. However, it is determined that the ICT ODA project would be better if converted into a focus on organically connected programs than individual one-time projects in terms of effect.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제2장 아프리카 코로나 사태와 ICT의 역할
1. 코로나 확산 현황 및 대응책
2. 코로나 확산에 따른 경제사회적 영향
3. 아프리카 ICT 발전 현황 및 전망
4. 포스트 코로나 시대 ICT의 역할
5. 아프리카에서 ICT 발전의 한계

제3장 아프리카 산업(분야)별 ICT 활용사례
1. 공공행정: 전자정부와 시민참여 플랫폼 활성화
2. 보건의료: e-헬스
3. 농업: 스마트 농업
4. 금융: 모바일 금융
5. 교육: 이러닝
6. 소결

제4장 수요분석
1. 수요분석의 의의와 방법론 검토
2. 코로나 팬데믹 이후 아프리카 변화상 분석
3. 시스템 다이내믹스 방법의 적용: 아프리카 ICT ODA 수요추정 모델
4. 시스템 다이내믹스에 의한 수요 시나리오 분석
5. 소결

제5장 한국의 아프리카 ICT ODA 지원 현황과 평가
1. 한국의 아프리카 ICT 수출입 규모 개관
2. 한국의 아프리카 ICT ODA 지원 현황
3. 한국의 아프리카 ICT ODA 평가
4. 향후 자원배분 평가
5. 소결

제6장 한국의 대아프리카 ICT 개발협력의 전략적 추진방안
1. 추진방안 수립을 위한 방향성
2. 포스트 코로나를 위한 ICT의 방향
3. 유망 협력분야 도출 배경
4. 유망 협력분야 및 사업
5. 향후 사업 추진방안

제7장 요약 및 결론
1. 요약
2. 결론: 향후 아프리카 ICT ODA 추진방향

참고문헌

부록
1. 시나리오별 추정치 모델 산식
2. 25개 유튜브 주요 내용
3. 사업분류별 아프리카에 대한 ICT ODA 사업목록(2014~18년)
4. AHP 설문지
5. 최적화 모델링 수식
6. AHP 설문지 응답 및 자문위원
7. 학생 인터뷰 질문지
8. World Bank 설문조사 내용 요약
9. UNICEF 현황조사 내용 요약
10. ICT 기반 적정기술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354
판매가격 12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세계지역전략연구 Exploring Urban Perception on Climate Change in Developing Countries 2024-08-29 단행본 2023 KIEP 정책연구 브리핑 2024-06-28 연구보고서 대러 경제 제재가 러시아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한-러 경제협력 안정화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글로벌 경제안보 환경변화와 한국의 대응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인도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몽골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몽골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전략 추진을 위한 한-태평양도서국 중장기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 기술경쟁 시대 중국의 강소기업 육성전략과 시사점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경쟁에 따른 아세안 역내 공급망 재편과 한국의 대응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남아공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자료 동티모르의 아세안 가입 지원 및 개발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멕시코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멕시코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호주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호주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시대 한ㆍ인도 경제협력의 방향과 과제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 서비스 산업 구조 분석과 한-인도 산업 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일본의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관리와 한·일 간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연구보고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EU의 '개방형 전략적 자율성' 확대에 미친 영향: 에너지 전환, 인적 교류, 안보 통합을 중심으로 2023-12-30 연구보고서 중동부유럽으로의 EU 확대 평가와 향후 전망 2023-12-29 중국종합연구 한중 탄소중립 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2023-12-29 중국종합연구 2023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3-12-29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