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전략지역심층연구 유라시아경제연합(EAEU) 통합과정 평가와 한국의 협력전략 경제통합, 경제협력

저자 이창수, 박지원, 송백훈, 제성훈 발간번호 20-04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21.05.26

원문보기(다운로드:3,751)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EAEU 통합과정에서 나타난 성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통합체로서 제도적 기반이 조성되었다. 둘째, 새로운 관세법이 제정되고, 금융, 전력, 석유ㆍ석유제품, 가스, 교통 서비스 분야에서 공동시장 조성을 위한 기반이 마련되었다. 셋째, 2017년부터 GDP 및 무역액이 증가하면서 통합의 효과가 서서히 나타나기 시작했다. 넷째, 다수의 비회원국과 자유무역협정 또는 무역ㆍ경제 협정이 체결되었다. 이러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EAEU가 가진 한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EAEU는 초국적 경제통합체로 기능하는 데 구조적 한계를 보인다. 둘째, 낮은 관세 조화 수준으로 인해 ‘제한된 관세동맹’에 머물러 있고, 완전한 공동시장도 아직 가시화되지 않았다. 셋째, 러시아의 리더십 한계로 인해 통합의 추진력이 약화하고 있다. 넷째, 보호주의적 특징이 경제통합의 성과를 제한하고 있다.
   이러한 성과와 한계를 고려할 때, EAEU 통합과정 발전에 대한 전망을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첫째, EAEU가 해체될 가능성은 희박하지만 더 높은 수준의 경제통합을 달성하기도 쉽지 않아 보인다. 둘째, 공동시장의 완전한 작동, 정부 조달 분야의 발전, 거시경제 안정성 유지 등이 이루어진다면 역내 무역이 더욱 촉진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신규 회원국 확보를 통한 거시경제적 잠재력 강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탈소비에트 국가들과의 협력 확대를 목표로 하는 ‘신북방정책’을 추진하는 한국의 입장에서 EAEU는 무역 확대 및 무역 다변화와 한국의 새로운 성장동력 창출을 지원하는 파트너가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본 보고서는 한-EAEU 경제협력 전략으로 민간 및 시장 주도형 경제협력 전략을 제안하며, 그 추진전략과 협력방안으로 첫째, 현재 시장에서 산업협력 중점 분야의 식별과 지원, 둘째, 미래지향적 산업협력 중점 분야의 선정과 지원, 셋째, 한-EAEU FTA 추진을 제시한다.
   첫째, 현재 시장에서 산업협력 중점 분야 협력방안은 다음과 같다. 한국의 대세계 주력 수출산업의 EAEU 수직분업 산업(광물, 코크ㆍ정유ㆍ핵연료, 금속 등)과 상대 권역에서 수입되어 양 권역에서 내수로 소비되는 산업(광물 및 수송기기 등)은 시장에서 이미 성과를 보이고 있으므로, 즉 시장 주도 및 민간 주도의 무역 협력 구조와 체계가 작동하고 있으므로, 제3장에서 산업협력 중점분야로 선정되었다. 이 산업군에서의 산업협력 강화방안은 다음과 같다. ① 정부는 정부간 협력 차원에서 양 권역의 교역 잠재력 제약요인을 해소하기 위한 협력 및 소통 체계를 제도화하는 노력을 지속해야 할 것이다. ② 한국의 대EAEU 수입품 및 EAEU의 대한국 수입품에 대한 관세인하 노력이 필요하다. ③ 기존의 ODA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EAEU 국가를 대상으로 수출 능력 경험 전수사업, 세관 등 무역원활화 지원사업, 각종 시장경제 능력 강화사업 등을 실행할 것을 권고한다.
   둘째, 미래지향적 산업협력 중점 분야와 협력방안은 다음과 같다. EAEU 국가들은 현재 산업화를 통한 자국경제의 성장과 4차산업 시대의 변화에 부합하는 디지털경제와 신산업 육성이라는 과제에 직면하고 있다. 한국은 이미 산업화를 달성한 국가로서, 국내시장에서 한계에 부딪힌 우리 중소기업의 성장을 위한 협력파트너로서 EAEU 국가들과의 산업협력 강화가 필요하다. 또한 EAEU 전체에서 디지털경제 육성은 중요한 과제로 추진되고 있으므로 러시아 등 EAEU 내에서 주도적인 국가와의 협력을 통해 디지털경제 기반구축과 자율주행차, 인공지능(AI), 클라우드 등 상호보완적인 다양한 분야에서 공동의 산업생태계 구축이 필요하다. 최근의 코로나19 사태와 관련하여 의료ㆍ보건 분야에서의 협력은 어느 때보다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EAEU 국가들의 의료체계나 의약품, 의료기기 시장의 발전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고려하면 한국 의료기관의 경영 컨설팅과 위탁경영, 의료기기와 의약품 수출과 같은 분야에서 전망이 밝다.
   셋째, 한-EAEU FTA 추진전략과 협력방안은 다음과 같다. 양국의 산업 환경을 고려하면서 단계적인 논의를 통해 상호이익이 되는 방향에서 한-EAEU FTA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 CGE 연구 결과에 따르면 FTA가 발효될 경우 한국의 GDP를 소폭 증가시키지만 영향의 정도는 산업별로 다르다. 한국 곡물산업의 피해가 가장 크고, 제조업 분야에서는 특히 금속, 전기ㆍ전자, 기계 산업에 부정적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육류, 가공식품, 수송기기 산업에는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예측된다. 서비스업을 크게 도소매, 운송, 보건복지, 사업서비스 등으로 구분하여 FTA의 영향 정도를 분석한 결과 대체적으로 서비스업의 생산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EAEU 국가 중에서는 러시아와 키르기스스탄의 GDP는 증가하는 반면, 카자흐스탄, 벨라루스, 아르메니아의 GDP는 감소한다. EAEU 국가의 제조업 및 서비스업에서의 산업생산이 감소할 것으로 나타나므로 향후 FTA 혹은 경제협력에서 이 분야들에 대한 정밀한 협력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종합하면 한국과 EAEU FTA가 어느 일국에게만 일방적으로 유리한 결과를 낳지 않으므로 양국이 FTA를 통해 서로가 윈-윈 할 수 있는 협력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특히 한국이 높은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수송기기 산업에서의 기술지원, 신기술협력사업, ODA 등을 통해 우리나라가 피해를 볼 것으로 예상되는 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상대국의 피해산업도 보완할 수 있는 양국간 협력관계를 형성해야 할 것이다.

1. Evaluation of the integration process of the EAEU

The results of the integration process of the EAEU are as follows: first, the EAEU has created an institutional foundation as an economic integrator. Second, the EAEU has enacted new tariff laws and laid the foundation for creating a common market in finance, electricity, petroleum and petroleum products, gas, and transportation services. Third, the effect of the integration of EAEU began to emerge as GDP and trade volume increased since 2017 gradually. Fourth, the EAEU has signed free trade agreements or trade and economic treaties with several non-member countries. Notwithstanding these achievements, the limitations of the EAEU are as follows: first, the EAEU has structural limitations in functioning as a trans-national economic integrator. Second, due to the EAEU’s low level of tariff harmonization, it remains in a “limited customs union,” and the complete single market of the EAEU has not yet been visible. Third, the limitations in Russia’s leadership have weakened the drive for the integration of the EAEU. Fourth, the protective features of the EAEU result in poor performance in economic integration.
Considering thes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EAEU, the prospects for developing the integration process of the EAEU will be as follows: first, it is unlikely that the EAEU will be dissolved, but it is difficult for the EAEU to achieve a high level of economic integration. If the common market is fully operational, the government procurements could be activated, and macroeconomic stability could be maintained, and regional trade could be further promoted. Third, to strengthen the macroeconomic potential, it would be required of the enlargement of EU with securing new member states. South Korea is pushing for a “New Northern Policy” to expand economic cooperation with the former Soviet countries. Therefore, the EAEU is believed to become a partner in developing and diversifying trade, and creating new growth engines for Korea.


2. Strategy and measures for Korea-EAEU economic cooperation

1) Korea-EAEU Economic Cooperation Strategy
This report proposes a private and market-driven strategy as the economic cooperation strategy between Korea and EAEU. It suggests identifying and supporting the industrial cooperation-focused areas in the current market, selecting and supporting future-oriented industrial cooperation, and promoting Korea-EAEU FTA.

2) Cooperation plan in areas focused on industrial cooperation in the current market
Korea’s major export industries are already showing results in the market, including the EAEU vertical division (minerals, coke, oil, nuclear fuel, metals, etc.) and industries imported from other regions and consumed as domestic demand in both regions. In other words, market-led and private-led trade cooperation structures and systems are working, so they were selected as the focus areas for industrial cooperation in Chapter 3. 
The measures to strengthen industrial cooperation in these industrial groups are as follows: first,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governmental cooperation, the government should continue to work together to address the constraints of trade potential in both regions and institutionalize communication systems. Second, it is suggested to make efforts to reduce tariffs on Korea’s imports of EAEU and EAEU’s imports of Korea. Third, it is recommended to implement projects to transfer export capabilities of EAEU countries, support projects to revitalize trade sources such as customs and strengthen market economy capabilities by utilizing existing ODA programs.

3) Future-oriented industrial cooperation areas and cooperation measures
EAEU countries are currently facing the challenges of growing their economies through industrialization and fostering a digital economy and new industries in line with change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ge. Korea, a country with already achieved industrialization, needs to strengthen industrial cooperation with EAEU countries for a cooperative partnership to grow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facing limitations in the domestic market. 
Besides, fostering the digital economy at the overall level of the EAEU is a critical task. By strengthening cooperation with leading countries within the EAEU, such as Russia, it is necessary to build a digital economy infrastructure and establish a collaborative industrial ecosystem in various fields in self-driving cars, artificial intelligence(AI), and the cloud. 
In the recent Covid 19 pandemic, cooperation in the medical and health sectors has become more critical than ever. Considering the high possibility of developing the medical system, medicine, and medical device markets in EAEU countries, the outlook for Korean medical institutions’ management consulting, consignment management, and medical device and drug exports is bright.

4) Strategies and cooperation measures for the Korea-EAEU FTA
Considering the environment of the two countries’ industries, it is necessary to push for the Korea-EAEU FTA in a direction that benefits each other through phased discussions.
According to a CGE study, the effect of the FTA will slightly increase Korea’s GDP, but the impact of each industry is different. If the Korea-EAEU FTA goes into effect, the damage to the Korean grain industry is the biggest, and it is expecte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metal, electricity, electronics, and machinery industries, especially among the manufacturing sectors. On the other hand, it is expected to positively affect the meat, processed foods, and transportation equipment industri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xtent of the FTA’s impact by dividing the service industry into wholesale and retail, transportation, health and welfare, and business services, the service industry’s production is expected to increase in general. Among EAEU countries, Russia and Kyrgyzstan’s GDP increases, while Kazakhstan, Belarus, and Armenia’s GDP decrease. Industrial production in the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es of EAEU countries is expected to decline, and precise cooperation measures in these areas need to be sought in future FTA or economic cooperation.
Taken together, the two should seek ways to cooperate through the FTA, as the Korea-EAEU FTA has no unilaterally favorable results for only one country. In particular, cooperative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should be formed to boost technical support, new technology cooperation projects, and ODA in the highly competitive transportation equipment industry and minimize damage to particular industries in Korea.

국문요약

차 례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2. 선행연구
3. 본 연구의 차별성 및 연구 방법론과 범위

제2장 EAEU 통합과정 평가와 전략적 가치
1. 탈소비에트 지역 경제통합의 발전과정
2. EAEU 현황 및 구조
3. EAEU 경제통합의 발전
4. EAEU 통합과정 평가와 발전 전망
5. 소결: 요약 및 정책적 시사점

제3장 GVC 분석과 시사점
1. 분석 자료 및 연구 방법
2. 한국의 대EAEU 및 EAEU 3국의 대한국 주력 수출 산업
3. EAEU 3국과 한국의 대세계 수출이 유발하는 수출 증대 효과: 타이프 1 수직분업
4. EAEU 3국과 한국의 수출 분해와 타이프 2 수직분업
5. 소결: 요약 및 정책적 시사점

제4장 한국-EAEU FTA 경제적 효과 분석
1. 분석모형 및 데이터
2. 연구 결과
3. 소결: 요약 및 정책적 시사점

제5장 한-EAEU 산업협력 방안과 FTA 시사점
1. 디지털 경제와 혁신산업 부문
2. 제조업 부문
3. 의료ㆍ보건 산업
4. 소결 및 한-EAEU FTA 추진을 위한 시사점

제6장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1. EAEU 통합과정 평가와 정책적 시사점
2. 한-EAEU 경제협력 전략과 방안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246
판매가격 10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중국종합연구 한중 탄소중립 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2023-12-29 중국종합연구 2023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3-12-29 중국종합연구 탄소중립 시대 중국 동북지역 한중 지역개발 협력방안 : 중국 지린성을 중심으로 2023-12-29 연구보고서 MC13 주요 의제 분석과 협상 대책 2024-02-20 세계지역전략연구 한-인도 해운·항만산업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아세안 주요국의 난민지원정책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2023-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중동·북아프리카 식량위기에 대한 역내 인식과 대응 및 협력방안 2023-12-27 단행본 만화로 보는 세계경제 2023 2023-12-23 세계지역전략연구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주요국의 탈탄소 정책과 청정에너지부문 협력 방안 2023-11-29 연구자료 동지중해 천연가스 개발 현황과 한국의 협력 방안 2023-10-20 연구보고서 경제안보 이슈의 부상과 대외협력 방향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주요국의 대남아시아 경제협력전략과 정책 시사점: 중국, 일본, 인도를 중심으로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전략 경쟁 시대 글로벌 기업의 대응과 중국진출 한국기업에 대한 시사점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일본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일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한국-동남아 가치사슬 안정화를 위한 메콩지역 협력 방안 연구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아세안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아세안 협력 방안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중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중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자료 방글라데시 기후변화 영향 분석 및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인도의 신·재생에너지 시장 및 정책 분석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경쟁 하 중남미의 GVC 참여와 RVC 구축 연구 2022-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