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보고서 인도 스타트업 생태계 분석과 정책 시사점 경제협력, 산업정책

저자 한형민, 김정곤, 김도연, 이성희, 백종훈 발간번호 20-10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20.12.30

원문보기(다운로드:4,405)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스타트업은 창업 기간이 얼마 되지 않은 신생 혁신기업을 의미하며, 통상적으로 아이디어와 혁신기술을 보유한 기업으로 정의된다. 스타트업은 4차 산업혁명과 기술혁신을 주도하고 일자리 창출과 산업 생산성 성장에 기여하는바, 그 중요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특히 인도는 빠르게 성장하는 경제와 저임금의 우수한 인재풀을 바탕으로 미국과 영국에 이어 스타트업 강국으로 부상하였고, 인도 스타트업 시장을 향한 글로벌 투자 역시 늘어나고 있다. 인도 스타트업 시장에 진출하는 우리 기업 사례가 증가하고 있지만, 시장에 안정적으로 진출한 기업은 소수에 불과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량적 자료 및 문헌 분석, 기업 사례 분석, 설문조사 및 심층 면담조사를 바탕으로 인도 스타트업 생태계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인도 스타트업 진출을 확대하기 위한 정책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창업자, 금융 환경, 지식 인프라, 정부제도 등 스타트업 생태계의 여러 구성요소를 인도 전체 및 주요 도시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또한 인도시장에 진출하였거나 혹은 진출을 계획하는 국내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인도 스타트업 생태계에 대한 평가와 정책 수요를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 및 심층 면담조사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인 장별 분석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제2장에서는 스타트업 창업이 활발한 미국, 영국, 인도와 함께 한국, 중국, 일본의 스타트업 현황을 비교 분석하였다. 정량적 데이터로 분석한 인도 스타트업 환경은 스타트업 기업 수와 투자 금액 등 양적인 측면에서 비교대상인 주요국 대비 빠르게 성장하는 모습을 보인다. 그러나 인도의 스타트업 시장은 상대적으로 인도기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고, 성장성이 큰 기업으로 투자가집중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개인 투자 비중이 높은 모습을 보인다.
   제3장에서는 인도의 스타트업 생태계 구성요소를 △ 창업자 △ 투자 환경 △ 지식 인프라 및 인적자본 △ 정부정책으로 구분해 정량적 데이터와 문헌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인도는 다수의 스타트업 성공 사례를 통한 인식 제고, 인도의 다문화적 특징, 주가드(Jugaad) 정신 등을 바탕으로 창업에 대한 우호적인 인식과 적극적인 창업 분위기가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2000년대 닷컴 붐 이후 인도 스타트업 투자 생태계가 성장하였으며, 최근 스타트업 모태펀드 및 무드라론 등 정부의 금융지원 시스템이 확대되면서 국내외 자금 출처로부터의 스타트업 투자 접근성이 높아지고 있다. 지식 인프라 및 인적자본과 관련하여 인도는 고등 교육기관과 인도에 진출한 글로벌 기업의 활발한 연구개발 및 인큐베이팅 활동을 기반으로 세계 수준의 지식 인프라와 우수한 인력풀을 구축할 수 있었다. 한편 인도정부는 스타트업 대상 행정절차 간소화, 자금 지원 및 세제 혜택, 산학연계 및 인큐베이팅 지원 등 다각적인 스타트업 육성정책을 다년간에 걸쳐 시행하면서 스타트업 성장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제4장에서는 스타트업 분포, 투자ㆍ금융 네트워크 및 스타트업 인프라 등의 지표를 고려하여 인도에서 스타트업 창업이 가장 활발한 벵갈루루, 델리, 뭄바이의 도시별 스타트업 생태계 현황 및 특징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크런치베이스 통계를 활용해 인도에 진출한 해외 창업자와 그들이 창업한 스타트업의 산업별 비중 및 투자 환경도 살펴보았다. 세 도시가 속한 각각의 지방정부는 스타트업을 육성하기 위해 스타트업 전담기관 설치, 규제 완화, 인프라 지원 등의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한편 도시별로 주요 산업 및 지방정부 정책에 따라 상이한 특징을 가진 스타트업 생태계가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먼저 ‘인도의 실리콘밸리’로 불리는 벵갈루루는 창업이 가장 활발한 도시로, 공학 중심의 풍부한 인적자본과 테크파크 등의 스타트업 인프라가 활성화되어 있다. 델리는 인도의 수도인 뉴델리를 중심으로 주요 기관에 대한 접근성이 높고 비즈니스 환경이 잘 갖추어진 도시로, 1,600만 명 이상의 인구를 바탕으로 전자상거래 분야 스타트업의 성장세가 돋보였다. 마지막으로 인도의 경제 중심지로 꼽히는 뭄바이에는 상업과 금융업의 발달에 힘입어 높은 수준의 스타트업 펀딩 네트워크가 구축되어 있고, 주정부 최초로 핀테크 정책을 발표하고 연관 스타트업을 장려하고 있다.
   제5장에서는 인도에 진출한 스타트업으로부터 인도 스타트업 생태계 활용 경험과 평가의견을 청취하고 우리 정부의 정책지원 수요를 파악하고자 실시한 온라인 설문조사와 심층 면담조사 내용을 분석하였다. 먼저 인도 현지법인을 운영하는 응답자 중에는 현지 맞춤형 사업 운영을 위해 현지 창업자와 공동창업하거나 공동창업을 고려 중인 경우도 있었으나, 상호간의 낮은 신뢰 수준으로 인하여 단독 창업을 선호하는 경우도 많았다. 대부분의 자본 조달은 인도가 아닌 국내 자금 출처로부터 이뤄졌다. 인도정부가 제공하는 금융지원제도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고 제도의 수혜 대상 여부를 알지 못해 이를 활용한 경우는 전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인도 대학, 글로벌 기업, 인도정부의 스타트업 지원센터 등과 교류하는 사례도 미미하였다. 응답자들은 인도 스타트업 생태계 구성요소 가운데 전문인력과 지식 인프라 부문의 경쟁력은 상대적으로 우수하지만 금융이나 정부 지원 부문은 보통 이하의 경쟁력이라고 평가했다. 응답자들은 현지의 규제 및 제도적 장벽과 현지 네트워크 부족 문제를 인도 진출의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지적하였다. 현지의 협력기업에 대해 신뢰할 만한 정보가 부족하고, 현지 진출에 필요한 자금이 부족한 것도 장애요인으로 나타났다. 한편 국내 스타트업의 인도 진출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해외 진출전략 수립 및 시장성 검증 컨설팅, 해외 마케팅 교육, 해외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참여, 사무실 및 주거 공간, 글로벌 기업의 인큐베이팅 등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제6장에서는 앞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스타트업의 인도 진출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 방향과 구체적인 정책과제를 제시하였다. 우선 신남방정책 및 한ㆍ인도 디지털 협력을 강화하고 스타트업 진출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거시적 차원에서 양국간 디지털 협력을 강화하는 선제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신남방 디지털 국제포럼의 정례화 및 한ㆍ인도 스타트업 정책 로드맵 공동연구 등의 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인도시장에 대한 관심과 정보 부족으로 인하여 국내 스타트업의 인도 진출이 정체되어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한ㆍ인도 지식문화 교류센터를 설립하고, 한ㆍ인도 스타트업 연례행사를 개최하여 양국간 교류 기회를 늘려나가야 할 것이다. 아울러 인도에 진출한 국내 스타트업이 겪는 어려움과 정책 수요를 반영하여, 인도 사업정보 데스크 운영, 투자정보망 구축, 현지 인력 및 협력업체 풀 마련, 유관기관 전문성 강화, 한ㆍ인도 스타트업 공동기금 조성 등 실질적인 지원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A startup refers to a company with a short period of experience, in many cases with ideas and innovative technologies. Recently, startups are lead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contributing to job creation and industrial productivity growth, and as a result their economic importance continues to increase. In particular, India is emerging as a startup powerhouse based on its fast-growing economy and relatively cost-efficient excellent talent pool. Also, global investment into the Indian startup market is increasing. While the number of Korean companies entering the Indian startup market is increasing, only a few have made stable inroads into the market.
   Based on quantitative data, literature analysis, corporate case analysis, online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this study objectively evaluates the Indian startup ecosystem and draws policy implications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of the Indian market to Korean startups. The startup ecosystem is composed of many elements, such as the founder(s), financial environment, knowledge-related infrastructure, and government system. This report analyzes the Indian start-up ecosystem at the national and state level. Additionally, a survey was conducted on Korean start-ups in the Indian market to identify the policy demand of firms. The main contents of each chapt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Chapter 2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startups in three East Asian countries, (Korea, China, and Japan), along with the United States, Britain, and India. Quantitative data shows that the Indian startup market has rapid growth compared to other countries in terms of quantity such as the number of startups and investment volume. However, India's startup market is relatively focused on Indian founders, and investment is concentrated on a small number of companies with high growth potential. Also, the proportion of individual investment is relatively high compared to other countries.
   Chapter 3 illustrates the Indian startup ecosystem using quantitative data and literature review, focusing on components such as entrepreneurship, investment environment, knowledge-related infrastructure and human capital, and government polic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dia shows a favorable perception of entrepreneurship and an active entrepreneurial atmosphere. It was found that this is based on raising awareness through the growth of the startup ecosystem and their success cases, the multi-cultural characteristics of India, and the spirit of jugaad. The investment ecosystem for Indian startups has been continuously developed since the dot-com boom in the 2000s and funding systems recently introduced by the government, such as the “Fund of Funds for Start-ups” and “Mudra Loan,” have contributed to the rise in funding from domestic and overseas sources. In terms of knowledge-related infrastructure and human capital, India has developed a world-class knowledge infrastructure and excellent manpower pool based on the active R&D and incubation activities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nd multinational companies in India. Meanwhile, the Indian government has laid the foundation for startup growth by implementing multifaceted startup promotion policies for many years, such as simplification of administrative procedures for startups, financial support and tax benefits,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and incubation support.
   In Chapter 4, we analyze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startup ecosystems in Bengaluru, Delhi and Mumbai, where startups are the most active in India. Based on the Crunchbase data, this chapter also examines foreign entrepreneurs opening their start-ups in India, the proportion of startups by industry sector, and the investment environment. Each of the local governments to which the three cities belong to are promoting policies such as establishment of a startup-dedicated agency, deregulation, and infrastructure support to foster startups. Meanwhile, we also confirm that startup ecosystems with distinctive characteristics were formed according to major industries and local government policies for each city. Bengaluru, referred to as “India's Silicon Valley,” is the city with the most active startup ecosystem, with abundant human capital centered on a rich pool of engineering talents and startup infrastructure such as Tech Parks. Delhi, which includes the capital of India, offers high access to major institutions, a well-equipped business environment, and a population of more than 16 million, showing the rapid growth of e-commerce startups. Mumbai, one of India's economic centers, has built a high-level startup funding network based on the development of commerce and finance. In addition, Mumbai is the first state in India to announce its Fintech promotion policy and support related startups.
   Chapter 5 provides an analysis of an online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conducted to gather the experience of using the Indian startup ecosystem and evaluation from Korean startups that have entered India and to identify the demand for policy support from the Korean government. Among the respondents of startups operating a local subsidiary in India, there were cases where these subsidiaries were co-founded with local partners, or this approach was being considered, to allow more customized local business activities, but many companies replied they prefer to found their startups independently due to reliability issues. Most of the capital raising came from domestic funding sources, not from India. Many respondents lacked sufficient information on financial support provided by the Indian government and hence had little knowledge as to whether startups founded by foreigners are eligible for these supports and services from the Indian government. Moreover, there are few cases of networking activities with Indian universities, multinational companies, and Indian government-run startup support agencies or accelerators. Respondents evaluated that the competitiveness of human resources and knowledge-related infrastructure in the Indian startup ecosystem is relatively high, but the financing and government support are rated as less competitive. The respondents of the survey pointed out the local regulatory and institutional barriers and limited local networks as difficulties in entering the Indian market. The lack of reliable information on local partner companies and insufficient funding were also identified as obstacle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government policy support is needed for overseas marketability verification consulting, overseas marketing expenses/education, participation in overseas accelerating programs, working and residential spaces, and incubation opportunities from global companies, to accelerate the entry of Korean startups into India, 
   In Chapter 6 we present policy directions and specific policy tasks to support domestic startups entering India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nd analyses.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continue promoting the New Southern Policy and Korea-India digital cooperation and create an environment amenable to startups advancing into the market. At the macro-level, preemptive efforts to reinforce digital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are needed. To this end, this study suggests measures such as upgrading the New Southern Digital International Forum into a regular event and conducting joint research on a Korea-India startup policy roadmap. In addition, taking into account that the entry of Korean startups into India is stagnating due to lack of interest and information on the Indian market,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India Knowledge and Culture Exchange Center and annual Korea-India startup events would increase exchange opportunities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addition, reflecting the difficulties and policy demands of domestic startups entering India, this study recommends practical policy support measures such as operating an Indian business information desk, establishing an investment information network, preparing a pool of reliable and talented local personnel and partners, strengthening expertise in related organizations, and establishing a joint fund for startups.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구성

제2장 주요국의 스타트업 현황 분석
1. 분석 배경
2. 분석 방법론
3. 국별 스타트업 현황 분석
4. 소결

제3장 인도 스타트업 생태계 분석
1. 창업자
2. 투자
3. 지식 인프라와 인적자본
4. 정부
5. 소결

제4장 인도 도시별 스타트업 생태계 분석
1. 벵갈루루
2. 델리
3. 뭄바이
4. 소결

제5장 우리 기업의 인도 스타트업 생태계 평가와 정책수요 분석
1. 우리나라의 인도 스타트업 진출 현황
2. 인도 진출 스타트업 대상 설문 및 면접 조사
3. 조사 결과 분석
4. 소결

제6장 결론 및 정책 시사점
1. 연구 결과 요약
2. 정책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
1. 인도 진출 스타트업 대상 온라인 설문지
2. 인도 진출 스타트업 대상 심층면접 조사 지침(진출기업 대상)
3. 인도 진출 스타트업 대상 심층면접 조사 지침(지원기관 대상)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322
판매가격 12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세계지역전략연구 Exploring Urban Perception on Climate Change in Developing Countries 2024-08-29 단행본 2023 KIEP 정책연구 브리핑 2024-06-28 연구보고서 해외직접투자가 기업의 지식재산권 확보와 성과에 미치는 영향 2023-12-29 연구보고서 대러 경제 제재가 러시아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한-러 경제협력 안정화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글로벌 경제안보 환경변화와 한국의 대응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인도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몽골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몽골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전략 추진을 위한 한-태평양도서국 중장기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 기술경쟁 시대 중국의 강소기업 육성전략과 시사점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경쟁에 따른 아세안 역내 공급망 재편과 한국의 대응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남아공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자료 동티모르의 아세안 가입 지원 및 개발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멕시코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멕시코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호주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호주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시대 한ㆍ인도 경제협력의 방향과 과제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 서비스 산업 구조 분석과 한-인도 산업 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일본의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관리와 한·일 간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연구보고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EU의 '개방형 전략적 자율성' 확대에 미친 영향: 에너지 전환, 인적 교류, 안보 통합을 중심으로 2023-12-30 연구보고서 중동부유럽으로의 EU 확대 평가와 향후 전망 2023-12-29 중국종합연구 한중 탄소중립 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2023-12-29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