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자료 한국의 주요국별ㆍ지역별 중장기 통상전략: 러시아 경제관계, 경제협력

저자 이재영, 한종만, 성원용, 이광우 발간번호 07-23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07.12.30

원문보기(다운로드:842)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국교정상화 이후 지난 17년 동안 한ㆍ러 양국간 경제협력은 무역 및 투자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발전해 왔으며, 에너지, 철도, 과학기술 등에 이어 우주항공 분야에 이르기까지 경제협력의 폭도 확대되고 있다. 2006년 기준으로 양국 교역은 약 100억 달러에 달하게 되어 이제 러시아는 한국의 제12대 수출대상국이며, 제16대 수입대상국으로 부상하였다. 2006년 말 한국의 대러 누적 투자금액은 3억 7,156만 달러로 러시아는 한국의 제28대 외국인 투자대상국으로 부상하였다. (생략)
It has been 17 years since the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Russia normalized. Recently, economic cooperation has steadily developed in trade- investment cooperation fields, along with energy, railroad, science-technology and aerospace industries. According to 2005 data, the trade volume between the two countries reached approximately US$10 billion and Russia was the 12th largest importer of Korean goods and the 16th largest exporter to Korea. By the end of 2006, the accumulative amount of Korean investment toward Russia was $371,560,000, and Russia is marked as the 28th largest recipient of Korean foreign investment. (The rest is omitted.)
서 언
국문요약

제1장 서 론

제2장 러시아의 경제 현황과 발전 전망
1. 경제체제 개혁과정 평가
2. 거시경제 현황
3. 산업구조 및 산업정책
4. 경제발전전략과 경제성장 전망

제3장 러시아의 대외무역 및 통상 정책
1. 무역 현황 및 정책
2. 투자유치 및 해외투자 정책
가. 외국인투자 유치 현황 및 정책
나. 러시아의 해외직접투자 현황 및 정책
3. 에너지정책
4. 지역경제협력정책

제4장 한ㆍ러 통상 현황 및 평가
1. 한ㆍ러 무역협력 현황
가. 한ㆍ러 무역 추이와 현황
나. 한ㆍ러 교역 품목 현황과 추이
2. 한ㆍ러 투자협력 추이와 현황
3. 한국의 주요 부문별 대러시아 통상 현황
가. 에너지협력
나. 철도협력
다. 과학기술협력
4. 평가와 전망

제5장 주요국의 대러시아 통상전략 및 시사점
1. EU의 대러시아 경제협력 및 통상전략
가. EU와 러시아의 무역 현황과 전망
나. EU와 러시아의 투자 현황과 전망
다. EU의 대러시아 통상정책
2. 미국의 대러시아 경제협력 및 통상전략
가. 미국과 러시아의 무역 현황과 전망
나. 미국과 러시아의 투자 현황과 전망
다. 미국의 대러시아 통상전략
3. 중국의 대러시아 경제협력 및 통상전략
가. 중국과 러시아의 무역 현황과 전망
나. 중국과 러시아 투자 현황과 전망
다. 중국의 대러시아 통상정책
4. 일본의 대러시아 경제협력 및 통상전략
가. 일본과 러시아의 무역 현황과 전망
나. 일본과 러시아의 투자 현황과 전망
다. 일본의 대러시아 통상전략
5. 평가 및 한국에 주는 시사점

제6장 한국의 대러시아 중장기 통상전략
1. 통상목표와 추진방향
가. 해륙국가로의 귀환: 대륙을 향한 기회의 창
나. 소지역주의를 넘어 '열린 동북아'로
다. 유라시아(Eurasia)에서의 전략적 협력
2. 분야별 통상전략 및 실천방안
가. 시장확대
나. 투자확대
다. 에너지협력
라. 철도협력
마. 과학기술협력
바. 기타

제7장 결 론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222
판매가격 10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보고서 중국 탄소가격정책이 한중 경제관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 및 시사점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중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중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자료 방글라데시 기후변화 영향 분석 및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김정은 시대 북한의 대외관계 10년: 평가와 전망 2022-12-30 연구보고서 인도의 신·재생에너지 시장 및 정책 분석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경쟁 하 중남미의 GVC 참여와 RVC 구축 연구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한-인도네시아 포괄적 미래 협력 방안 연구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러 전략경쟁 시기 러시아의 대중국 관계 발전과 정책 시사점 2022-12-30 연구자료 대러시아 제재가 중동부유럽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EU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EU 협력 방안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중남미 내 포퓰리즘 확산의 사회·경제적 영향과 시사점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미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미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자료 한-호주 공급망 협력 방향: 핵심광물과 수소를 중심으로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한-MENA 녹색전환 협력 방안 2022-12-30 중국종합연구 2022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아프리카 문화콘텐츠 산업의 발전과 한국에 주는 함의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전략경쟁 시대 지정학적 리스크와 경제안보 2022-10-30 연구보고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주요국의 통화·재정정책 방향과 시사점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카타르의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 구축 전략과 협력 시사점 2022-10-31 연구보고서 디지털 부문 혁신과 신북방 주요국의 구조 전환: 신북방 중진국과의 IT 협력을 중심으로 2021-12-30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