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고서
발간물
전체보고서
목록으로
1988년 서울올림픽과 더불어 구소련과 우리나라 사이에 있던 벽이 무너지기 시작하였고 이는 국내에서 점차 시베리아 열기로 나타났다. 풍부한 부존자원을 지닌 광활한 미개발지이며 지리적으로 인접해 있는 시베리아는 우리들에게 꿈을 주기에 충분하였다.그러나 구소련에서 개방과 개혁이 추진되고 소연방이 와해되는 과정에서 우리는 구소련 및 러시아 경제의 실상을 접하게 되었으며, 지난 몇 년간 구소련 및 러시아의 경제협력을 통해 일반 국민들도 시베리아 개발에는 열악한 자연환경 이외에도 많은 장애요인이 있다는 현실을 인식하게 되었다. 또한 러시아 경제사정이 계속 악화되고 이로 인해 우리가 구소련에 제공하였던 경협자금에 대한 상환기일의 연기가 불가피해짐에 따라, 국내에서는 러시아 경제협력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대두되고 있으며, 시베리아 땅도 더욱 멀고 차게 느껴지고 있는 듯하다.신헌법의 채택 및 의회선거를 앞두고 있는 러시아 정국은 아직 불안한 상태이며, 시장경제체제로의 전환을 꾀하고 있는 러시아 경제의 하락현상도 지속되고 있는 중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러시아내 경제개혁은 계속 추진되어왔기 때문에, 개혁과정에서 많은 시행착오가 예상되지만 과거 계획경제체제로의 회귀는 상상할 수 없으며, 러시아경제의 개방화 추세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The rapprochement between Korea and the Soviet Union in the late 1980s unveiled the Soviet Union to Koreans for the first time in decades. The initial excitement generated in Korea by this tremendous opportunity was soon replaced by high expectations of economic cooperation with the Soviet Union.
However, the disintegration of the Soviet Union at the end of 1991, as well as the political instabilities and economic deterioration of the Russian economy that followed, constituted very serious obstacles to the further development of the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Russia. In addition, the fact that Russia was unable to repay Korean loans made the Korean public very skeptical as to whether economic cooperation with Russia was in Korea's best interests.
However, the long-term outlook of Korea-Russian economic cooperation is very bright due to its great potential. Furthermore, despite the uncertainties of Russian politico-economic instability, the short-term prospects for Korea-Russian economic cooperation also look promising, mainly due to the well-established basic frameworks for bilateral economic cooperation that have been created in the past several year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rst make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Russian development strategy of the Far East then deduce specific business opportunities and methods of cooperation on territorial development between Korea and Russia.
However, the disintegration of the Soviet Union at the end of 1991, as well as the political instabilities and economic deterioration of the Russian economy that followed, constituted very serious obstacles to the further development of the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Russia. In addition, the fact that Russia was unable to repay Korean loans made the Korean public very skeptical as to whether economic cooperation with Russia was in Korea's best interests.
However, the long-term outlook of Korea-Russian economic cooperation is very bright due to its great potential. Furthermore, despite the uncertainties of Russian politico-economic instability, the short-term prospects for Korea-Russian economic cooperation also look promising, mainly due to the well-established basic frameworks for bilateral economic cooperation that have been created in the past several year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rst make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Russian development strategy of the Far East then deduce specific business opportunities and methods of cooperation on territorial development between Korea and Russia.
I. 서론
II. 러시아 극동지역의 경제
1. 러시아 극동지역의 정의
2. 러시아 극동지역 경제의 잠재력
3. 극동지역의 경제적 비중
4. 극동지역의 경제현황
III. 극동지역의 교역
1. 1990년 이전 극동지역의 교역
2. 극동지역의 교역현황
IV. 극동지역의 외국인투자
1. 극동지역 전체의 외국인투자
2. 연해지방의 외국인투자
3. 하바로프스크지방의 외국인투자
4. 사할린주의 외국인투자
5. 나호드카 자유경제지대의 외국인투자
V. 우리의 대극동지역 경제협력방안
1. 한· 러시아 극동지역 경제협력현황
2. 한· 러시아 극동지역 경제협력의 당면과제
3. 한· 러시아 극동지역 경제협력의 문제점
4. 우리의 대극동지역 진출방안
II. 러시아 극동지역의 경제
1. 러시아 극동지역의 정의
2. 러시아 극동지역 경제의 잠재력
3. 극동지역의 경제적 비중
4. 극동지역의 경제현황
III. 극동지역의 교역
1. 1990년 이전 극동지역의 교역
2. 극동지역의 교역현황
IV. 극동지역의 외국인투자
1. 극동지역 전체의 외국인투자
2. 연해지방의 외국인투자
3. 하바로프스크지방의 외국인투자
4. 사할린주의 외국인투자
5. 나호드카 자유경제지대의 외국인투자
V. 우리의 대극동지역 경제협력방안
1. 한· 러시아 극동지역 경제협력현황
2. 한· 러시아 극동지역 경제협력의 당면과제
3. 한· 러시아 극동지역 경제협력의 문제점
4. 우리의 대극동지역 진출방안
판매정보
분량/크기 | 200 |
---|---|
판매가격 | 5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보고서
경제안보 이슈의 부상과 대외협력 방향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주요국의 대남아시아 경제협력전략과 정책 시사점: 중국, 일본, 인도를 중심으로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전략 경쟁 시대 글로벌 기업의 대응과 중국진출 한국기업에 대한 시사점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일본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일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한국-동남아 가치사슬 안정화를 위한 메콩지역 협력 방안 연구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아세안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아세안 협력 방안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중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중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자료
방글라데시 기후변화 영향 분석 및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인도의 신·재생에너지 시장 및 정책 분석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경쟁 하 중남미의 GVC 참여와 RVC 구축 연구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한-인도네시아 포괄적 미래 협력 방안 연구
2022-12-30
연구자료
대러시아 제재가 중동부유럽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EU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EU 협력 방안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중남미 내 포퓰리즘 확산의 사회·경제적 영향과 시사점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미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미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자료
한-호주 공급망 협력 방향: 핵심광물과 수소를 중심으로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한-MENA 녹색전환 협력 방안
2022-12-30
중국종합연구
2022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아프리카 문화콘텐츠 산업의 발전과 한국에 주는 함의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전략경쟁 시대 지정학적 리스크와 경제안보
2022-10-30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