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고서
발간물
전체보고서
목록으로
2000년부터 시작된 신고유가시대의 도래 이후 막대한 규모의 오일머니가 다시 중동으로 유입되었다. 이러한 오일머니를 기초로 중동경제는 다시 활기를 띠면서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본 보고서는 최근의 고유가시기에 중동의 산유국이 밀집한 소위 걸프지역의 경제동향을 분석하고, 우리나라가 이 지역과의 경제협력을 확대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오일머니의 규모와 흐름에 대한 분석, 걸프지역의 최근 경제정책 분석, 세계 주요국가의 걸프지역과의 협력정책 분석, 우리나라의 협력정책 방향 제시 등이 연구의 주요 내용이다. (생략)
Since the period of high oil prices beginning in 2000, huge amounts of oil dollars have flowed into the Middle East. With the revival of the Middle East's economy based on increasing monetary flows, the region has aroused the world's interest. This study begins with a comprehensive analysis on the economic trends of the gulf region where oil producing countries are clustered and suggests ways for Korea to strengthen cooperation and relationships with countries in this region. This study specifically addresses the amount and flow of oil dollars in the gulf region, recent economic policies of gulf countries, strategies the world's major countries have adopted toward the Middle East, and our suggestions toward cooperation policies regarding the Middle East. (The rest is omitted.)
서언
국문요약
제1장 머리말
1. 연구목적
2. 연구범위와 보고서의 구성
제2장 오일머니와 걸프지역 경제동향
1. 걸프지역 경제구조의 특징
2. 걸프지역 경제동향
3. 오일머니의 규모
4. 오일머니의 흐름
가. 상품수입의 변화
나. 정부재정의 변화
다. 해외자산의 변화
라. 세계경제에 대한 영향
5. 오일머니의 경제적 영향
제3장 고유가시대 걸프지역의 경제정책
1. 경제정책의 방향
가. 거시경제정책
나. 산업정책
다. 경제개혁 정책
2. 에너지개발정책
가. 배경
나. 현황
다. 평가 및 전망
3. 에너지연관산업 육성정책
가. 투자 배경 및 동향
나. 정책 현황
다. 시사점
4. 서비스산업 육성정책
가. 배경
나. 정책 현황
다. 평가 및 전망
5. 인프라 확충정책
가. 배경 및 현황
나. 정책 및 개발 동향
다. 평가 및 시사점
6. 경제자유구역 육성정책
가. 배경
나. 경제자유구역 현황
다. 평가 및 시사점
제4장 주요국의 대중동 경제협력 전략
1. 미국
가. 대중동 정치·경제 관계
나. 대중동 전략
다. 대중동 협력정책
2. EU
가. 대중동 정치·경제 관계
나. 대중동 전략
다. 대중동 협력정책
3. 일본
가. 대중동 정치·경제 관계
나. 대중동 전략
다. 대중동 협력정책
4. 중국
가. 대중동 정치·경제 관계
나. 대중동 전략
다. 대중동 협력정책
5. 시사점
제5장 우리의 대중동 협력확대 전략 및 방안
1. 한·중동 경제협력 현황
가. 무역 및 투자협력
나. 플랜트 및 에너지 분야 협력
2. 걸프지역의 장기 경제전망
가. 국제유가 전망
나. 걸프지역 경제전망
다. 걸프지역 경제의 위험요인
3. 경제협력의 방향
가. 걸프지역의 중요성
나. 전략 및 접근방법
4. 부문별 협력방안
가. 교역분야
나. 건설·플랜트 분야
다. 투자 및 서비스 분야
라. 에너지분야
마. 정보통신분야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
국문요약
제1장 머리말
1. 연구목적
2. 연구범위와 보고서의 구성
제2장 오일머니와 걸프지역 경제동향
1. 걸프지역 경제구조의 특징
2. 걸프지역 경제동향
3. 오일머니의 규모
4. 오일머니의 흐름
가. 상품수입의 변화
나. 정부재정의 변화
다. 해외자산의 변화
라. 세계경제에 대한 영향
5. 오일머니의 경제적 영향
제3장 고유가시대 걸프지역의 경제정책
1. 경제정책의 방향
가. 거시경제정책
나. 산업정책
다. 경제개혁 정책
2. 에너지개발정책
가. 배경
나. 현황
다. 평가 및 전망
3. 에너지연관산업 육성정책
가. 투자 배경 및 동향
나. 정책 현황
다. 시사점
4. 서비스산업 육성정책
가. 배경
나. 정책 현황
다. 평가 및 전망
5. 인프라 확충정책
가. 배경 및 현황
나. 정책 및 개발 동향
다. 평가 및 시사점
6. 경제자유구역 육성정책
가. 배경
나. 경제자유구역 현황
다. 평가 및 시사점
제4장 주요국의 대중동 경제협력 전략
1. 미국
가. 대중동 정치·경제 관계
나. 대중동 전략
다. 대중동 협력정책
2. EU
가. 대중동 정치·경제 관계
나. 대중동 전략
다. 대중동 협력정책
3. 일본
가. 대중동 정치·경제 관계
나. 대중동 전략
다. 대중동 협력정책
4. 중국
가. 대중동 정치·경제 관계
나. 대중동 전략
다. 대중동 협력정책
5. 시사점
제5장 우리의 대중동 협력확대 전략 및 방안
1. 한·중동 경제협력 현황
가. 무역 및 투자협력
나. 플랜트 및 에너지 분야 협력
2. 걸프지역의 장기 경제전망
가. 국제유가 전망
나. 걸프지역 경제전망
다. 걸프지역 경제의 위험요인
3. 경제협력의 방향
가. 걸프지역의 중요성
나. 전략 및 접근방법
4. 부문별 협력방안
가. 교역분야
나. 건설·플랜트 분야
다. 투자 및 서비스 분야
라. 에너지분야
마. 정보통신분야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 239 |
---|---|
판매가격 | 10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중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중 협력 방안
2022-12-30
전략지역심층연구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중동부유럽 주요국의 지정학적 위기 대응 전략: 에너지 이슈를 중심으로
2022-12-30
연구자료
방글라데시 기후변화 영향 분석 및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인도의 신·재생에너지 시장 및 정책 분석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경쟁 하 중남미의 GVC 참여와 RVC 구축 연구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한-인도네시아 포괄적 미래 협력 방안 연구
2022-12-30
연구자료
대러시아 제재가 중동부유럽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EU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EU 협력 방안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중남미 내 포퓰리즘 확산의 사회·경제적 영향과 시사점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미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미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자료
한-호주 공급망 협력 방향: 핵심광물과 수소를 중심으로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한-MENA 녹색전환 협력 방안
2022-12-30
중국종합연구
중국의 수소에너지 산업지원정책과 한중협력방안
2022-12-30
중국종합연구
2022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아프리카 문화콘텐츠 산업의 발전과 한국에 주는 함의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전략경쟁 시대 지정학적 리스크와 경제안보
2022-10-30
세계지역전략연구
아세안 지역의 저탄소 에너지기반 구축을 위한 한-아세안 협력 방향
2022-12-30
연구보고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주요국의 통화·재정정책 방향과 시사점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카타르의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 구축 전략과 협력 시사점
2022-10-31
연구보고서
디지털 부문 혁신과 신북방 주요국의 구조 전환: 신북방 중진국과의 IT 협력을 중심으로
2021-12-30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