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고서
발간물
전체보고서
목록으로
이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동북아시아의 개발수요와 재원조달 방안을 함께 살펴보는 것이다. 지금까지 동북아시아 개발에 관련된 연구에서는 대체로 동북아시아의 개발수요 검토와 그 재원조달 분석이 별개로 이루어져왔다. 즉 동북아시아의 개발수요에 대한 논의는 인프라 및 에너지 개발 등의 각 부문별로 진행되고, 재원조달에 대한 논의는 동북아개발은행(NEADB)의 창설을 중심으로 진행되어왔다. 그러나 두 분야는 개발재원의 수요와 공급에 관련된 것으로, 양자를 함께 논의할 때 동북아시아 개발의 구체성이 보다 확보될 수 있다. (생략)
첫째, 동북아시아의 개발수요와 재원조달 방안을 함께 살펴보는 것이다. 지금까지 동북아시아 개발에 관련된 연구에서는 대체로 동북아시아의 개발수요 검토와 그 재원조달 분석이 별개로 이루어져왔다. 즉 동북아시아의 개발수요에 대한 논의는 인프라 및 에너지 개발 등의 각 부문별로 진행되고, 재원조달에 대한 논의는 동북아개발은행(NEADB)의 창설을 중심으로 진행되어왔다. 그러나 두 분야는 개발재원의 수요와 공급에 관련된 것으로, 양자를 함께 논의할 때 동북아시아 개발의 구체성이 보다 확보될 수 있다. (생략)
We undertook the study for the following reasons.
The first is to look into both the demand side and financing plans for Northeast Asian development. Up to now, the research for the demand and financing for development has been examined separately. However, simultaneous discussion would make development plans concrete since both of them are related to the demand and supply of financial resources. (The rest is omitted.)
The first is to look into both the demand side and financing plans for Northeast Asian development. Up to now, the research for the demand and financing for development has been examined separately. However, simultaneous discussion would make development plans concrete since both of them are related to the demand and supply of financial resources. (The rest is omitted.)
국문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동북아시아의 개발수요 현황
1. 거시적 차원에서의 개발수요
2. 미시적 차원에서의 개발수요
3. 평가
제3장 동북아시아 개발을 위한 재원조달 방안: 동북아시아개발은행을 중심으로
1. 동북아개발은행의 설립 필요성과 논의 경과
2. 현존 다자간 지역개발은행간의 비교분석
3. 동북아개발은행 설립에 대한 기존방안 비교분석
4. 관련국의 입장
5. 평가
제4장 결론
1. 요약
2. 다양한 재원조달 방안 모색과 한국의 역할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제1장 서론
제2장 동북아시아의 개발수요 현황
1. 거시적 차원에서의 개발수요
2. 미시적 차원에서의 개발수요
3. 평가
제3장 동북아시아 개발을 위한 재원조달 방안: 동북아시아개발은행을 중심으로
1. 동북아개발은행의 설립 필요성과 논의 경과
2. 현존 다자간 지역개발은행간의 비교분석
3. 동북아개발은행 설립에 대한 기존방안 비교분석
4. 관련국의 입장
5. 평가
제4장 결론
1. 요약
2. 다양한 재원조달 방안 모색과 한국의 역할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 92 |
---|---|
판매가격 | 5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자료
한-호주 공급망 협력 방향: 핵심광물과 수소를 중심으로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한-MENA 녹색전환 협력 방안
2022-12-30
중국종합연구
2022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아프리카 문화콘텐츠 산업의 발전과 한국에 주는 함의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전략경쟁 시대 지정학적 리스크와 경제안보
2022-10-30
연구보고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주요국의 통화·재정정책 방향과 시사점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카타르의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 구축 전략과 협력 시사점
2022-10-31
연구보고서
디지털 부문 혁신과 신북방 주요국의 구조 전환: 신북방 중진국과의 IT 협력을 중심으로
2021-12-30
연구보고서
한ㆍEU FTA 10주년 성과 평가 및 시사점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신남방 국가의 중소기업과 현지 한국 중소기업간 상생 협력 방안
2021-12-30
연구보고서
아시아-유럽 정상회의(ASEM) 25주년 평가와 한국의 활용전략
2021-12-30
전략지역심층연구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남북 교류협력 추진 방안
2021-12-30
중국종합연구
2021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1-12-30
Working paper
A Theoretical Approach to Evaluating Global Vaccination Plans
2021-03-31
세계지역전략연구
인도의 對아프리카 협력 현황 및 정책적 시사점
2022-05-27
세계지역전략연구
외국인력 유입의 사회경제적 영향: 유럽 내 아프리카 이민자 사례 및코로나19 대응을 중심으로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미중 경쟁에 대한 호주의 전략적 대응과 시사점: 호주의 대중정책 변화를 중심으로
2022-05-20
연구보고서
러시아의 동북아 에너지 전략과 한-러 신협력방안: 천연가스 및 수소 분야를 중심으로
2021-12-30
연구보고서
아프리카 보건의료 분야 특성 분석 및 한국의 개발협력 방안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코로나19의 인도 사회·경제에 대한 영향과 시사점
2022-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