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지역연구시리즈 일본 수입촉진정책의 주요 내용 및 평가 무역정책

저자 김은지 발간번호 02-02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02.12.30

원문보기(다운로드:1,318)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일본의 수입증가 추세는 대내외적 요인에 의해 지속됨에 따라 일본의 무역수지흑자는 축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대내적 요인은 엔고와 장기불황, 기업간의 경쟁 격화 등이며, 대외적 요인은 장기불황에 따른 소비자의 저가 수입품 선호 경향, 일본 기업의 해외직접투자 증가에 따른 역수입의 증가, 제조업의 가격경쟁 격화 등을 꼽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일본에서 수입의 필요성이 확대되는 한편, 일본 기업은 동아시아와의 상호의존관계가 심화되고 있다. 이렇게 볼 때 일본의 장기불황은 동아시아 국가들에 있어 일본시장 진출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생략)
Japan has been experiencing a rise in imports recently and the trend is likely to continue unless there are change in Japan's current internal and external conditions. Internal factors include a high yen, the prolonged sluggishness of the economy and deepening competition among domestic corporations. The following are among the external factors: cheaper imports, which are preferred by Japanese consumers in light of the extended recession; reverse imports stemming from th foreign direct investment of Japanese corporations and intensifying price wars among manufactures manufacturers. In addition to such growing demand for imports, Japanese corporations increasingly forming interdependent relations with countries in East Asia. Considering these points, Japan's economic recession provides East Asian countries with the opportunity to make inroads into Japan. (The rest is omitted.)
제1장 서론
1. 연구 목적
2. 연구 방법 및 구성

제2장 일본 수입시장 구조의 변화
1. 수출입 추이와 수입구조
2. 수입구조의 특징

제3장 수입촉진정책의 추진 배경과 활용 실태
1. 배경 및 전개 과정
2. 수입촉진정책의 체계
3. 일본기업의 수입촉진정책 활용 실태

제4장 일본 수입촉진정책의 주요 내용
1. 세제 및 정책금융 지원
2. 수입촉진지역(FAZ) 정비
3. JETRO의 수입촉진사업
4. 시장개방고충처리체계(OTO)
5. 제품수입촉진협회(MIPRO)

제5장 수입촉진정책의 평가 및 활용방안
1. 수입촉진정책의 요약 및 평가
2. 한국기업의 활용방안

참고문헌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77
판매가격 5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기본연구보고서 보호무역정책의 정치경제적 결정요인 연구: 주요국 사례를 중심으로 2024-12-31 기본연구보고서 EU의 기후중립 전략기술 육성 정책이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주는 함의 2024-12-30 연구보고서 글로벌 반도체 산업 경쟁력과 공급망 구조 분석 2024-12-27 연구자료 핵심광물협정의 주요 내용과 정책 시사점 2024-11-08 Working paper The Recent Rise of the Far Right and Voters’ Anti-Refugee Attitudes in Europe 2024-11-2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동남아 주요 5개국의 통상전략과 경제성장 경로 : 수출주도성장전략의 평가와 전망 2024-10-11 기본연구보고서 수출규제의 경제적 함의와 글로벌 공급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23-12-30 기본연구보고서 디지털 통상규범의 경제적 효과 추정에 관한 연구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몽골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몽골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남아공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멕시코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멕시코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호주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호주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유럽 주요국의 경제안보 분야 대중국 전략과 시사점 2023-12-29 연구자료 산업보조금의 글로벌 확산 현황과 시사점 2023-12-29 연구자료 WTO 서비스 국내규제 규범의 분석과 시사점 2023-11-24 연구자료 국제사회의 성평등 무역규범 도입 현황과 한국의 정책과제 2023-05-06 연구자료 최근 Mega FTA SPS 규범의 국제논의 동향 및 시사점 2023-05-1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일본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일 협력 방안 2022-12-30 기본연구보고서 포용적 무역을 위한 국내보완대책의 성과와 시사점 2022-12-30 연구자료 무역 자유화와 소비자 후생효과: 품질 다양성을 중심으로 2023-05-25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