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고서
발간물
전체보고서
목록으로
동북아지역에서도 무역 및 투자 증진과 같은 실질적인 경제통합이 진전되고 있으며, 중국의 WTO 가입으로 동북아 비즈니스권의 형성은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또한 풍부한 인적자원과 거대한 잠재시장을 바탕으로 세계의 공장 및 경제대국으로 빠르게 부상하고 있는 중국은 우리 경제에 커다란 위협요인이자 기회요인으로 다가오고 있다. 한편 한국경제가 선진경제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경제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점을 국민 상당수가 인지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한국경제가 지향해야 할 구체적인 방향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는 형성되지 못한 상태이다. (생략)
Korea's Strategy for Becoming a Northeast Asian Business Hub- Based on Case Studies of Major Business Hubs -
Chang Jae Lee
In Northeast Asia, functional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has been progressing, driven by market forces despite the absence of formal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China's recent accession to the WTO is expected to further accelerate the formation of the 'Northeast Asian Business Area.' As the rise of the Chinese economy can bring both threats and opportunities for Korea, it is up to Koreans to turn threat into opportunity. Although Koreans feel the need for a paradigm shift, there is still no consensus on the future direction of the Korean economy.Faced with these challenges, Korea's strategy for becoming a regional business hub stems from the idea that Korea should take advantage of its geographic location between two economic giants, China and Japan. (The rest is omitted.)
Chang Jae Lee
In Northeast Asia, functional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has been progressing, driven by market forces despite the absence of formal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China's recent accession to the WTO is expected to further accelerate the formation of the 'Northeast Asian Business Area.' As the rise of the Chinese economy can bring both threats and opportunities for Korea, it is up to Koreans to turn threat into opportunity. Although Koreans feel the need for a paradigm shift, there is still no consensus on the future direction of the Korean economy.Faced with these challenges, Korea's strategy for becoming a regional business hub stems from the idea that Korea should take advantage of its geographic location between two economic giants, China and Japan. (The rest is omitted.)
Ⅰ. 서 론
Ⅱ. 비즈니스 거점의 유형분석
1. 배경 및 동기
2. 추진상황 및 성과
3. 종합적 평가
Ⅲ. 동북아 주요 비즈니스 거점간 여건분석
1. 업무환경
2. 생활환경
3. 지역본부의 활용
Ⅳ. 한국형 비즈니스 거점의 유형선택 및 추진과제
1. 유형선택
2. 우선과제
3. 추진전략
Ⅱ. 비즈니스 거점의 유형분석
1. 배경 및 동기
2. 추진상황 및 성과
3. 종합적 평가
Ⅲ. 동북아 주요 비즈니스 거점간 여건분석
1. 업무환경
2. 생활환경
3. 지역본부의 활용
Ⅳ. 한국형 비즈니스 거점의 유형선택 및 추진과제
1. 유형선택
2. 우선과제
3. 추진전략
판매정보
분량/크기 | 161 |
---|---|
판매가격 | 7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자료
동지중해 천연가스 개발 현황과 한국의 협력 방안
2023-10-20
연구보고서
경제안보 이슈의 부상과 대외협력 방향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주요국의 대남아시아 경제협력전략과 정책 시사점: 중국, 일본, 인도를 중심으로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전략 경쟁 시대 글로벌 기업의 대응과 중국진출 한국기업에 대한 시사점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일본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일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한국-동남아 가치사슬 안정화를 위한 메콩지역 협력 방안 연구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아세안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아세안 협력 방안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중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중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자료
방글라데시 기후변화 영향 분석 및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인도의 신·재생에너지 시장 및 정책 분석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경쟁 하 중남미의 GVC 참여와 RVC 구축 연구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한-인도네시아 포괄적 미래 협력 방안 연구
2022-12-30
연구자료
대러시아 제재가 중동부유럽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EU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EU 협력 방안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중남미 내 포퓰리즘 확산의 사회·경제적 영향과 시사점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미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미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자료
한-호주 공급망 협력 방향: 핵심광물과 수소를 중심으로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한-MENA 녹색전환 협력 방안
2022-12-30
중국종합연구
2022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아프리카 문화콘텐츠 산업의 발전과 한국에 주는 함의
2022-12-30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