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Policy Analysis 북한의 경제특구 확대 가능성 및 발전방향 북한경제

저자 홍익표 발간번호 01-13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01.12.30

원문보기(다운로드:846)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경제특구(special economic zone)라는 용어는 1979년 중국이 대외개방정책의 일환으로 동남부 연해 4개 지역에 한해 적극적인 시장경제체제의 허용 및 대외 개방을 추진하면서 사용한 명칭이다. (생략)
Expansion of Special Economic Zones in North Korea: Possibility and Direction
The term 'special economic zone' was employed whe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llowed the four southeastern coastal regions to take up a positive market economic system as part of its door opening policy. The third plenary session of the 11th Central Committee of the China Communist Party in December, 1978 made a shift from the ideology-first policy so far to the economic construction-first policy, thus deciding on 'door-opening and activation of domestic economy' as its important strategy. As part of the first stage, under the mottos of 'active utilization of foreign investment,' 'introduction of advanced technology,' and 'expansion of export,' the Chinese authorities designated parts of the four cities, Shenzhen, Zhuhai, Shantou in Guangdong, and Xiamen in Fujian as special economic zones in July, 1979, and later in 1988, elevated Hainandao to the Hainan Province status, at the same time authorizing it as the fifth special economic zone. (The rest is omitted.)
Ⅰ. 서 론
1. 연구목적
2.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3. 연구방법

Ⅱ. 북한의 경제정책 변화와 경제특구 확대 가능성
1. 북한경제체제의 문제점과 최근 경제현황
2. 최근 북한 경제정책의 변화와 대외경제관련 법제의 정비
3. 라진·선봉 경제무역지대의 경험과 교훈
4. 경제특구 확대와 관련된 최근 동향

Ⅲ. 중국 경제특구 정책의 성과와 북한에 주는 시사점
1. 중국 경제특구 정책의 전개과정 및 성과
2. 深 特區의 개발전략 및 성과
3. 上海 浦東新區의 개발전략 및 성과
4. 중국의 경험이 북한에 주는 시사점

Ⅳ. 북한 경제특구의 발전방향 및 과제
1. 경제특구의 형태 및 지역선정
2. 경제특구 관련 법적·제도적 정비
3. 인프라 확충 및 물류체계 정비
4. 재원조달 및 국제협력의 필요성

Ⅵ. 결 론

< 참고문헌 >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200
판매가격 7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보고서 북한의 관세 및 비관세 제도 분석과 국제사회 편입에 대한 시사점 2023-12-29 전략지역심층연구 북한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국제협력방안: 농업과 자연재해를 중심으로 2022-12-20 Working paper Analyzing DPRK's Food Supply and Demand Condition with Food Culture 2022-12-30 연구보고서 김정은 시대 북한의 대외관계 10년: 평가와 전망 2022-12-30 전략지역심층연구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남북 교류협력 추진 방안 2021-12-30 전략지역심층연구 미중 전략 경쟁 심화와 경제·안보의 블록화가 남북관계에 미치는 영향 2021-12-30 연구보고서 외국인 기업의 남북경협 참여활성화 방안 2021-12-30 연구보고서 대북제재의 게임이론적 접근과 북한경제에 미치는 영향 2021-12-30 연구자료 북한 대외 채무의 쟁점과 과제: 국제 규범과 해외 사례를 중심으로 2021-07-08 전략지역심층연구 북한의 관광정책 추진 동향과남북 관광협력에 대한 시사점 2020-08-03 연구보고서 체제전환국의 FDI 유입 결정요인과 북한에 대한 시사점 2019-12-30 연구보고서 2016년 대북제재 이후 북한경제 변화와 신남북협력 방향 2019-12-30 연구자료 미얀마의 대외관계 정상화 경험과 북한에 대한 시사점 2019-09-06 연구보고서 북한의 무역제도 연구: 남북한 CEPA 체결에 대한 시사점 2018-12-31 연구자료 Economic Development after German Unification and Implications for Korea 2018-12-28 연구보고서 비핵화에 따른 대북경제제재 해제: 분석과 시사점 2018-12-28 연구자료 체제전환국의 WTO 가입경험과 북한 경제 2018-07-2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통일 후 남북한 금융·재정 통합방안 2017-12-27 연구자료 Economic Transition in Unified Germany and Implications for Korea 2017-12-27 중장기통상전략연구 통일 후 남북한 산업구조 재편 및 북한 성장산업 육성방안 2017-12-27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