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고서
발간물
전체보고서
목록으로
최근 전세계적인 정보통신산업 침체와 함께 한국의 정보통신산업도 침체기를 맞이하고 있다. 그러나 Nokia TMC, 한국 HP, 한국 IBM, 컴팩코리아 등 세계적인 외국기업들의 한국에 대한 투자는 확대되고 있고, 한국의 정보통신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적극적인 외국인 투자유치를 통해 정보통신산업을 발전시킨 아일랜드의 성공사례를 분석해 봄으로써 한국의 정보통신산업의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생략)
The Korean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dustry has faced a recession following the worldwide slowdown of the ICT industry. But multinational companies, such as Nokia TMC, Korea HP, Korea IBM and Compaq Korea, are expanding their investment in Korea and increasing their share in the Korean ICT industry.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successful case of Ireland's ICT industry and draws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s ICT industry.
Ireland was considered as a small agricultural country adjacent to the United Kingdom before its ICT industry had developed. But since the mid-1990's Ireland has achieved the highest economic growth rate among the OECD countries. This result did not occur from technology and export of Irish companies but from the investment of foreign companies. The Irish government provides foreign companies with various incentives, including low corporate tax, financial and technical assistance, and R&D assistance. Along with these investment incentives, English-speaking labor force, lower wages and low telecommunication costs help to attract foreign companies. (The rest is omitted.)
Ireland was considered as a small agricultural country adjacent to the United Kingdom before its ICT industry had developed. But since the mid-1990's Ireland has achieved the highest economic growth rate among the OECD countries. This result did not occur from technology and export of Irish companies but from the investment of foreign companies. The Irish government provides foreign companies with various incentives, including low corporate tax, financial and technical assistance, and R&D assistance. Along with these investment incentives, English-speaking labor force, lower wages and low telecommunication costs help to attract foreign companies. (The rest is omitted.)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방법 및 내용
제2장 아일랜드의 정보통신산업 성장배경과 정보사회화 전략
1. 정보통신산업 성장배경
2. 정보사회화 전략
제3장 아일랜드의 정보통신산업 현황
1. 정보사회화 현황
2. 정보통신산업 현황
제4장 아일랜드의 정보통신산업 성공요인과 정부의 지원정책
1. 정보통신산업의 성공요인
2. 정부의 지원정책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제1장 서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방법 및 내용
제2장 아일랜드의 정보통신산업 성장배경과 정보사회화 전략
1. 정보통신산업 성장배경
2. 정보사회화 전략
제3장 아일랜드의 정보통신산업 현황
1. 정보사회화 현황
2. 정보통신산업 현황
제4장 아일랜드의 정보통신산업 성공요인과 정부의 지원정책
1. 정보통신산업의 성공요인
2. 정부의 지원정책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 63 |
---|---|
판매가격 | 5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보고서
중국 도시의 녹색전환 정책과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바이든 행정부의 글로벌 공급망 재편 정책과 시사점: 반도체 및 배터리 산업을 중심으로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인도의 농업 경쟁력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아프리카 문화콘텐츠 산업의 발전과 한국에 주는 함의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글로벌 보조금 규제의 새로운 현상: 역외보조금·기후변화 보조금·환율보조금
2021-12-30
연구보고서
포용적 혁신성장을 위한 주요국의 경쟁정책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2021-12-30
연구자료
일본 디지털전환 정책의 평가와 시사점
2022-05-20
연구보고서
신보호주의하에서 미국의 대외경제정책 평가와 방향
2021-12-30
연구보고서
중국의 디지털 전환 전략과 시사점: 5G 네트워크 구축과 데이터 경제 육성을 중심으로
2021-12-30
연구보고서
제조업 서비스화의 수출경쟁력 제고 효과 연구
2021-12-30
연구보고서
한ㆍ중ㆍ일 소재ㆍ부품ㆍ장비 산업의 GVC 연계성 연구
2021-06-30
연구보고서
개혁·개방이후 중국의 제조업 분야 산업정책과 산업구조 변화 연구
2020-12-30
중국종합연구
중국의 농식품 무역과 통상분쟁 연구
2020-12-30
중국종합연구
중국의 계절관리제 관련 사업장 대기오염물질 배출 관리 정책 분석 및 한중 협력 방안 연구
2020-12-30
연구보고서
인도 스타트업 생태계 분석과 정책 시사점
2020-12-30
연구자료
유럽 친환경자동차산업 정책분석과 시사점: E-모빌리티를 중심으로
2021-05-17
중장기통상전략연구
경제의 서비스화에 대응한 중장기 통상정책 방향
2020-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WTO 개혁 쟁점 연구: 국영기업, 산업보조금, 통보
2019-12-31
중국종합연구
중국 자유무역시험구를 활용한 우리 물류기업의 진출 방안 연구: 중국 내륙 지역을 중심으로
2019-12-30
연구자료
중국 제조업 혁신 네트워크 구축과 사례연구
2020-05-28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